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세계 뇌졸중의 날(10.29.)을 맞아, 뇌졸중의 발생 및 악화 위험을 예방하고 조기증상 인지와 예방수칙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뇌졸중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4위(2024 사망원인통계)에 해당하는 뇌혈관질환 중 하나로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뇌경색) 터지면서(뇌출혈) 뇌가 손상되고 그에 따른 신체장애가 나타나는 등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중증 질환이다.

  * (2024 사망원인통계, 국가데이터처) 인구 10만 명당 48.2명이 뇌혈관 질환으로 사망하고 있으며, 암, 심장질환, 폐렴에 이은 사망순위 
     4위에 해당

질병관리청 심뇌혈관질환 발생통계 결과에 따르면, 2022년 뇌졸중 발생 건수는 110,574건으로 남자(61,988건)가 여자(48,586건) 보다 약 1.2배 높은 수치를 보였다. 뇌졸중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215.7건으로 남자 242.7건, 여자 188.9건이었으며, 연령대별로는 80세 이상에서 1,515.7건으로 가장 높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발생률도 높았다.

뇌졸중 발생 후 30일 이내 사망자 분율인 30일 치명률은 2022년 7.9%이며, 남자 6.9%, 여자 9.1%로 여자가 남자보다 2.0%p 높았으며, 65세 이상에서의 치명률은 11.5%로 나타났다. 또한, 발생 후 1년 이내 사망자 분율인 1년 치명률은 2022년 20.1%로 남자 18.5%, 여자 22.1%가 뇌졸중 발생 후 1년 이내 사망하며, 65세 이상에서는 뇌졸중 발생 후 1년 이내 32.1%가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의 증상은 갑자기 나타나는 것이 특징으로,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생존을 한 경우에도 심각한 장애를 동반하는 등 신체적·경제적 부담이 가중될 수 있어 사전 예방 및 발생 시 조기 대처가 중요하다.


뇌졸중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요인에는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흡연 등이 있으며, 이들 위험 요인을 상시 관리하는 등 예방이 중요하며,


대표적인 뇌졸중 조기증상인 일상생활 시 한쪽 얼굴·팔·다리 마비, 갑작스런 언어 및 시야장애, 심한 두통 등의 증상이 보이는 경우, 지체없이 119에 도움을 요청하는 등 최대한 빨리 가까운 전문병원이나 응급실로 가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 뇌졸중 조기증상 및 대응요령 】


< 뇌졸중 조기증상 >

  ➊ 갑자기 한쪽 얼굴, 팔, 다리에 힘이 빠진다

  ➋ 갑자기 말이 어눌해지거나, 다른 사람의 말을 이해하지 못한다

  ➌ 갑자기 한쪽 눈이 보이지 않거나, 양쪽 눈 시야의 반이 보이지 않거나, 물체가 두 개로 보인다

  ❹ 갑자기 어지럽거나 몸의 중심을 잡기 힘들다

  ❺ 갑자기 이제까지 경험하지 못한 심한 두통이 있다


< 증상 발생 시 대응 요령 >

  ➊ 지체 없이 119에 도움을 요청하세요

  ➋ 급성기 치료가 가능한 병원으로 가세요

  ➌ 환자가 직접 운전하는 것은 위험해요

  ❹ 가족이 올 때까지 기다리지 마세요

  ❺ 증상이 그냥 지나갈 거라고 생각하지 마세요

  ❻ 야간이나 주말이라고 외래 진료 시까지 기다리지 마세요


2024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결과에 따르면 뇌졸중 조기증상 인지율은 59.2%로, 성인 10명 중 5~6명만 조기증상을 인지하고 있어, 여전히 조기증상에 대한 인지율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뇌졸중의 위험성과 대응요령에 관한 대국민 관심을 제고하기 위해,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수칙’을 마련하고, 질병관리청 누리소통망(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을 통해 홍보콘텐츠를 게재하는 등 조기증상 및 예방수칙 인지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뇌졸중은 갑작스럽게 발현되는 것이 특징인 만큼 국민들께서 조기증상을 알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하며, “평소에도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수칙’을 생활화하는 등 건강관리에 관심을 기울여 주실 것”을 거듭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5-10-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6 알레르기 유발물질 미표시 '절임식품'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5.10.28
15 식중독균 검출된 즉석조리식품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5.10.28
14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된 수입 '목이버섯'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5.10.28
13 ㈜폴레드 분유포트 무상 수리(부품 교체)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5.10.28
12 제품 사용 중 부상 위험이 있는 카시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5.10.28
11 과열로 인해 화재 위험이 있는 Xiaomi 보조배터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5.10.28
10 증기 누출로 인해 부상 위험이 있는 Philips 다리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5.10.28
9 호스에 구멍 발생하여 부상 위험이 있는 Makita 그리스 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5.10.28
8 누군가 해외주식 투자를 미끼로 당신의 재산을 노리고 있습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5.10.29
» 뇌졸중 조기증상 인지율 59.2%, 조기 증상 인지·예방수칙 실천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5.10.29
6 [피해예방주의보] 숙박플랫폼 소비자분쟁 급증, 62.1%가 주요 7개 플랫폼에서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5.10.29
5 전원 스위치가 쉽게 분리되어 감전 위험 있는 크레페 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5.10.29
4 과열 및 발화로 인한 화재 위험이 있는 냉장고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5.10.29
3 발화로 인한 화재 위험이 있는 스마일 무선 전동 슬라이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5.10.29
2 배터리 팩 부품 결함으로 화재 발생 위험이 있는 Rowenta 진공청소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5.10.29
1 제품 설명 미흡으로 신체 위해 가능성 있는 Natural Intimacy 스펀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5.10.29
Board Pagination Prev 1 ...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Next
/ 26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