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6년 6월 및 상반기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 전년도 메르스 기저효과로 주요 업체의 6월 매출은 전년대비 증가 -

- 상반기, 온라인몰(소셜커머스, 오픈마켓)은 20% 이상 고속 성장 -

1. 2016년 6월 매출 동향


□ 2016. 6월 주요 유통 업태별 거래액은 전년동월 대비 편의점 18%, 전자상거래(오픈마켓) 17.1%, 백화점 11.8%, 공동할인구매(소셜커머스) 10.1%, 대형마트 0.9% 증가한 반면, 종합유통몰(온라인) 및 기업형슈퍼마켓(SSM)은 각각 6.9%, 7.8% 하락


ㅇ 2016.6월 휴일 일수 1일 증가는 매출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전년도의 메르스 기저효과는 유통 업태별 매출 증감율에 상이한 영향


※ 휴일 일수 : (‘15.6) 8일(토4일, 일4일) → (’16.6) 9일(토4일, 일4일, 현충일 1일)


※ 메르스 기저효과 : 지난해 메르스 영향으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대형마트, 백화점 매출은 감소하고, 기업형슈퍼마켓(근거리 소규모 장보기 증가), 온라인거래 매출은 증가한바 있음


□ (오프라인 유통업체) 전년 메르스의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했던 백화점, 대형마트는 휴일 1일 증가, 방문객 증가 등으로 매출이 상승한 반면, 기업형슈퍼마켓은 전년도 메르스 기저효과로 매출이 감소


ㅇ 백화점은 의류, 잡화, 식품 등 전 부문 매출액이 증가하여 ‘11년 4월 이후로 가장 큰 폭으로 상승


* 백화점 매출증감률(전년 동월대비) : (‘16.4) 4.3% → (‘16.5) △2.7% → (‘16.5) 11.8%

ㅇ 대형마트는 손세정제, 마스크 등 메르스 관련 용품은 전년대비 감소하였으나 의류, 가전문화, 스포츠용품 등 대부분의 제품이 증가하여 전체적으로는 5월에 감소세에서 6월 증가세로 전환


* 대형마트 매출증감률(전년 동월대비) : (‘16.4) 1.7% → (‘16.5) △6.3% → (‘16.6) 0.9%


ㅇ 편의점은 즉석·신선식품, 가공식품의 매출이 각각 47.7%, 20.9%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14.4분기 이후 두 자릿수 대 매출 증가율 유지


* 편의점 매출증감률(전년 동월대비) : (‘16.4) 18.1% → (‘16.5) 14.8% → (‘16.6) 18.0%


□ (온라인 유통업체) 작년 6월 메르스 영향으로 매출이 증가했던 온라인 유통업체는 메르스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유지


ㅇ 오픈마켓(중개몰)*은 스타광고 확대, 간접광고(PPL) 노출상품(립스틱, 선케어) 등 텔레비전(TV) 광고효과로 인한 패션·의류(30.3%) 및 화장품(29.5%) 부문의 선전, 예약 및 티켓판매**(42.1%) 호조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17.1% 증가


* 개별 판매자가 소비자에게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업체(이베이코리아(지(G)마켓, 옥션), 11번가, 인터파크)

** 작년 메르스로 인해 일시적으로 줄었던 야외활동이 올해 다시 회복

*** 오픈마켓 거래액 증감율(전년 동월대비) : (‘16.4) 16.9%→(’16.5) 25.9%→(‘16.6) 17.1%


ㅇ 소셜커머스*는 메르스 기저효과로 대부분 품목에서 전월대비 상승률이 주춤하였으나, 휴가철 도래에 따른 캠핑, 수영 등 스포츠용품의 큰 폭 증가(94.5%)로 전년동월 대비 10.1% 증가

*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한 온라인 유통업체(쿠팡, 위메프, 티몬)


