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행정안전부(장관 윤호중)는 추석을 앞두고 벌초 등으로 예초기를 사용할 경우, 안전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 예초기는 경운기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농업기계이며, 예초기와 관련된 사고 발생 비율도 10.1%에 달한다.

 ○ 특히, 9월은 여름 동안 자란 풀을 정리하거나 벌초 작업으로 예초기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이로 인한 사고 발생 위험도 높다.

 ○ 예초기 사고 유형으로는 사용 중 베이거나 찔림(46.7%)이 가장 많았으며, 날아오거나 떨어지는 물체에 맞음(20.0%), 
      작업 중에 넘어지거나 떨어짐(13.3%)이 그 뒤를 이었다.

   - 주로 다치는 부위는 팔과 다리(각각 26.7%), 몸통(20.0%), 머리(13.3%) 순이다.


□ 예초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에 주의한다.


 ○ 작업 전에는 안면보호구 또는 보안경, 무릎보호대, 안전화, 장갑 등 신체 보호장비를 꼼꼼히 갖추고 긴 옷을 입는다.


 ○ 예초 작업 중 돌이나 금속파편 등 이물질이 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급적 안전날(원형날, 끈날 등)을 사용하고, 

      예초기는 보호 덮개를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 주변의 돌과 나뭇가지, 유리병 등 예초기 날에 부딪혀 튈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작업 반경 15m 이내로는 접근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작업 중 칼날에 이물질이 끼었을 경우에는 반드시 예초기 전원이나 동력을 차단한 뒤 장갑을 낀 손으로 제거한다.


□ 황기연 예방정책국장은 “9월은 추석을 앞두고 벌초를 위해 예초기 사용이 크게 늘어나는 시기”라며,


 ○ “특히 예초기 사용 경험이 적을 경우에는 보호장비를 꼭 착용하고, 안전수칙을 준수하며 벌초 작업을 진행해 주시기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 행정안전부 2025-09-11 ]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