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08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나들이가 많아지는 초가을을 맞아 야외 활동 시 식중독이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식음료 관리와 식중독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지난 5년간(’20~’24년) 가을철 식중독 발생 건수는 평균 64건**(24%)으로 여름철 다음으로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관광객 등 많은 인파가 모이고 다양한 먹거리가 제공되는 지역축제·행사도 집중*된다.

    * ’25년 가을철(9~11월) 지역축제‧행사(예정) : 502회(연간 1,214회의 약 41%)
   ** 최근 5년간(‘20년~’24년) 계절별 평균 식중독 발생 건수
     : 봄(3~5월) 56건(21%), 여름(6~8월) 99건(37%), 가을(9~11월) 64건(24%), 겨울(12~2월) 50건(19%)

특히 일교차가 큰 시기에는 낮기온이 상승해 음식을 상온에 오래 보관하거나 식재료 취급·개인위생에 부주의한 경우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와 식품 영업 종사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음식 구입·보관]

❶ 소비자가 도시락·포장음식을 구입할 때에는 가능한 해썹(HACCP) 인증받은 식품제조‧가공업소(도시락전문제조업체등)의 제품이나 위생 상태가 우수하다고 인정된 위생등급 지정 음식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 개 음식점에서 대량 주문하기 보다는 여러 음식점에 나누어 먹을 만큼만 구입한다.

섭취 전에는 용기 또는 포장 등이 오염되거나 손상되지 않았는지 확인한 후 가능한 즉시 섭취하고 즉시 섭취가 어려운 경우 냉장(0~5℃)상태로 보관한다.

 [식재료 취급·조리]

❷ 음식점 등 영업자는 식재료는 판매 당일 구매‧소비되도록 적절한 양을 주문하고 식품 보관 온도를 준수해 위생적으로 보관하여야 해야 하며 육류는 중심온도 75℃ 1분 이상 충분히 가열한다. 

달걀 취급 시 교차오염이 되지 않도록 다른 식재료와 구분 보관하고, 달걀을 만진 후에는 깨끗이 손을 씻어야 하며 김밥에 사용되는 지단은 가능한 축산물가공업체에서 생산된 지단 또는 살균전란액을 사용한다. 

 [개인위생 관리]

❸ 식중독 예방을 위해 조리종사자와 소비자는 모두 식중독 예방수칙(‘손보구가세’)을 준수하여야 한다.

- 식중독 예방, ‘손보구가세’요! -
① 손씻기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깨끗이 손을 씻어야 합니다.
② 보관온도 지키기  냉장식품은 5℃ 이하, 냉동식품은 –18℃ 이하로 보관해야 합니다.
③ 구분사용하기  날음식과 조리음식은 구분하고, 식재료별로 칼과 도마도 구분합니다.
④ 가열하기  육류는 중심온도 75℃, 어패류는 85℃에서 1분 이상 익혀야 합니다.
⑤ 세척·소독하기  식재료와 조리기구는 깨끗이 세척·소독해야 합니다.

아울러 식약처는 외식 프랜차이즈의 식품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9월 11일 서울비즈센터(서울특별시 용산구 소재)에서 치킨, 떡볶이, 김밥, 도시락 등 주요 외식 프랜차이즈 업계를 만나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김성곤 식품안전정책국장은 업계에 주요 법령 위반 사례, 식중독 발생 사례 등을 공유하고 재발 방지와 식중독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는 한편 점포 위생 관리에 힘써 줄 것을 요청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이 식중독 걱정 없이 지역축제‧행사를 즐길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위생관리를 강화하고 다양한 식중독 예방 활동을 추진할 계획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5-09-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68 해수온도 상승, 비브리오 식중독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4 2025.09.05
67 중금속 기준 초과 검출된 건조굼벵이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6 2025.09.05
66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 대출상품 선택 및 신용카드 이용 관련 유의사항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3 2025.09.08
65 ETF에 대한 정보를 제대로 잘 알고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7 2025.09.09
64 ‘아이폰 17’ 허위·기만 광고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48 2025.09.09
63 [안전 실태조사 결과] 허브 오일 제품, 알레르기 유발성분에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52 2025.09.09
62 안전지대 없는 금융사기 - 금융회사 사칭 홈페이지,이메일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3 2025.09.11
» 가을 나들이철 식중독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8 2025.09.11
60 추석 전 벌초, 예초기 사용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2 2025.09.11
59 식약처, 펌 제품 소비자 주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0 2025.09.12
58 URL 링크가 제공되는 2차 소비쿠폰 문자와 알림은 100% 사기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1 2025.09.15
57 세균수 초과 검출된 ‘영유아용 이유식’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9 2025.09.16
56 비브리오패혈증 발생 증가, 고위험군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3 2025.09.16
55 가을 산행길, 성묫길 ‘버섯 중독 사고’ 주의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4 2025.09.16
54 2030세대 대상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 성행, 혼자가 된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49 2025.09.18
53 추석 고향 가는 길, 먹거리 안전 유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7 2025.09.18
52 당신의 심장은 안녕하신가요 근무 환경 개선으로 급성심장정지 예방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6 2025.09.18
51 [추석 명절 택배 피해예방주의보] 택배운송서비스, 배송 중 파손·분실 소비자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0 2025.09.23
50 2차 소비쿠폰 신청 문자에는 URL이 없습니다. 절대 클릭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82 2025.09.23
49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 이상사례 해당 제품 회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8 2025.09.23
Board Pagination Prev 1 ...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Next
/ 26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