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4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년 8월 10일 현재 국내 전역에서 유통판매되고 있는 패류와 연안 주요 패류양식장 및 주변해역에서 채취한 패류의 마비성패류독소 발생현황을 알려드립니다(식품의약품안전처 및 수산과학원 제공)

※ 패류채취 금지해역 : 없음

□ 국내 유통판매되고 있는 패류독소 검사현황(식품의약품안전처)

○ 전국 17개 시·도에서 판매되고 있는 패류 등 846건을 수거하여 검사한 결과 패류독소가 검출되지 않아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검사품목(건수) : 바지락(190), 멍게(87), 진주담치(홍합,83), 굴(50), 피조개(63), 꼬막(74), 백합(48), 미더덕(45), 오만둥이(39), 가리비(29), 모시조개(32), 기타(106)

○ 생산해역에서는 패류독소 검출사례가 줄어들고 있으나, 패류독소가 검출된 해역의 독화패류에 의한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패류독소 검출 해역과 인근지역의 자연산 이매패류 섭취를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연안 주요 양식장 및 주변해역 패류독소 발생현황(국립수산과학원)
○ 진해만 및 통영일원 등 32개 조사지점, 여수시, 남해군, 고흥군, 영덕군 연안, 강진만, 나로도해역에서 굴(19점), 진주담치(29점), 바지락(9점), 피조개(5점) 조사결과 불검출

□ 안내사항
○ 패류독소 발생현황은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www.mfds.go.kr) 및 모바일(m.mfds.go.kr)과 수산과학원 홈페이지(www.nifs.go.kr) 패류독소 속보와 스마트폰 앱으로도 제공되고 있습니다.
○ 패류독소에 대한 의문사항이 있으신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처 농수산물안전과(043-719-3273/3280)와 국립수산과학원(051-720-2641~2번)으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08-1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73 피젯펜, 안전 표시 미흡 관련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2 2018.07.18
272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4 2019.07.18
271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9.10.16
270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5 2019.10.23
269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19.10.29
268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3 2019.11.04
267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0 2020.01.13
266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6 2020.03.09
265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3 2020.04.20
264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0.04.29
263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8 2020.04.29
262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5 2020.05.20
261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9 2020.05.11
260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2 2020.06.23
259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1 2020.08.11
258 피해다발업체 - 단소 잡화점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8 2021.07.22
257 피해다발업체 - 위잇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4.06.14
256 피해다발업체(하이트렌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2.07.14
255 피해다발업체-반하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1 2022.02.08
254 피해다발업체-캐쉬메이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4.02.14
Board Pagination Prev 1 ...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