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행정안전부(장관 윤호중)는 여름을 지나며 벌의 개체 수가 늘고, 특히 8월 중순 이후로는 벌의 활동이 왕성해지는 만큼, 벌 쏘임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 최근 5년간(2020~2024년) 벌 쏘임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는 총 91,401명이다.

 ○ 2022년에는 2만 명이 넘는 벌 쏘임 환자가 발생했으며, 2023년을 제외하면 벌 쏘임 환자 수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 8월 중순 이후는 벌들의 활동이 가장 왕성한 시기로, 연중 가장 많은 벌쏘임 환자가 발생(8월 24,306명)했다.

   ※ 벌의 생태: (7월~8월)개체 증식기, (8월 중순 이후)최대 활동기(출처: 농촌진흥청)

○ 연령대별로는 60대가 26,590명(29%)으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22,398명(25%), 70대 11,571명(13%), 40대 11,417명(12%) 순이다.

   - 특히, 등산이나 텃밭 가꾸기, 농사일 등으로 야외 활동이 많은 50대 이상에서 전체 벌 쏘임 사고의 71%가 발생했다.


□ 벌 쏘임 사고를 예방하려면 다음 사항에 주의한다.


 ○ 복장은 벌이 천적으로 인식하는 어두운색보다 밝은 계열을 선택하고, 챙 넓은 모자와 긴 옷으로 피부 노출을 최소화한다.


   ※ 말벌의 공격 성향 실험 결과, 머리부위와 검은색에 강한 공격성을 보임(출처: 국립공원공단)


   - 향이 강한 향수나 화장품, 달콤한 음료도 벌을 유인하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 야외에서 벌이 모여 있거나 땅속, 나뭇가지 등에서 벌들이 드나드는 모습이 보이면 벌집이 있을 수 있으니 접근을 피한다.


   - 벌집을 발견했을 경우 섣불리 제거하거나 벌을 자극하지 말고 119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


 ○ 실수로 벌집을 건드렸을 때는 팔을 휘두르며 벌을 자극하지 말고, 즉시 그 자리를 벗어난다.


   - 놀라서 땅에 엎드리거나 웅크리면 더 많이 쏘일 수 있으므로 머리를 보호하며 신속히 대피한다.


   - 특히, 말벌류는 한 마리가 여러 번 침을 쏠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니 각별히 주의한다.


□ 황기연 예방정책국장은 “8월 중순부터 벌의 활동이 왕성해지는 만큼, 야외 활동 시 주변을 잘 살피는 등 벌 쏘임에 각별히 유의해 주시기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 행정안전부 2025-08-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173 부상 위험으로 해외에서 리콜된 Black Diamond 하네스 환불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5.08.20
5172 와이어 단선 등 파손 우려가 있는 래피즈(REPIZ) 스텝퍼 환불 또는 교환 실시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5.08.20
5171 와이어 단선 우려가 있는 엑시밋(EXMIT) 스텝퍼 무상 수리 실시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5.08.20
5170 와이어 단선 우려가 있는 마이가(MYGA) 스텝퍼 무상 수리 실시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5.08.20
» 벌들의 활동이 왕성해지는 시기, 쏘임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5.08.20
5168 벤조피렌 초과 검출된 ‘향미유’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5.08.20
5167 일상생활 속 보험사기 유혹에 넘어가지 않도록 조심하세요!(제1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5.08.20
5166 말라리아 양성 모기 확인, 전국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5.08.19
5165 코로나19 입원환자 6주 연속 증가 손씻기, 실내환기, 기침예절 등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5.08.18
5164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 수입 ‘당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5.08.14
5163 여름 식중독 주의, 달걀 냉장 보관해야 안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5.08.13
5162 여름철 해외방문객 홍역 주의 당부, 귀국 후 3주간 증상 관찰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5.08.13
5161 금융감독원과 인천중부경찰서가 공조하여 SNS상 대출 게시글 등으로 허위환자 모집 후 위조진단서를 이용한 신종 보험사기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5.08.13
5160 여름철 ‘벌’ 출동 3년 새 54%↑...8월이 가장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5.08.12
5159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 수입 ‘당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5.08.11
5158 투자 손실을 코인으로 보상해드립니다! - 공짜에 귀가 솔깃하신가요 사기범의 단골 멘트입니다!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5.08.11
5157 코로나19 입원환자 최근 4주간 2배 증가, 고위험군, 감염취약시설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5.08.08
5156 원자재 ETP 투자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9 2025.08.06
5155 질병관리청, 전국 ‘일본뇌염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5.08.05
5154 여름철 코로나19 증가세, 주기적 환기 등 호흡기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5.08.0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61 Next
/ 26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