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 중에 발생하는 안전사고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고령자 낙상 사고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과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주병기)는 버스·지하철 내 고령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소비자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2022년부터 2025년 7월까지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버스·지하철 관련 안전사고는 총 1,034건이며, 2022년 125건에서 2024년 460건으로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다.

※ 연도별 접수 건수 : (‘22년) 125건 → (’23년) 204건 → (‘24년) 460건 → (’25년 7월) 245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8개 병원, 52개 소방서, 2개 유관기관 등 112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버스·지하철 안전사고 고령자에게 가장 많이 발생해

어린이부터 고령자까지 생애주기별*로 버스·지하철 안전사고 발생빈도를 분석한 결과, 65세 이상 ‘고령자’의 안전사고 발생이 인구 십만 명당 5.08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두 번째로 발생 빈도가 높은 ‘장년층’ (1.59건)보다도 3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 버스·지하철 고령자 안전사고 10건 중 9건은 낙상 

버스·지하철에서 발생한 고령자 안전사고(581건)의 원인을 살펴보면, 미끄러져 넘어지거나 추락하는 ‘낙상’이 531건(91.4%)으로 대부분이었고, ‘눌림·끼임’ 22건(3.8%), ‘부딪힘’ 15건(2.6%)의 순이었다.

주요 부상 부위는 ‘머리 및 얼굴’이 233건(40.1%)으로 가장 많았고, ‘둔부·다리 ·발’ 148건(25.5%), ‘몸통’ 116건(20.0%)이 그 뒤를 이었다. 

‘머리 및 얼굴’을 다쳐 뇌 손상 등의 증상으로 이어지는 경우 단순한 사고를 넘어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뼈와 근육이 약해진 고령자는 작은 사고에도 골절 등의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 쌀쌀한 날씨에는 근육·혈관 수축으로 낙상에 더욱 취약, 예방이 최우선

일교차가 크고 기온이 낮아질수록 근육과 혈관이 수축해 낙상에 취약해질 수 있다. 특히 돌발 상황이 잦은 버스와 지하철에서는 낙상 등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더욱 높다.

이에 한국소비자원과 공정거래위원회는 버스·지하철에서의 고령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 승·하차 시 차량이 완전히 멈추었는지 확인할 것, ▲ 승차 후 반드시 손잡이를 잡아 균형을 잃지 않도록 할 것, ▲ 하차하기 전 주변이 안전한지 확인할 것 등을 당부했다.

아울러 고령자의 안전 인식 확산을 위해 상황별 낙상 위험과 예방 방안을 담은 홍보 영상을 제작해 한국소비자원 누리집* 및 ‘보e다’ 등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통해 배포했다. 또한 고령자의 버스 낙상 위험이 높은 점을 고려하여, 버스 내부 매체에 낙상예방 영상을 송출해 고령자들이 각별히 주의할 수 있도록 했다.

* 홍보 영상 확인: 한국소비자원 누리집 > 소비자뉴스 > 공지사항

물품 등의 사용 중 안전사고를 경험했거나 사고 우려가 있는 경우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제보 혹은 신고할 수 있습니다.

  [위해정보 신고]
• (홈페이지) www.ciss.go.kr에서 ‘위해정보 신고하기’ 클릭
• (핫라인) 국번없이 080-900-3500



[한국소비자원 2025-11-1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7 추워지는 날씨, 화재와 일산화탄소 중독사고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5.11.06
16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된 수입 ‘마늘쫑’ 및 ‘냉동 시금치’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5.11.10
15 제품 사용 중 부상 위험이 있는 재봉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5.11.12
14 구조 불량으로 인해 감전 위험이 있는 Change Moore 전정가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5.11.12
13 제품 사용 중 질식 위험이 있는 Esjay 장난감 헝겊 책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5.11.12
12 소형 부품 탈락으로 질식 위험이 있는 피규어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5.11.12
11 비소가 과다 검출된 Maybelline New York 아이라이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5.11.12
10 디부틸 프탈레이트가 함유된 Nishman 헤어왁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5.11.12
9 화상 위험이 있는 Oster 에어프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5.11.12
8 감전 위험이 있는 차량용 세척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5.11.12
7 전문의약품 성분(비마토프로스트)이 검출된 화장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5.11.12
6 제품 풍미가 변질된 카페오레 음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5.11.12
5 안과 질환 유발 가능성이 있는 Trucosmetics 아이래쉬 세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5.11.12
4 고령자, 버스 등 대중교통 이용 시 안전사고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5.11.12
3 쉽고 간편한 오픈뱅킹, 보이스피싱이 염려된다면” 오픈뱅킹 안심차단서비스로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5.11.14
2 청소년 비만치료제, 비만 환자만 사용해야 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5.11.14
» 고령자, 버스·지하철 이용 시 낙상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5.11.14
Board Pagination Prev 1 ...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Next
/ 26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