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애완견  물림  사고, 가정에서 10대 미만 어린이에게  많이  발생
- 물림  사고의  위험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강화  필요 -

  애견산업 시장규모가 크게 성장하면서 애완견에게 물리는 사고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애완견에게 물릴 경우, 근육·힘줄·혈관·신경·뼈 등 인체 조직에 심각한 상해를 입을 수 있으며 외국에서는 세균 감염에 의한 사망사고도 보고되고 있어 견주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에 따르면 2011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애완견 물림 사고는 총 2,097건으로, 해마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애완견 물림 사고 : 2011년 245건 → 2012년 560건 → 2013년 616건 → 2014년 12월 676건
 

  애완견에 물려 발생한 상해 유형은 열상(피부가 찢어진 상처) 1,232건(58.8%), 찰과상 343건(16.4%), 타박상 19건(0.9%) 등의 순이었다. 열상의 경우 개의 구강 내에 있는 여러 가지 세균에 감염되어 2차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은 만큼 특히 주의해야 한다.

  개에게 물린 상처는 일반 상처에 비해 감염률이 통상 8~9배 높게 나타나므로 상처를 즉시 봉합하기보다 소독 및 항생제 치료를 통해 상처 내 세균을 확실히 제거한 후 봉합(지연봉합)하는 등 감염 예방을 위한 치료가 필요하다는 게 의료전문가의 조언이다.

  물림 사고로 인한 치료기간은 ‘1주~2주미만’이 418건(19.9%), ’2주~4주미만‘이 203건(9.7%)으로 전체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어 병원 치료가 필요한 사례가 적지 않았다. 

       연령별 현황  연령별 주요 위해부위 현황



  연령대별로는 ‘10세 미만’ 어린이들의 사고가 404건(19.3%)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신장이 작은 ‘10세 미만’의 어린이들은 상해 정도가 클 수 있는 머리/얼굴* 부위를 물린 경우가 119건(29.5%)으로 가장 많이 발생한 반면, 타 연령대는 손/손목 부위를 물리는 사고가 593건(35.0%)으로 가장 많았다.
* 머리 및 얼굴/눈/귀/입/코 부위를 통칭함. 사고발생장소별 현황

  사고 발생장소는 ‘가정’이 1,509건(72.0%)으로 가장 많았고, ‘교통시설’ 145건(6.9%), ‘상업시설’ 77건(3.7%), ‘여가 및 문화놀이시설’ 69건(3.3%)으로 나타나 다중이용시설에서도 타인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미국*의 경우 매년 약 4백만 건 이상의 애완견 물림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2013년에는 32명(어린이 18명, 성인 14명)이 목숨을 잃었다. 매년 5월에는 미국수의사회, 우정청, 질병조사국 등이 공동으로 ‘전국 개 물림 예방 주간(National Dog Bite Prevention Week)’을 개최해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매년 4천여 건의 애완견 물림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애완견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를 높이고자 ‘동물 애호 주간 행사’를 개최하는 등 지방자치단체 및 유관 단체가 협력하여 물림 사고 예방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미국은 전 세계에서 애완견을 가장 많이 기르는 국가이고, 일본은 아시아 내에서 1위임.

  한국소비자원은 애완견 물림 사고가 가족, 외부인 구분 없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적절한 훈육을 통해 애완견의 돌발 행동을 통제할 필요가 있으며 애완견 물림 사고의 위험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애완견에게 물릴 경우 ▲깨끗한 물로 상처 부위를 충분히 씻어 상처 내에 남아있는 세균이 밖으로 흘러나오도록 하고 ▲소독된 거즈나 수건으로 압박하여 출혈을 억제하고 가급적 병원 치료를 받도록 하며 ▲특히, 면역력이 약하거나 병력이 있는 사람들은 반드시 병원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을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015-0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80 「수입식품 검색 렌즈」시범서비스를 개방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5 56
4879 쿠팡(주)의 이용약관 상 불공정약관 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1 56
4878 국민권익위, “지자체마다 상이한 전기·수소차 구매보조금 지급 거주요건 통일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5 56
4877 마이데이터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고,중소 마이데이터 사업자의 부담을 경감하였습니다.(신용정보업감독규정 일부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30 56
4876 먼저 해결하고 싶은 생활 속 불편 규제, 국민이 뽑아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9 56
4875 '부정.불량식품 신고'가 쉽고 간편해졌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13 56
4874 3월 1일 부터 접종증명·음성확인제도(방역패스) 잠정 중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28 56
4873 청년의 주거비 걱정을 덜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21 56
4872 5월 2일(월)부터 전국 치매안심센터 정상운영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27 56
4871 코로나19 유행 후 신체활동, 정신건강, 주요 만성질환 악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27 56
4870 2022년 공동주택 가격 결정공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28 56
4869 노후화된 바닥매트, 주기적으로 교체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03 56
4868 고향 등에 기부하면 기부금의 30%이내 답례품 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09 56
4867 “건강한 치아, 건강한 백세”노래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25 56
4866 구강보건을 위한 의약외품, 올바르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9 56
Board Pagination Prev 1 ... 596 597 598 599 600 601 602 603 604 60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