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식품의 방사능 오염에 대한 불안감 여전

- 방사능 관련 정보 공개 확대 및 홍보 강화 필요 -

이 자료는 1월 28일(수)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1월 27일 12시)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식품의 방사능 오염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불안감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이 2012년부터 국내 유통식품 12개 품목(천일염, 차류, 쌀, 수산물가공품 등) 180종을 대상으로 방사능 오염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전제품이 안전한 수준이었다. 방사능에 대한 국민의 막연한 불안감 해소를 위해서는 정확한 정보 제공을 통한 인식 제고 노력이 요구된다.

* 2011년 3월 11일 일본 동북부 지방 앞바다에서 발생한 대규모 지진과 지진해일(쓰나미)로 인해 후쿠시마 현에 위치해 있던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가 폭발하여 다량의 방사능 물질이 누출된 사고

한국소비자원이 지난 9월 수도권 거주 만 20세 이상 성인 600명을 대상으로 일본 원전사고와 방사능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1

 대부분의 소비자(92.6%)가 ‘일본 원전사고로 인한 방사능 누출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답변하여 방사능 오염을 여전히 우려하고 있었고, 특히 ‘어패류 등의 수산물 오염(52.9%)’을 가장 염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산 식품(72.5%)보다 일본산 수입식품(93.0%)의 안전성에 더 높은 불안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소비자의 76.1%는 일본 원전사고와 방사능 관련 정보가 ‘국민들에게 충분히 제공되지 않고 있다’고 생각하고, 68.9%는 일본 원전사고에 대한 우리 정부의 조치·대응 내용을 잘 모르고 있었다.

 2 

한편 소비자가 생각하는 방사능 관련 정보의 효과적인 전달 방법으로는 ‘뉴스·신문 등의 언론매체를 통한 전달’(53.8%), ‘정부부처 및 유관기관 홈페이지에 공개(16.8%)’, ‘관련 전문가를 통한 교육 또는 세미나(16.5%)’ 등의 순이었다.

정보원에 대한 신뢰도는 ‘환경단체·소비자단체’가 32.0%로 가장 높았고, ‘원자력 분야에 종사하는 국내·외 전문가(26.0%)’와 ‘정부기관(23.0%)’은 유사한 비율을 보였다.

소비자는 주로 TV 방송(49.8%), 인터넷(31.3%), 신문(13.0%)을 통해 방사능 관련 정보를 얻고 있으며, 정부부처 및 유관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취득한 경우는 1.3%에 불과했다.

일본 원전사고 및 방사능과 관련하여 우리 국민은 ‘식품·환경 등의 방사능 오염정도와 인체 안전성(61.5%)’에 대한 정보를 가장 필요로 하였고, 정부의 우선 해결과제로는 ‘국내 원전에 대한 점검 및 사고대응 매뉴얼 관리(34.5%)’를 꼽았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일본 원전사고 및 방사능에 대한 국민 불안감 해소를 위해 품의 방사능 오염실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관련부처에는 방사능 관련 대국민 정보 공개 확대 및 홍보 강화 방안을 마련하도록 요청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2015-01-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0 짝퉁‘홍삼원’제품 제조.판매업자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1 126
189 가축재해보험 One-Stop 가입서비스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1 111
188 영유아 A형간염 무료예방접종, 5월부터 시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1 190
187 해외 각국 홍역발생 중, 해외여행 전 홍역 예방접종 필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1 199
186 도시교통정비 촉진법 시행령 개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1 210
185 해외직구 초콜릿, 일부 제품 국내 판매가보다 저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1 200
184 등록 다단계 업체 123개, 지난 분기보다 7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1 215
183 ‘15년, 의료제품 분야별 허가·심사 가이드라인 발간 계획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0 130
182 벤조피렌 기준 초과 검출 참기름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0 122
181 ‘폭식증’환자 여성이 남성에 비해 15배 많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0 129
180 지방청 지능범죄수사대에 보이스피싱 전담수사팀 편성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0 434
179 대학 기성회비 집행내역 등 정보공개 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0 127
178 권익위, 설 명절 농축수산물 불법유통 집중신고기간 운영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0 128
177 4/4분기 다단계 판매업자 휴·폐업 등 주요 변동사항 공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0 122
176 설 명절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0 153
Board Pagination Prev 1 ... 904 905 906 907 908 909 910 911 912 913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