•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4년 12월 소비자상담동향

 

- 담배 상담 급증, 겨울철 의류 및 전기매트류 지속 증가 -

이 자료는 즉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상담건수) 2014년 12월 ‘1372 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소비자상담은 74,766건으로 전월(67,930건) 대비 10.1%(6,836건) 증가함.

     1 

 

(물품·서비스) ‘물품’ 관련 상담이 41,438건(55.4%)으로 가장 많고 ‘서비스’ 관련 상담이 27,677건(37.0%), ‘물품관련서비스’ 상담이 5,651건(7.6%)을 차지함.

‘물품’ 관련 상담은 전월 대비 15.0%(5,404건) 증가했는데 ‘점퍼·자켓·사파리’·‘코트’·‘내의류’ 등 겨울철 의류, ‘전기매트류’, ‘담배’, ‘가스보일러’ 관련 상담이 크게 증가함.

      1  

* 전기매트류 : 전기장판·전기온수장판·전기요·전기담요·전기카페트

 

3 

겨울철 의류(‘점퍼·자켓·사파리’·‘코트’·‘모피·가죽의류’·‘스웨터’ 등) 관련 상담은 10월에 급증하여 1월까지 지속해서 증가추세를 보임.

- 전월 대비 ‘점퍼·자켓·사파리’ 관련 상담이 86.3%(889건) 증가했고, ‘코트’ 관련 상담은 73.1%(223건) 증가함.

  4 

 

- ‘점퍼·자켓·사파리’(1,919건) ‘코트’(528건)는 ‘품질’(668건), ‘청약철회’(414건), ‘계약불이행(불완전이행)’(343건) 관련 상담이 많음.

· 착용 또는 세탁 후 봉제불량·이염·변색·털빠짐 등 품질 불만족 관련 상담이 가장 많았고, 전자상거래를 통해 구입한 제품의 배송지연, 교환 및 환급 지연·거부 관련 상담도 많이 접수됨.

- ‘모피·가죽의류’(245건)는 봉제불량·이염·표피손상·털빠짐·악취 등의 ‘품질’(77건) 및 ‘청약철회’(57건) 관련 상담이 많음.

- ‘스웨터’(148건)는 ‘청약철회’(38건) 및 ‘품질’(33건) 관련 상담이 많았는데 필링·이염·털빠짐·알레르기 유발 등 전자상거래로 구입한 의류의 하자 관련 소비자 불만이 다수임.

 

5 

‘전기매트류’ 관련 상담(971건)전월(765건) 대비 26.9%(206건) 증가함.

- 전기(온수)장판·전기요 등 전기매트류 관련 상담은 보통 10~11월에 급증하고 12월에 소폭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데, 2014년에는 12월에도 계속 증가함.

- 특히 전기온수장판 관련 상담(498건)이 전월(365건) 대비 36.4%(133건), 전년 동월(136건) 대비 266.2%(362건) 증가하였는데, 반복적 하자(온도조절 불량·소음·악취·누수 등) 발생 및 A/S불만족, 화재·폭발 관련 상담이 많이 접수됨.

    6  

 

 7 

‘담배’ 관련 상담(411건)전월(102건) 대비 302.9%(309건) 증가함.8

- 담배 가격인상(’15. 1. 1.)을 앞두고 편의점 등 일부 담배 소매점에서 판매수량을 제한하거나 판매를 거부하여 소비자 불만이 많이 발생함. 

 

 

 

9 

‘가스보일러’ 관련 상담(379건)전월(213건) 대비 77.9%(166건) 증가함.10

- 온도조절·난방불량·냉매가스 누출 등의 ‘품질’(126건) 관련 불만이 가장 많았고, A/S불만족·처리지연·수리비 과다청구 등 ‘A/S’(114건) 관련 상담도 많이 접수됨. 

 

 

 

(다발 품목) 상담이 많은 품목은 ‘휴대폰/스마트폰’(2,716건), ‘이동전화서비스’(2,214건), ‘택배화물운송서비스’(1,959건) 등의 순임.

    11 

 

 

(지역별) 인구 10만명당 소비자상담 신청은 ‘서울특별시’(210.5건), ‘대전광역시’(161.4건), ‘부산광역시’(148.5건) 순으로 많음.

   12 

 

(상담처리) 2014년 12월 상담 중 63,649건(85.1%)은 소비자분쟁 해결기준 및 관련법규 등 소비자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의 자율적인 피해해결을 도왔고, 자율적인 해결이 어려운 사업자와의 분쟁은 소비자단체 및 지자체의 피해처리(8,499건, 11.4%)와 한국소비자원의 피해구제·분쟁조정(2,604건, 3.5%)을 통해 해결함.


[한국소비자원 2015-01-2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571 24개 사업자의 블로그를 통한 기만적 광고행위에 대한 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3 227
13570 농관원, 설 성수 농식품 부정유통 일제 단속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19 227
13569 ◇ 국내 커피 시장 1조 6천억원, 5년간 92% 성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16 227
13568 한국지엠(주), 브레이크호스 결함 리콜 예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12 227
13567 고효율인증제도 대폭개선, 제도의 실효성 높아져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9 227
13566 식품의 방사능 오염에 대한 불안감 여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8 226
13565 ‘소득계층·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구현’ 2015년 보건복지부 업무계획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2 226
13564 지자체 지식재산권 이용하기 쉬워진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13 226
13563 「물류시설의개발및운영에관한법률」개정안 입법예고 관리자 2015.01.16 226
13562 스마트폰으로 주민이 직접 불법광고물 신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14 225
13561 감전 위험 있는 Nitecore 배터리 충전기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4 225
13560 소비자안전 사각지대 개선을 위한 사업 과제 대국민 공모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7 225
» 2014년 12월 소비자상담동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9 224
13558 카드분실, 도난사고 보상제도 개선방안 마련 및 시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9 224
13557 2.25일부터 가까운 병의원에서 금연치료 받으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8 224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