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휴가철 캠핑 시 축산물 부패·변질에 유의하세요!

- 아이스박스 없이 4~6시간이면 부패 발생할 수 있어 -

본격적인 여름휴가철을 맞아 캠핑을 계획하는 소비자들이 많다. 캠핑장에서 가족이나 친구들과 둘러앉아 즐기는 바비큐는 단연 캠핑의 백미이나 바비큐에 사용되는 축산물은 비위생적으로 보관·조리할 경우 부패와 변질이 쉬워 식중독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캠핑 경험자를 대상으로 캠핑 관련 식품안전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축산물 보관 시뮬레이션 시험(축산물 및 가공육의 시간에 따른 일반세균수 변화 추이)을 수행, 캠핑용 먹거리의 식중독 예방을 위한 안전주의보를 발령하였다.

* 최근 1년 간 캠핑을 경험한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1

아이스박스 등 냉장기구 없이 4~6시간 보관하면 세균증식으로 인한 축산물 부패 발생 가능

여름철 외부(33)와 여름철 차량 트렁크(43)에 아이스박스 등 냉장기구 없이 축산물을 보관하면 대체로 4시간 후 부터 균의 증식이 나타나 6시간이 경과하면서 부패 초기로 인식하는 5×106CFU/g*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이스박스 보관** 시에는 24시간이 경과해도 세균수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 세균 자체가 인체에 직접적인 건강상 위해를 나타내지는 않지만 일반세균이 오백만CFU 이상(5.0×106) 나오면 부패가 시작될 수 있기 때문에 식품 제조, 보존 및 유통 등의 위생관리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미를 지님.

CFU(Colony Forming Unit) : 세균 계수 단위

** 아이스박스 용량의 20%를 얼음으로 채운 조건, 아이스박스 보관 시 410유지

[ 시간 경과에 따른 축산물의 세균수 변화 ]

* 해당시간에는 시험하지 않음.

가공육의 경우 살균처리과정을 거쳐 초기균수가 적어 부패 초기 단계에 접어드는 시간이 축산물(생고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편(8~12시간)이었으나, 일정시간 경과 후에는 마찬가지로 부패 단계에 접어드는 것으로 확인됐다.

20%는 캠핑장까지 이동 중 아이스박스 등 냉장기구를 사용하지 않아

설문조사 결과, 19.3%(1,000명 중 193)는 캠핑 시 식재료로 축산물 등을 구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캠핑장까지 이동 중 아이스박스 등 냉장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캠핑장까지 시간이 별로 소요되지 않아서” (63.2%), “냉장제품이 많아 충분히 신선하다고 생각되어서”(13.0%) 등을 꼽았다.

2

축산물 등은 대부분 집 근처 마트 등에서 구입(77.9%)하여 캠핑장까지 평균 1~3시간 이동(64.8%)하였고, 대부분 당일 저녁에 섭취한다(83.0%)고 응답하여 오전에 구입했을 경우 섭취까지 7~8시간 이상 소요될 수 있어 이번 시험결과와 같이 구입한 축산물 등이 부패될 가능성이 있었다.

장 볼 때 축산물을 마지막에 구입하는 경우는 약 40% 정도에 불과해

세균 증식이 쉬운 축산물 등은 마지막에 구입하여 바로 아이스박스 등 냉장기구에 넣어 세균 증식을 억제시키는 것이 중요하나, 가장 마지막에 구입하지 않은 경우(동선에 따라 구입, 가장 먼저 구입 등)가 전체의 60.5%에 달했다.

또한, 축산물 등의 육즙이 다른 식품과 교차오염되지 않도록 다른 식재료와 구분 보관해야 하는데 응답자의 57.7%가 구분 없이 담았다고 답해 전반적인 축산물 등의 취급 안전 의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여름휴가철 캠핑 시 축산물 등 캠핑용 먹거리를 안전하게 즐기고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관리 요령(붙임)을 잘 숙지하고 실천해줄 것을 소비자들에게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2016-08-0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026 2014∼2015년 항공교통서비스 평가 결과 발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2 73
11025 리우 올림픽 감염병 대응 긴급상황실 24시간 본격 가동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2 77
11024 새로운 영상기술로 암전이 조기 발견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2 83
11023 한글로 된 사이트라도 해외구매일 수 있어 주의 필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2 76
» 휴가철 캠핑 시 축산물 부패·변질에 유의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2 170
11021 봉화고등학교의 부당한 광고행위에 대한 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3 92
11020 다임러트럭코리아(주), 덤프트럭 시정조치(리콜)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3 76
11019 오염지역 방문 후 비오염지역을 거쳐 입국할 때에도 반드시 건강상태 질문서를 제출하여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3 115
11018 지카바이러스 발생국가에 미국(마이애미 시 등) 추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3 89
11017 에너지효율 1등급 가전 인센티브 지원사업 온라인 환급시스템 운영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3 131
11016 학원가 주변 어린이 기호식품 조리·판매업소 위생점검 실시 사전 예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3 95
11015 식약처, 식품 축산물 관리기준 일원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3 80
11014 ‘㈜콜핑’, 지퍼 매듭 마감 미흡한 티셔츠 무상수선?교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3 158
11013 불만글 올렸다고 가맹점 계약 해지, ㈜대호가 게재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4 91
11012 간편심사보험 관련 불합리한 관행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4 104
Board Pagination Prev 1 ...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