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비브리오패혈증 발생 줄었지만 8~9월 집중 발생 시기에 각별한 주의 필요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가 전국 항구와 포구 주변 횟집 등 수산물 판매점을 대상으로 비브리오균(비브리오패혈증균, 장염비브리오균, 비브리오콜레라균) 검사를 실시한 결과 비브리오균이 검출된 곳이 한 곳도 없었다고 밝혔다.
○ 식약처가 지난 6월 20일부터 8월 6일까지 48일 동안 인천과 경기 등 수도권, 해운대, 목포, 군산 등 전국 항구와 포구를 중심으로 활어 등 수산물 판매업소 420곳의 수족관 물을 채취하여 검사한 결과 비브리오균에 오염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이번 특별검사는 여름철 식중독 예방 상시 감시체계의 일환으로 기존에 실시하던 수거‧검사 강화와는 달리 전국 56개 주요 항·포구 주변 바닷가에 식중독 검사차량 4대를 순환 배치하여 수족관물의 비브리오균 오염 여부를 현장에서 신속하게 검사하였다.
- 식중독 검사차량에는 유전자 추출 및 실시간 유전자 증폭장치 등이 탑재되어 있으며 비브리오균 3종 오염 여부를 약 3시간 이내에 동시 분석할 수 있다.
○ 또한 횟집‧수산시장 등 451개소를 대상으로 어패류의 위생적 취급 여부 등을 지도‧점검하고, 수산물 판매자‧여행자 등 5,085명을 대상으로 수산물 안전 구매‧섭취 요령 등을 교육‧홍보하였다.
○ 식약처는 ‘13년 출범 이후 수산물 안전관리를 지속적으로 강화하였으며 비브리오패혈증 환자(사망자)수는 ’12년 64명(37명)에서 ’15년 37명(13명)으로 감소하였다.
- 이번 해도 지난 7월까지 비브리오패혈증 환자만 5명 발생하여 지난 해 같은 기간에 환자 10명, 사망자 3명이 발생한 것과 비교하면 감소 추세에 있다.

□ 식약처는 최근 5년간 비브리오패혈증 환자의 약 66%가 8월부터 9월에 집중 발생한 만큼 국민들에게 수산물의 안전한 구매‧섭취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오는 9월말까지 지방자치단체 등 유관기관(단체)과 함께 사전 예방관리를 위한 대국민 교육·홍보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 소비자를 대상으로 비브리오패혈증 예방 홍보 캠페인을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수산물 생산 및 유통판매자를 대상으로 전국 항·포구의 수협중앙회(회원조합 포함) 위·공판장 등에 설치되어 있는 약 750개 전광판을 통한 홍보동영상 상영과 지도·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 어패류 비브리오균 검사결과와 안전 구매·섭취 관련정보는 식품안전정보포털(www.foodsafetykorea.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08-1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000 저출산 대책, 고용,교육,주거에서 해법 찾는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9 72
10999 저출산 극복, 지방자치단체가 앞장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0 16
10998 저축은행의 금융거래 서류가 간소화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6 52
10997 저축은행과의 비대면 거래, 더욱 편리하고 안전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13 31
10996 저축은행, 연간기준 7년만에 흑자 시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2 89
10995 저축은행 자체 채무조정제도 및 대출거절 사유 고지제도 개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4 206
10994 저축은행 여신업무 선진화 기틀 마련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6 137
10993 저축은행 대고객 문자(SMS) 알림서비스 확대 시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7 111
10992 저축보험 플랫폼 비교,추천서비스 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26 2
10991 저위험 드론 보다 쉽게, 고위험 드론 보다 안전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01 34
10990 저울 불신 이제 그만, 소비자가 직접 나선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8 57
10989 저연령(초등 3, 4학년) 청소년 대상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전문상담 치유서비스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19 14
10988 저소득층에 온기를 나누는 포용적 복지 ‘저소득층 일자리·소득지원 대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18 34
10987 저소득층, 자활장려금 도입으로 소득 최대 42만 원 늘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7 11
10986 저소득층 추가 국민지원금, 296만 명에게 기존 복지급여 계좌로 1인당 10만 원씩 24일에 지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23 11
Board Pagination Prev 1 ...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