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휴가철 캠핑 시 축산물 부패·변질에 유의하세요!
- 아이스박스 없이 4~6시간이면 부패 발생할 수 있어 -

본격적인 여름휴가철을 맞아 캠핑을 계획하는 소비자들이 많다. 캠핑장에서 가족이나 친구들과 둘러앉아 즐기는 바비큐는 단연 캠핑의 백미이나 바비큐에 사용되는 축산물은 비위생적으로 보관·조리할 경우 부패와 변질이 쉬워 식중독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캠핑 경험자를 대상으로 캠핑 관련 식품안전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축산물 보관 시뮬레이션 시험(축산물 및 가공육의 시간에 따른 일반세균수 변화 추이)을 수행, 캠핑용 먹거리의 식중독 예방을 위한 안전주의보를 발령하였다.

* 최근 1년 간 캠핑을 경험한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 아이스박스 등 냉장기구 없이 4~6시간 보관하면 세균증식으로 인한 축산물 부패 발생 가능

여름철 외부(33℃)와 여름철 차량 트렁크(43℃)에 아이스박스 등 냉장기구 없이 축산물을 보관하면 대체로 4시간 후 부터 균의 증식이 나타나 6시간이 경과하면서 부패 초기로 인식하는 5×106CFU/g*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이스박스 보관** 시에는 24시간이 경과해도 세균수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 세균 자체가 인체에 직접적인 건강상 위해를 나타내지는 않지만 일반세균이 오백만CFU 이상(5.0×106) 나오면 부패가 시작될 수 있기 때문에 식품 제조, 보존 및 유통 등의 위생관리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미를 지님.
※ CFU(Colony Forming Unit) : 세균 계수 단위

** 아이스박스 용량의 20%를 얼음으로 채운 조건, 아이스박스 보관 시 4∼10℃ 유지

  “가공육”의 경우 살균처리과정을 거쳐 초기균수가 적어 부패 초기 단계에 접어드는 시간이 “축산물(생고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편(8~12시간)이었으나, 일정시간 경과 후에는 마찬가지로 부패 단계에 접어드는 것으로 확인됐다.

□ 약 20%는 캠핑장까지 이동 중 아이스박스 등 냉장기구를 사용하지 않아

설문조사 결과, 19.3%(1,000명 중 193명)는 캠핑 시 식재료로 축산물 등을 구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캠핑장까지 이동 중 아이스박스 등 냉장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캠핑장까지 시간이 별로 소요되지 않아서” (63.2%), “냉장제품이 많아 충분히 신선하다고 생각되어서”(13.0%) 등을 꼽았다.

  축산물 등은 대부분 집 근처 마트 등에서 구입(77.9%)하여 캠핑장까지 평균 1~3시간 이동(64.8%)하였고, 대부분 당일 저녁에 섭취한다(83.0%)고 응답하여 오전에 구입했을 경우 섭취까지 7~8시간 이상 소요될 수 있어 이번 시험결과와 같이 구입한 축산물 등이 부패될 가능성이 있었다.

□ 장 볼 때 축산물을 마지막에 구입하는 경우는 약 40% 정도에 불과해

세균 증식이 쉬운 축산물 등은 마지막에 구입하여 바로 아이스박스 등 냉장기구에 넣어 세균 증식을 억제시키는 것이 중요하나, 가장 마지막에 구입하지 않은 경우(동선에 따라 구입, 가장 먼저 구입 등)가 전체의 60.5%에 달했다.

또한, 축산물 등의 육즙이 다른 식품과 교차오염되지 않도록 다른 식재료와 구분 보관해야 하는데 응답자의 57.7%가 구분 없이 담았다고 답해 전반적인 축산물 등의 취급 안전 의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여름휴가철 캠핑 시 축산물 등 캠핑용 먹거리를 안전하게 즐기고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관리 요령(붙임)을 잘 숙지하고 실천해줄 것을 소비자들에게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016-08-0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71 의도하지 않게 발효돼 알코올 있어 리콜된 Copenhagen 탄산음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3.01.13
3070 박테리아 오염 및 에틸렌옥사이드 함유 가능성 있는 런드레스(The Laundress) 세탁세제·섬유유연제 등 리콜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3.05.12
3069 카드뮴 과다 검출된 뱀 모양 반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3.07.13
3068 쇼핑몰 인포벨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4.01.15
3067 오전 6시~10시, 빙판길 교통사고의 40.3%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0.12.03
3066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트레이닝 반바지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1.05.03
3065 유리 이물질 혼입으로 질식 위험 있는 VITAM 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1.05.26
3064 에틸렌옥사이드 성분 함유된 New Nordic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1.11.04
3063 감전 위험 있는 E27 램프 홀더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1.11.04
3062 에틸렌옥사이드가 검출된 Pukka 강황 건강보충제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1.11.04
3061 수은이 검출된 화장품(세럼)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2.09.26
3060 낙하 사고 발생 우려 있는 Titan 추락 제지용 기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3.05.25
3059 연일 지속되는 폭염, 물놀이 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 2018.07.19
3058 턱끈 결함으로 부상 위험 있는 CKX 헬멧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 2020.08.24
3057 유해물질 검출된 Sportmix 개사료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 2021.02.26
3056 “집에 머무는 우리 아이 안전, 이것만은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 2021.05.03
3055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트레이닝 바지(2)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 2021.05.03
3054 자석 삼킴 우려 있는 Magnetic Robot Building Block Set 자석 블록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 2023.01.16
3053 피부염 및 암을 유발할 가능성 있는 CLARKS 여성용 운동화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 2023.01.16
3052 찬바람 부는 겨울, 감기약 먹을 때 주의할 사항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3 2020.11.30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