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 한국철도기술연구원(원장 사공명)은 철도 내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이용객 대응 요령을 홍보하기 위한 영상을 제공한다.

 ㅇ 최근 서울 5호선 방화사고(’25.5)를 비롯하여 열차·역사 내에서 개인형이동장치 배터리, 휴대용 보조배터리 등의 화재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피해 최소화를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 부산 1호선 범어사역 전동휠(`24.8), 공항철도 열차 내 보조배터리(`25.3), 서울 4호선 열차 내 보조배터리(`25.8), 서울 2호선 합정역 
      전기이륜차 전용 배터리(`25.9) 등

 ㅇ 이에, 철도 이용객들이 안전하게 대피하기 위한 방법을 홍보하기 위해 영상을 제작하였으며, 특히 열차가 터널 운행 도중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 진압 및 이용객 대피 등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에 대응한 구체적인 행동요령을 안내하기 위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반영했다.

   * 서울 5호선 방화사건 당시 승객이 출입문 비상개방, 터널 내 하차하여 인근 역사로 도보 이동 → 인접선로 접근 열차와 충돌사고 방지를 위한
      행동요령 보완·안내 시사

□ 영상은 열차 내 화재대응, 역사 내 화재대응 등 2가지 상황으로 구성되며, 시간흐름에 따른 행동요령과 안전시설·장비 위치 및 사용방법 등을 설명하는 형식으로 제작했다.

 ㅇ 열차 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기관사와 119에 화재사실을 알리고, 신속하게 옆 칸으로 이동하고, 낮은 자세로 열차가 인접역사에 도착할 때까지 기다린 이후 스크린 도어를 열고 대피할 것을 안내한다.

  - 또한, 출입문 수동 조작을 위해 비상레버를 사용할 경우 차량은 자동 정차하며, 터널 등 선로 위에서 부득이하게 대피할 경우 인근 선로의 차량 접근을 유의하여 벽을 짚고 인근 역사로 이동해야 함을 강조한다.

 ㅇ 한편, 역사 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역사 내에 비치된 화재용 마스크 등 안전장비 이용 방법 설명과 함께 유도등, 안내방송에 따라 외부로 이동할 것을 안내한다.

□ 해당 영상(1분 내외 요약영상 포함)은 국토교통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유튜브 채널*에서 시청할 수 있다.

   * 국토교통부 : youtube.com/@korealand,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youtube.com/@KRRI

□ 국토교통부 정의경 철도안전정책관은 “이번 홍보영상은 화재로 인한 비상상황에서 이용객들이 침착하게 대응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철도운영사에게도 배포하여 철도운영사들이 자체 제작하여 송출하고 있는 영상을 수정·개선하는데 활용할 것”이라면서,

 ㅇ “국토교통부는 앞으로도 국민 눈높이에 부합하는 안전한 철도가 되기 위해 철도운영사와 함께 지속적으로 교육훈련을 실시하고, 사고 대응 매뉴얼을 고도화하는 등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국토교통부 2025-09-16 ]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