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소비자안전 사각지대 개선을 위한 사업 과제
대국민 공모 실시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개편, 소비자안전 한층 강화 -

  최근 대형 안전사고로 인해 사회적인 불안감이 커지면서 소비자안전 전반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은 올해부터 생활 속에서 소비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안전 취약 분야에 대한 제도 개선을 위해 ‘안전실태조사 사업 과제 대국민 공모’를 연중 실시한다.

  이번 공모는 국민들의 제안을 직접 받아 안전실태조사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소비자 관점의 안전 취약 분야를 포착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응모는 누구나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홈페이지(www.ciss.or.kr)의 ‘위해정보신고>공모전신청’ 메뉴를 이용하거나, 한국소비자원 홈페이지(www.kca.go.kr)의 「안전실태조사 사업과제 대국민 공모」 배너를 클릭하여 참여할 수 있다.

  공모 기간은 연중 상시이며, 조사 사업으로 선정된 제안에 대해서는 소정의 상품권을 지급할 계획이다. 또한 필요시, 선정된 일부 과제에 대해서는 소비자가 직접 조사과정에도 참여할 수 있다.   공모 기간은 연중 상시이며, 조사 사업으로 선정된 제안에 대해서는 소정의 상품권을 지급할 계획이다. 또한 필요시, 선정된 일부 과제에 대해서는 소비자가 직접 조사과정에도 참여할 수 있다.
 
   공모 분야는 ▲시설 및 서비스 등 안전사각지대 개선 필요 분야 ▲어린이와 노약자 등 취약계층 유해 환경 개선 방안 ▲불량식품, 결함공산품, 의약품, 화장품 등 소비자 안전 확보를 위한 개선 과제 등이다.

  한편,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의 안전을 강화하고 위해정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을 전면적으로 개편, 1월부터 질 높은 대국민 서비스를 시작한다.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은 소비자들이 품목별로 안전 관련 정보를 통합해서 볼 수 있도록 편리성을 높였고, 위해정보신고와 위해정보동향, 안전이슈, 안전자료 등을 일목요연하게 배치해 원하는 정보 검색과 위해정보 신고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도록 했다.

 
데이타 테이블 제목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소비자기본법에 의거해 전국의 66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위해정보제출기관과 소비자상담센터(국번없이 1372)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ㆍ평가하는 시스템으로써, 분석평가시스템ㆍ정보제공시스템(내부업무처리용), CISS 홈페이지(대국민용, www.ciss.or.kr), 어린이안전넷(어린이용, www.isafe.go.kr)으로 구성돼 있음.


  또한 외부기관 연계를 통해 수집 채널을 확대하여 보다 폭넓은 수집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사용자 환경 개선 및 운영 환경을 최적화하여 소비자 위해감시체계를 한층 강화했다.

  어린이안전넷에서는 어린이, 교사, 부모 등에게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한다. 어린이가 이해하기 쉽도록 애니메이션 안전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어린이 안전 게임을 통해 어린이가 흥미롭게 안전수칙을 습득할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PC환경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이용자들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반응형 웹 기술을 적용하여 접근성을 극대화했다.

  한국소비자원은 대국민 안전 사업 과제 공모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의 전면적인 개편으로 소비자안전을 위협하는 요소에 대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015-01-2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91 소비자를 위한 추석 명절 대비 유용한 금융정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5 31
5890 소비자법 위반행위 감시요원 본격 활동 개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0 23
5889 소비자법집행감시요원 운영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18 20
5888 소비자보호실무협의회가 금융회사 업무 관행을 개선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5 165
5887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머지포인트 집단분쟁조정 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14 39
5886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상품권의 유효기간 경과로 지급된 적립금, 사용기간이 경과되어도 잔액의 90% 환급" 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19 22
5885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안전상 중대한 하자 있는 전동휠, 제조사가 도산했더라도 판매자가 환급"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7 10
5884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치과임플란트는 단계별 의료행위이므로 치료비 전액 선납보다는 치료단계별 납부가 바람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14 19
5883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통신비 절감을 미끼로 불리한 계약 유도한 휴대폰 판매점에 배상 책임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01 20
5882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C2C 플랫폼의 판매자 정보제공 의무 책임 인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06 17
5881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LG전자 의류건조기 집단분쟁조정 개시 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6 22
5880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LG전자(주) 의류건조기 집단분쟁 “위자료 10만원 지급” 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0 11
5879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직장 신경내분비종양을 암으로 인정하여 보험금 지급’ 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7 57
5878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건강검진 대장내시경 검사 중 용종 절제를 '수술'로 알리지 않았다며 해지한 보험계약의 원상회복”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3 80
5877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반려동물 수술 시 설명을 충분히 하지 않았다면 수의사는 위자료 배상 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3 37
Board Pagination Prev 1 ... 525 526 527 528 529 530 531 532 533 534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