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2024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 국민이 질병진단 또는 건강검진 목적으로 총 4억 1,270만여 건(국민 1인당 8.0건)의 의료방사선 검사*를 실시하였고, 전년(’23년)대비 3.5% 증가하였다고 발표하였다.
  * 방사선(엑스선)을 이용하여 질병진단 또는 건강검진에 이용하는 영상의학검사(일반촬영, 유방촬영, 컴퓨터단층촬영(CT), 골밀도촬영, 
     치과촬영, 투시촬영, 혈관촬영)

이에 따라, 2024년 우리나라 국민이 받은 의료방사선 피폭선량은 총 162,090 man·Sv(맨·시버트), 국민 1인당 피폭선량은 3.13 mSv(밀리시버트)이다. 일반적으로 방사선 피폭선량이 증가하면 암 발생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건강상 얻는 이득이 클 경우에만 의료방사선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 방사선 피폭량과 암 발생위험도가 선형적으로 비례한다는 이론(Linear No-Threshold model)
 ** ICRP(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 등에서 권고하는 방사선 안전관리 원칙 중 ‘행위의 정당화’ 원칙

이번에 발표한 2024년 국민의 의료방사선 이용 현황에 의하면, 최근 5년간(’20년~’24년) 의료방사선 검사건수와 피폭선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2024년의 경우 전년에 비해 그 증가폭이 둔화되어 검사 건수는 전년(’23년) 대비 3.5% 증가하였으나, 피폭선량은 전년도와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피폭선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일반촬영, 치과촬영, 골밀도촬영의 건수는 증가한 반면, 피폭선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컴퓨터단층촬영(CT), 투시촬영 등의 건수가 감소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2024년 의료방사선 검사종류별 검사 건수*는 일반촬영이 3억 2,100만여 건(국민 1인당 6.2건)으로 전체의 77.9%, 피폭선량**은 CT가 108,552 man·Sv(국민 1인당 2.1 mSv)로 전체의 67.0%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검사건수) 일반촬영 77.9% > 치과촬영 12.1% > 유방촬영 4.5% > CT촬영 3.8% 순
 ** (피폭선량) CT촬영 67.0% > 일반촬영 27.5% > 혈관촬영 2.1% > 투시촬영 1.6% 순

CT의 경우 피폭선량이 전체의 67.0%를 차지하는 것에 비해 검사 건수는 전체의 3.8%라는 것을 고려하면, CT가 영상의학검사 중 검사 건당 피폭선량이 가장 많으므로, 적정 사용해야 할 필요성이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번에 발표한 2024년 국민의 의료방사선 이용 현황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으로부터 실제 국민들이 실시한 의료방사선 검사건수를 수집하고, 질병관리청이 보유한 검사종류별 피폭선량(유효선량)정보를 적용하여 평가한 결과이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료기관), 국민건강보험공단(건강검진기관), 국방부(군 의료기관), 대한결핵협회(결핵검진기관), 
    교육부(학생검진기관)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국민들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의료방사선 검사를 꼭 필요한 경우에만 실시하여 불필요한 방사선 피폭을 방지해야 한다”며, “질병관리청은 의료인에게 ‘의료영상진단 정당성 지침’* 및 영상검사 ‘진단참고수준’**을 제공하고 있고, 앞으로도 의료방사선이 안전하고 적정하게 사용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환자의 질병 등의 상황에 따라 영상검사 결정 및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지침서
 ** 환자 피폭선량을 낮추기 위해 영상의학검사 시 받는 환자 피폭선량 분포 중 75% 수준의 권고 값

이번 조사결과는 「2024년 국민 의료방사선 평가 연보」로 제작되었으며, 연보는 질병관리청 누리집을 통해 배포될 예정이다.

 ※ 2024년 국민 의료방사선 평가 연보: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www.kdca.go.kr) ‘정책정보' → '의료방사선안전관리' → '의료방사선게시판' → '교육 및 가이드라인’



[ 질병관리청 2025-08-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349 30세 미만 젊은세대 당뇨병, 13년간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6 10
15348 가열 조리 없이 바로 먹는 연어장ㆍ게장 위생관리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6 6
15347 [액션카메라 품질비교 결과] 여행·브이로그 필수품 ‘액션카메라’, 제품별 주요 성능 차이 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6 10
15346 소비자원-특허청, 주방용품 지식재산권 허위표시 점검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6 7
15345 공유재산 임대 중인 소상공인 임대료 대폭 완화해 경기침체 부담 던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6 8
15344 자전거도로·숲길에서도 쉽게 위치 찾을 수 있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6 7
15343 제2의 거주지에서 지역 맞춤형 지원받으세요! ‘생활인구 등록제’ 도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6 8
15342 2023년 연금통계 결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6 8
» 의료방사선 검사 건수 피폭량 지속 증가 추세, 꼭 필요할 때만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6 8
15340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9월 22일부터 시작 예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6 8
15339 비만치료제 올바른 사용이 건강을 지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6 9
15338 '식품 사막화' 지역에서도 포장육.달걀 구매할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6 14
15337 아동 돌봄 이용 부모 64%, 야간 긴급상황 발생 대비 공적돌봄 구축 필요성 공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6 11
15336 한우의 착한 가격은 가을에도 쭉~ 이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6 11
15335 캠핑·불멍 아이템, 휴대용 에탄올 화로 안전하게 사용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6 1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26 Next
/ 10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