** 공동할인구매(소셜커머스) 거래액 증감률(전년 동월대비) : (‘16.4) 20.2%→(’16.5) 23.9%→(‘16.6) 10.1%

ㅇ 종합유통몰*은 오프라인 매장을 같이 운영하는 특성상 메르스 기저효과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아 전년동월 대비 6.9% 감소


* 오프라인 유통채널(계열사 포함)을 함께 운영 중인 온라인 유통업체(갤러리아몰, 에이케이몰(AK)몰, 에스에스지(SSG), 홈플러스, 롯데마트, 롯데닷컴)

2. 2016년 상반기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 (오프라인 유통업체) 편의점과 백화점은 전년동기 대비 각각 21.5%, 3.1% 증가한 반면, 대형마트, 기업형슈퍼마켓은 △1.1%, △2.2% 하락


ㅇ 편의점은 1일 가구 증가에 따른 간편식의 인기상승, 담배가격 상승효과 등에 따라 즉석·신선식품, 담배 등을 중심으로 빠르게 증가


※ 2016년 상반기 매출 증감률 : 식품부문 21.4%, 담배등 기타 22.9%


ㅇ 백화점은 식품(4.3%), 의류·잡화(2.7%) 등 대부분의 제품에서 고르게 소비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


ㅇ 대형마트는 의류부문의 상승(1.8%)에도 불구, 식품 매출이 부진(△0.9%)하여 상반기 매출이 하락


ㅇ 기업형슈퍼마켓은 주력품목인 식품부문 매출 감소(△1.9%)로 전체적으로 매출이 하락


□ (온라인 유통업체) 올해 상반기 온라인 유통은 전년 동기대비 소셜커머스 23.8%, 오픈마켓 21.5%, 종합유통몰 4.9% 성장


ㅇ 그간 고속성장을 하며 온라인 유통을 이끌던 공동할인구매(소셜커머스)의 증가율이 다소 감소하는 가운데, 전자상거래(오픈마켓)이 ‘15년(7.4%) 대비 약 3배 가까이 성장률이 증가해 공동할인구매(소셜커머스) 성장률에 근접


* 이는 일부 오픈마켓 업체가 대규모 프로모션(쿠폰 발행 등)을 진행해 전년 동기 대비 40%의 성장을 보였고, 오픈마켓도 공동할인구매(소셜커머스) 강점(가격경쟁력, 배송서비스 등)에 대응하여 서비스 개선을 추진 중(A사 스마트배송, B사 뉴(Now)배송 등)

 

[산업통상자원부 2016-07-2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55 국민권익위, “국가장학금 지원 시 다자녀 가구 자녀 수 반영해야” 적극행정 국민신청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7 83
2854 화물차 무시동 히터·에어컨 설치하고 지원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7 85
2853 저소득 가정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구매지원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7 58
2852 1월 18일(화)부터 6종 시설 방역패스 적용 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7 55
2851 국민권익위, “공동주택 등 사유지 주차갈등 해법, 국민의견으로 결정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8 46
2850 먹는 당뇨약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8 57
2849 2021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9 64
2848 코로나우울 심리회복·백신접종 이상반응 청소년 의료비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9 76
2847 국민권익위, “공공기관 부과 연체금 최고 연 17%→6% 이내로 내려야” 제도개선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9 54
2846 2021년 귀속 면세사업자 사업장 현황신고는 2월 10일까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9 48
2845 「유용한 금융정보 따라하기 Step by Step!」 교육영상 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9 32
2844 리퍼브 가구 구매자 10명 중 8명은 만족도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9 40
2843 전기차 보조금, 물량 확대 및 고성능 중심으로 개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9 54
2842 4월부터 독점 계약된 집합건물 입주 이용자의 할인반환금 100% 감면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0 64
2841 1월부터 기초연금 월 최대 307,500원 지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0 44
Board Pagination Prev 1 ... 731 732 733 734 735 736 737 738 739 740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