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과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의 보안 실태조사 결과 발표를 계기로 사물인터넷(IoT) 보안인증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제품 보안성 제고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로봇청소기를 비롯한 사물인터넷(IoT) 제품은 최근 몇 년간 시장 규모가 급속히 확대되어 상당수 가정에 보급되는 등 국민 생활에 가장 밀접한 제품으로 자리 잡았으나, 심심치 않게 보도되는 국외 해킹사례 기사 등으로 인해 보안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도 함께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과기정통부도 소비자에게 보다 정확한 보안정보를 제공하고 제품 보안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던 중 소비자 권익 보호 및 제품 안전성 검사에 전문성을 가진 한국소비자원에 협력하는 방안을 제안하였고, 한국소비자원 또한 로봇청소기에 대한 소비자의 안전 확보 필요성에 공감하며 정보보호 전문기관인 한국 인터넷진흥원(KISA)과 힘을 합쳐 실태조사를 추진하게 되었다.

 한국소비자원과 한국 인터넷진흥원에서 발표한 이번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부 제품에서 사생활 침해로 이어질 수 있는 취약점을 발견하고 즉시 개선 조치가 이루어졌으며, 이외에 제품의 보안성을 제고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각 제조사가 개선계획을 한국소비자원에 제출하는 등 이번 보안점검을 통해 국민들이 안심하고 디지털 제품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 실태조사 결과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한국 인터넷진흥원과 한국소비자원의 보도내용 참고

한편, 작년 12월 가장 높은 수준의 사물 인터넷(IoT) 보안인증*(스탠다드)을 획득한 제품(삼성전자 BESPOKE AI 스팀, VR7MD97716G)의 경우 이번 실태조사의 종합적인 평가에서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사물 인터넷(IoT) 보안인증이 소비자가 안전한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사물인터넷(IoT) 보안인증은 Lite(시험항목 10개)-Basic(29개)-Standard(43개) 세 단계로 구성

사물 인터넷(IoT) 보안인증은 로봇청소기, 지능형 냉장고(스마트 냉장고), 인터넷 프로토콜 사진기(IP카메라), 디지털 문잠금(디지털도어락) 등 국민의 생활과 밀접한 사물인터넷(IoT) 제품을 대상으로 보안 요구조건을 갖췄는지 시험·평가하는 인증으로 지금까지 450여 개의 제품이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소비자가 제품 선택 시에 인증 획득여부도 함께 고려하면 안심하고 디지털 제품을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기정통부는 국민의 안전한 디지털 이용환경 조성과 보안 우려 해소를 위해 제조사와 소통 강화, 소비자의 인식 제고, 관계기관 협력 확대 등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이번 로봇청소기 보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제조사·유통사와 9월 중 간담회 개최를 시작으로 소통을 강화하여 이번 점검 대상이었던 제품을 포함한 디지털제품 전반의 보안성 개선을 요구하고 소비자가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사물인터넷(IoT) 보안인증 획득도 독려할 예정이다.

또한, 디지털제품 구매 전 보안인증 획득 여부 확인, 안전한 비밀번호 설정, 주기적인 보안 갱신(업데이트) 등 소비자가 생활 속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주요 보안 수칙을 관련 제조사와 유통사를 통해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보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제고하고자 한다.

아울러, 과기정통부는 일회성 점검으로 끝나지 않고 관계기관과 협력을 지속 추진하여 점검을 이어나가면서 과기정통부 자체 보안점검이 가능하도록 법적 근거 마련 등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과기정통부는 보안이 우수한 디지털제품의 해외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주요국과의 사물 인터넷(IoT) 보안인증 상호인정약정(MRA)도 함께 추진하고 있어, 이를 통해 디지털제품 전반의 보안성을 제고시켜 국민이 안심하고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나갈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최우혁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이번 로봇청소기 보안 실태조사가 제품 보안성 향상과 소비자 인식제고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보안이 디지털제품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아 제품 보안 수준이 제고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해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09-02 ]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