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78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늦여름 막바지에 전국 곳곳에서 체감온도가 35℃를 웃도는 폭염이 지속되고 해수 온도가 상승하면서 비브리오* 식중독 발생이 우려됨에 따라 식중독 예방수칙을 적극 실천할 것을 당부했다.

    * 장염 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 비브리오 패혈증균(Vibrio vulnificus) 등

최근 5년간(’20~’24년) 장염 비브리오 식중독 발생건수는 이전 5년 대비 약 83% 감소(52건→9건)하였으나, 수온이 상승하는 여름철(7~9월)에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 최근 5년간 여름철(7∼9월)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발생건수 :(7월) 2건, (8월) 4건, (9월) 3건

특히, 장염 비브리오균은 바닷물 온도가 15℃ 이상이 되면 증식을 시작하여 20~37℃에서 매우 빠르게 증식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 균에 오염된 어패류를 날것으로 섭취하는 경우 구토,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비브리오 패혈증균은 수온이 상승하는 5월~10월에 활발히 증식하며 오염된 어패류 등을 생식하거나 오염된 바닷물이 상처 난 피부에 접촉해 감염될 수 있다. 특히 만성 간질환 등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이 감염되는 경우 패혈성 쇼크로 사망(사망률 50%)에 이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에 소비자가 비브리오 식중독을 예방하고 건강한 여름을 나기 위해서는 비브리오균에 오염된 수산물을 구입‧조리‧섭취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하고, 일상생활에서 식중독 예방수칙(‘손보구가세*’)을 적극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 “손보구가세”는 손씻기, 보관온도, 구분사용, 가열조리, 세척·소독 5대 예방수칙의 앞글자로 만든 식중독 예방 실천 구호

식약처는 비브리오 식중독 예방을 위해 활어 등 수산물을 취급하는 음식점의 수족관 물이 비브리오균에 오염됐는지를 신속검사하고 있다. 

    * ‘24년 수족관물 검사 실적 447건(’25년 수족관물 검사 목표는 450건)

아울러 비브리오패혈증균 예보 및 예보 단계별 대응요령을 ‘비브리오 예측시스템(vibrio.foodsafetykorea.go.kr/main)’에서 제공하고 있으며, 올해부터 국민들이 즐겨 찾는 주요 낚시터, 해루질 포인트, 해수욕장에 대한 비브리오패혈증균 예측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개하고 있다. 

이에 식약처는 여행객이 해수욕장 등을 방문할 때에는 비브리오균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비브리오 예측시스템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 비브리오 예측시스템은 비브리오 패혈증균 발육에 영향을 미치는 수온, 해수 교환율, 과거 균 검출이력 정보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패혈증균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시스템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의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계절별 식중독 예방을 위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5-09-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 해수온도 상승, 비브리오 식중독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8 2025.09.05
56 중금속 기준 초과 검출된 건조굼벵이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2 2025.09.05
55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 대출상품 선택 및 신용카드 이용 관련 유의사항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32 2025.09.08
54 ETF에 대한 정보를 제대로 잘 알고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80 2025.09.09
53 ‘아이폰 17’ 허위·기만 광고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3 2025.09.09
52 [안전 실태조사 결과] 허브 오일 제품, 알레르기 유발성분에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7 2025.09.09
51 안전지대 없는 금융사기 - 금융회사 사칭 홈페이지,이메일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1 2025.09.11
50 가을 나들이철 식중독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6 2025.09.11
49 추석 전 벌초, 예초기 사용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4 2025.09.11
48 식약처, 펌 제품 소비자 주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6 2025.09.12
47 URL 링크가 제공되는 2차 소비쿠폰 문자와 알림은 100% 사기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9 2025.09.15
46 세균수 초과 검출된 ‘영유아용 이유식’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8 2025.09.16
45 비브리오패혈증 발생 증가, 고위험군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34 2025.09.16
44 가을 산행길, 성묫길 ‘버섯 중독 사고’ 주의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9 2025.09.16
43 2030세대 대상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 성행, 혼자가 된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0 2025.09.18
42 추석 고향 가는 길, 먹거리 안전 유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8 2025.09.18
41 당신의 심장은 안녕하신가요 근무 환경 개선으로 급성심장정지 예방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9 2025.09.18
40 [추석 명절 택배 피해예방주의보] 택배운송서비스, 배송 중 파손·분실 소비자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3 2025.09.23
39 2차 소비쿠폰 신청 문자에는 URL이 없습니다. 절대 클릭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9 2025.09.23
38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 이상사례 해당 제품 회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3 2025.09.23
Board Pagination Prev 1 ...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Next
/ 26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