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여성가족부(장관 원민경)는 2026년도 한부모가족 지원 관련 예산안을 올해 5,906억 원 보다 354억 원(6.0%)이 증액된 총 6,260억 원으로 편성하였다.

ㅇ 여성가족부는 내년도 예산안에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등 복지급여 지원대상 확대 및 지원금 인상, ▴한부모가족 법률·의료·주거 지원 확대, ▴양육비 선지급금 회수 제고 등을 반영했으며, 이를 통해 한부모가족의 생활 안정과 건강한 자녀양육 지원을 위한 정책을 촘촘히 추진할 계획이다.

□ 첫째, 여성가족부는 내년에 한부모가족 복지급여 지원대상을 확대하고, 각종 지원금액을 인상한다.

ㅇ 한부모가족 복지급여 지원대상을 기준 중위소득 63%이하에서 65%이하 가구로 확대함에 따라 월 23만 원을 지원받는 아동양육비 수혜자가 약 1만 명 증가될 것으로 추산된다.

    ※ 소득인정액이 2인가구 기준으로 ’26년에 “2,729,540원 이하”인 가구, 3인가구 기준으로 ‘26년에 “3,483,373원 이하”인 가구까지 
        지원대상이 확대됨 

ㅇ 미혼모·부 및 조손가족, 청년(25~34세) 한부모에게 지원하는 아동양육비를 월 28만 원에서 월 33만 원으로 인상한다.

ㅇ 또한, 초·중·고등학생 자녀 1인당 지원하는 학용품비도 연 9.3만 원에서 연 10만 원으로 인상한다.

□ 한편, 한부모가족 복지급여 지원대상이 확대됨에 따라 부정수급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소득·인적사항 변동 시 신고의무” 및 법적 처벌* 등에 대한 안내를 강화하고, ▴부정수급 특이사례 및 적발 우수사례 등을 발굴하여 전 지자체에 전파하고 공유할 계획이다.

    *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복지 급여를 받거나 타인으로 하여금 복지급여를 받게 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1천만 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에 처함

□ 둘째, 한부모가족에 대한 법률·의료·주거 지원을 확대한다. 

ㅇ 중위소득 125%이하 한부모가족 대상 법률상담, 소송대리 등을 제공하는 ‘한부모가족 무료법률구조 사업’ 예산을 기존 4억 9,200만 원에서 6억 3,200만 원으로 증액(1.4억 원)하여 무료 법률지원을 확대한다.

    * 연간 지원(예상) 건수 : (’25) 약 1,500건 → (‘26) 약 1,900건

ㅇ 한부모가족 복지시설에 입소한 가구에게 지원되는 생활보조금을 월 5만 원에서 월 10만 원으로 인상하고, 경계선지능인 상담·치료를 위해 진단비 300명분 예산도 반영하였다. 
 
ㅇ 또한,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에서 확보한 매입임대주택 지원을 326호에서 346호로 확대하여 한부모가족이 자립할 수 있는 주거안정 기반을 강화한다.

    * 매입임대주택 : (‘25) 326호, 보증금 최대 11백만 원 → (’25) 346호, 최대 12백만 원

□ 셋째, 비양육자로부터 양육비를 받지 못하는 한부모에 대한 양육비 이행 확보 지원을 강화한다.

ㅇ 지난 7월 시행한 양육비 선지급금의 회수를 위해 양육비이행관리원의 인력*을 증원하고, 양육비 선지급 신청의 편의성 제고를 위해 간편인증서비스를 도입하며, 선지급 채무자에 대한 소득 재산조사, 압류 방식 다각화 등을 위해 시스템을 고도화(증액 611백만 원)한다.

    * 징수 인력 8명, 모니터링 인력 3명 등 13명 증원 

(양육비 선지급 제도란?) 양육비 채권이 있으나 양육비를 이행 받지 못하는 중위소득 150% 이하 양육부모에게 자녀가 18세가 될 때까지 1인당 월 20만 원의 선지급금을 국가가 먼저 지급하고 채무자로부터 징수하는 제도임

 ※ 단, 선지급금은 집행권원의 양육비를 초과할 수 없음

ㅇ 또한, 이혼 소송 등 법원의 판결·심판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자녀양육비 산정 지침(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 예산을 확보(50백만 원)하였다. 

□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은 “한부모가족이 자녀양육과 경제활동을 홀로 수행하는 어려움과 양육비를 제때 받지 못하는 고충에 대해 공감한다.”라며

ㅇ “2026년에 확대된 예산을 통해 한부모가족이 양육 부담을 덜고, 양육비 이행 확보 지원과 주거 지원 등 한부모가족이 자립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여성가족부 2025-09-1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427 “유족을 두 번 울리는 장례식장 이용 관행”… 소비자 관점에서 합리적으로 개선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16 1
15426 신유형 상품권 이용약관 상 불공정약관 조항 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16 1
15425 코로나19 고위험군 대상,’25-’26절기 코로나19 예방접종 10월 15일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15 2
15424 부모와 따로 사는 20대 빈곤 청년 생계급여 따로 받는 모의적용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15 3
15423 공연·전시 할인권 1차 발행 종료 임박, 지금 바로 사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15 2
15422 깜빡 잊고 있던 숨은 금융자산,클릭 한번으로 18.4조원을 찾아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15 2
15421 분양가 상한제 기본형 건축비 9월 정기고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15 3
15420 소셜미디어(SNS) 라이브 커머스, 의류·섬유용품 관련 소비자상담 매년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12 19
15419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9월 22일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12 21
15418 아우디 Q4 e-tron 차량 공조장치 하자 “수입사 책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11 22
15417 2023년 『청년(20∼39세) 한부모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 분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11 22
15416 학교 밖 청소년, 오늘은 건강 점검! 내일은 미래 점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11 17
» 한부모가족 아동에 대한 양육지원 확대·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11 17
15414 추석 성수품, 원산지를 확인하고 구입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11 21
15413 퇴직연금 사업자와 상품 선택, 수익률 제고의 시작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9.11 1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30 Next
/ 103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