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신선 배송 도입으로 연어 등 수산물 반찬류의 온라인 판매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최근 온라인 시장에서 유통되는 주요 수산물 반찬류인 연어장ㆍ게장 제품 15개(연어장 8개, 게장 7개)의 위생 상태를 분석했다.

※ 2024년 농ㆍ축ㆍ수산물의 온라인 거래액이 전년 대비 10.7%p 증가(온라인 쇼핑몰 상품군별 거래액, 통계청)

시험 결과, 40%(6개) 제품에서 식중독균 중 하나인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이하 리스테리아) 또는 위생 지표균인 대장균**이 검출됐다.
*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식중독균 중 하나로 어패류, 식육류, 채소류 등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감염되면 발열, 구토, 설사 등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음.
** 대장균: 제품의 위생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세균으로 식품에서 확인되면 사람이나 동물의 분변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오염돼 비위생적으로 조리된 
    것으로 볼 수 있음.

연어장 및 게장은 가열조리 없이 바로 섭취하는 식품이라 유해 미생물에 오염되면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ㆍ유통ㆍ판매과정에 철저한 위생관리가 필요하다.

☐ 2개 제품에서 리스테리아 검출, 4개 제품은 대장균 기준 부적합 (세부내용, 4페이지)

조사대상 15개 제품에 대해 미생물(대장균ㆍ리스테리아ㆍ장출혈성대장균ㆍ 살모넬라ㆍ 황색포도상구균ㆍ장염비브리오ㆍ 노로바이러스) 오염 여부를 조사한 결과, 연어장 2개 제품에서 리스테리아가 검출되었다.

게장 4개 제품은 대장균이 관련 기준에 부적합했고, 게장 1개 제품에서는 이물(나일론 끈)이 검출되었다.

중금속(납, 카드뮴) 오염을 확인한 결과 모두 관련 기준에 적합했다. 배송 과정에서의 변질은 없었으며, 제품 품온(중심부 온도)도 냉장 온도(0~10℃)로 유지되는 것이 확인됐다.

☐ 80%는 의무표시사항 미흡해 개선 필요 (세부내용, 6페이지)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제품의 80%(12개)가 식품유형, 내용량, 냉동식품 표시 및 소비기한 등 의무표시사항이 관련 기준*에 미흡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식품 등의 표시기준」(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25-27호)

한국소비자원은 연어장 및 게장 제품의 안전성 확보와 소비자 위해사고 예방을 위해 해당 사업자에게 제품 위생관리 강화와 표시사항 개선을 권고했다. 관련 업체들은 권고를 수용해 제조공정의 위생관리를 강화하고 제품 표시를 개선하기로 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연어장ㆍ게장 등 수산물 제품의 제조ㆍ유통 단계의 위생점검을 요청할 계획이다.

아울러 소비자에게는 “수산물 반찬류는 구입ㆍ배송 후 적정온도에 맞게 보관한 뒤 소비기한 내 섭취하고, 제품 개봉 시 상한 냄새가 나는 등 변질이 의심되면 섭취하지 말아야 한다”며 “식중독 증상을 느끼면 즉시 병원에서 진단을 받고 음식물과 같은 증거물은 비닐봉투에 담아 보건소에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5-08-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358 3ㆍ3ㆍ3법칙만 챙겨도 안심 전세계약 가능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8 5
15357 오르테·소베맘 젖병세척기, 전량 자발적 리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8 6
15356 일하는 가정에 힘 보태는 근로․자녀장려금, 3조원 지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8 5
15355 중요한 표시·광고사항 고시 일부 개정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8 5
15354 하도급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8 5
15353 지자체-마을-취약계층을 하나로 연결하는 3중 안전망으로, 빈틈없이 재난정보 전달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7 5
15352 남녀 모두가 성평등을 체감하는 정책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7 6
15351 전국 47개 상급종합병원 의료정보, ‘나의건강기록’앱에서 한눈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7 7
15350 보조배터리 기내안전관리 대책 9월 1일부터 보완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7 6
15349 30세 미만 젊은세대 당뇨병, 13년간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6 6
» 가열 조리 없이 바로 먹는 연어장ㆍ게장 위생관리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6 5
15347 [액션카메라 품질비교 결과] 여행·브이로그 필수품 ‘액션카메라’, 제품별 주요 성능 차이 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6 7
15346 소비자원-특허청, 주방용품 지식재산권 허위표시 점검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6 5
15345 공유재산 임대 중인 소상공인 임대료 대폭 완화해 경기침체 부담 던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6 7
15344 자전거도로·숲길에서도 쉽게 위치 찾을 수 있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6 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25 Next
/ 10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