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국내외 온라인 플랫폼 8개사의 가품 유통 실태를 조사한 결과, 공식 사이트 대비 지나치게 낮은 가격, 가품임을 암시하는 표현 등 가품으로 의심되는 정보가 많아 소비자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품 관련 소비자 상담은 ‘가방’이 제일 많아
  
최근 3년간(’22.1.~’25.2.) 1372소비자상담센터* 및 국제거래 소비자포털에 접수된 국내외 주요 온라인 플랫폼의 가품 관련 상담 건수는 총 1,572건으로 나타났다.
  *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고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한국소비자원, 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

품목별 상담 건수는 ‘가방’ 21.0%(330건), ‘신발’ 14.5%(228건), ‘화장품’ 12.5%(196건), ‘음향기기’ 10.9%(171건), ‘의류’ 9.4%(147건) 등의 순으로 많았다. ‘가방’은 최근 3년간 계속 증가했는데, 특히 고가의 해외 브랜드 관련 제품이 많았다.

☐  지나치게 낮은 가격, 암시 표현 등 가품 의심 상품 주의 필요
  
국내외 주요 온라인 플랫폼 8개의 판매 상품 총 147개를 조사한 결과,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해외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 40개 중 72.5%(29개)가 공식사이트에서 판매하는 가격의 20% 수준의 낮은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었다. 정품 여부를 소비자가 직접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나치게 낮은 가격의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소비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테무는 상품의 지식재산권을 보유하지 않은 경우 브랜드명, 제품 이미지 사용을 제한하겠다고 판매정책 개선 계획을 회신함.

네이버 밴드, 인스타그램 등 SNS 플랫폼에서는 상품 게시글 27개 중 51.8% (14개)에서 가품을 암시하는 표현(정품급 등)이 사용되었다. 또한 66.7%(18개)는 외부 채널을 통해 거래를 유도하거나, 판매자의 가입 승인이 필요한 비공개 채널을 운영하고 있었다. 

※ 네이버 밴드는 가품 거래를 유도하는 계정에 대해 차단 조치하였음을 회신함.

조사대상 8개 플랫폼 사업자 모두 소비자가 가품을 발견했을 때 신고할 수 있는 방법을 갖추고 있었다. 다만, 4개 플랫폼은 신고 방법이 외래어로 표기되어 있거나 명확하지 않아 소비자가 신고 방법을 찾기 어려웠다.

※ 네이버 밴드, 알리익스프레스, 쿠팡, 테무 모두 신고 방법 안내 강화 계획을 회신함.

☐  복잡한 절차로 가품 환급 요구에 소극적
  
가품인지 모르고 구입한 소비자 500명 중 약 절반(49.0%, 245명)이 정품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지 않은 채 구입했는데, 그 이유는 ‘온라인 플랫폼을 신뢰해서’(36.7%, 90명)였다. 
  
또한 58.6%(293명)는 사용 중 가품 사실을 알게 된 후에도 환급을 요청하지 않았다고 응답했다. 이유는 주로 ‘환급 절차가 복잡하거나 시간이 오래 소요’(60.4%, 177명)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  가품 구입 소비자 68.4% “가품 구입에 대해 문제없다”
  
가품 구입은 브랜드의 지식재산권을 침해하는 행동이며, 건강식품이나 화장품의 경우 가품으로 인한 신체적 위해 등 안전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가품 구입 근절을 위한 소비자의 인식 개선이 필요한 이유다.
 
가품임을 알고 구입한 소비자(500명)의 68.4%(342명)는 가품 유통에 대한 법적인 문제를 인식하지 못한다고 답해, 가품 구입에 대한 소비자의 책임 의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관련 부처와 공유하고 조사대상 사업자에게 ▲ 쇼핑몰 내 가품 판매 차단을 위한 대책 마련, ▲ SNS 플랫폼 내 가품 관련 단어 사용 제한, ▲ 가품 신고 방법의 사전 안내 등을 요청하였다.


[ 한국소비자원 2025-08-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328 국립공원공단, 회원(멤버십) 제도 도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1 17
15327 패션플랫폼, 청약철회 관련 불만이 가장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1 13
15326 2학기 개학맞이 연합 거리상담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1 19
15325 “SKT 결합상품도 위약금 일부 지급하라” 직권조정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1 15
15324 '모기 기피제' 이렇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20 14
15323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를 위해 대여 서비스에 대한 행정지도를 실시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19 16
» 가품 피해 소비자 58.6%는 환급 절차 복잡해 신고 꺼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19 14
15321 8월 20일 공습 대비 민방위 훈련 전국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19 14
15320 실시간 식품정보 ‘푸드QR’, 소비자 안전부터 환경·사회·투명 경영(ESG)까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19 11
15319 방통위, 스마트 학습지 ‘눈덩이 위약금’ 조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19 15
15318 사망보험금 내 노후의 든든한 자산으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19 14
15317 국세청, 영세자영업자 국세 신용카드납부 수수료 대폭 인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19 11
15316 눈 건강 돕는 카로티노이드 함량, 국산 곡류 중 ‘옥수수’ 가장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18 14
15315 불법 선정성 광고물, 자동경고발신으로 차단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18 12
15314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골다공증 예방에도 효과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8.18 1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25 Next
/ 10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