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는 자동차의 페달 오조작에 따른 급가속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신차에 페달오조작 방지장치 장착을 의무화하고, 전기차 배터리의 잔존수명을 확인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설치하도록 하는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자동차규칙) 일부 개정령안을 입법예고(10.24. ~ 12.23.)한다.

 

ㅇ 이와 함께, 대형 경유 트랙터의 친환경차 전환을 위해 전기·수소 트랙터 연결자동차의 길이기준을 완화하고, 국제기준과 조화하여 자동차 제작사 상표와 등화장치의 결합도 허용한다.

 

이번에 입법예고하는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페달오조작 방지장치장착 의무화

 

‘2911일부터 제작·수입되는 신차*(승용차, 3.5톤 이하 승합·화물·특수차)에 대해 페달오조작 방지장치의 장착을 단계적으로 의무화**한다.

 

* 의무화시기 : 승용차(’29.1.1), 3.5톤 이하 승합·화물·특수차(‘30.1.1.)

** 페달오조작 방지장치 국제기준 마련(’25.6월 발효) 이후, 일본이 처음 의무화(수입차 ‘29.9, 자국차 ’28.9월 시행)한 점 및 기술개발 여건 등을 고려하여 시행일 설정

 

ㅇ 페달오조작 방지장치는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전방 및 후방 1~1.5m 범위 장애물(정지차량, 고정벽)을 감지할 때 운전자가 급가속으로 페달을 조작하면 출력을 제한하는 성능을 갖추어야 하며, 이는 국제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기술과 동일한 수준이다.

 

배터리 잔존수명 표시장치설치 의무화

 

ㅇ 전기차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배터리 성능에 대한 소비자의 정보 제공 요구도 높아지는 상황으로, 전기차 이용자가 배터리의 상태(잔존수명)를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배터리 잔존수명 표시장치 설치를 의무화한다.

 

ㅇ 전기차 배터리의 정확한 수명 확인으로 전기차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 향상과 배터리 재제조 등 사용후 배터리 산업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수소 트랙터 길이 기준 완화, 제작사 상표와 등화장치 결합 허용

 

ㅇ 전기나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트랙터의 경우, 배터리·수소 내압용기의 배치 문제로 현행 길이기준(16.7m)을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현장의 의견을 고려하여, 전기·수소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연결자동차의 길이기준을 19m까지 완화하여 친환경 대형차의 상용화를 지원하기로 하였다.

 

ㅇ 또한, 자동차 전·후면 등화장치에 자동차제작사의 상표 결합을 허용 하여 제작사의 브랜드 인지도 강화 및 신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국토교통부 박용선 자동차정책과장은 이번 제도개선을 통해 국민 안전과 소비자 권익을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또한, 업계 건의사항을 지속적으로 청취하고 국제기준과 조화를 이루는 안전기준을 마련하도록 적극 노력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개정안 전문은 국토교통부 누리집(http://www.molit.go.kr)정책자료-법령정보-입법예고·행정예고에서 확인 가능하고, 우편 또는 누리집을 통해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



[ 국토교통부 2025-10-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531 보건복지부 소관 22개 법률안 10월 26일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10.27 38
15530 주목! 전국 빵집서 가루쌀 빵 20% 전격 할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10.27 29
15529 11월 1일은 ‘한우 먹는 날’ 소(牛)프라이즈 2025 대한민국 한우세일 실시(최대 50%)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10.27 32
15528 사망보험금 유동화 상품 10.30일 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10.27 15
15527 내년부터 상호금융권도 중도상환수수료가 인하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10.27 31
15526 '25년 3분기 전국 지가 0.58% 상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10.27 31
15525 2023년 소득이동통계 결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10.27 25
15524 「노동절 제정에 관한 법률」 등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10.27 40
15523 모든 노동자가 안심하고 일할 수 있도록 ‘고용·산재보험 가입 촉진기간 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10.27 24
15522 [거래 실태조사 결과] 유튜브 유료 투자정보, 광고만 믿지 말고 꼼꼼히 확인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10.24 68
15521 ‘어린이 키 성장’ 부당광고.불법판매 식·의약품 온라인 집중 점검…219건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10.24 63
15520 식중독균 검출된 '양념육'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10.24 56
15519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가 의원, 약국을 포함하여 확대 시행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10.24 73
» 자동차 페달오조작 방지장치 장착 의무화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10.24 61
15517 ‘25년 하반기 공동주택 하자 판정 상위 20개 건설사 명단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10.24 6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39 Next
/ 103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