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6년 6월 및 상반기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 전년도 메르스 기저효과로 주요 업체의 6월 매출은 전년대비 증가 -

- 상반기, 온라인몰(소셜커머스, 오픈마켓)은 20% 이상 고속 성장 -

1. 2016년 6월 매출 동향


□ 2016. 6월 주요 유통 업태별 거래액은 전년동월 대비 편의점 18%, 전자상거래(오픈마켓) 17.1%, 백화점 11.8%, 공동할인구매(소셜커머스) 10.1%, 대형마트 0.9% 증가한 반면, 종합유통몰(온라인) 및 기업형슈퍼마켓(SSM)은 각각 6.9%, 7.8% 하락


ㅇ 2016.6월 휴일 일수 1일 증가는 매출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전년도의 메르스 기저효과는 유통 업태별 매출 증감율에 상이한 영향


※ 휴일 일수 : (‘15.6) 8일(토4일, 일4일) → (’16.6) 9일(토4일, 일4일, 현충일 1일)


※ 메르스 기저효과 : 지난해 메르스 영향으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대형마트, 백화점 매출은 감소하고, 기업형슈퍼마켓(근거리 소규모 장보기 증가), 온라인거래 매출은 증가한바 있음


□ (오프라인 유통업체) 전년 메르스의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했던 백화점, 대형마트는 휴일 1일 증가, 방문객 증가 등으로 매출이 상승한 반면, 기업형슈퍼마켓은 전년도 메르스 기저효과로 매출이 감소


ㅇ 백화점은 의류, 잡화, 식품 등 전 부문 매출액이 증가하여 ‘11년 4월 이후로 가장 큰 폭으로 상승


* 백화점 매출증감률(전년 동월대비) : (‘16.4) 4.3% → (‘16.5) △2.7% → (‘16.5) 11.8%

ㅇ 대형마트는 손세정제, 마스크 등 메르스 관련 용품은 전년대비 감소하였으나 의류, 가전문화, 스포츠용품 등 대부분의 제품이 증가하여 전체적으로는 5월에 감소세에서 6월 증가세로 전환


* 대형마트 매출증감률(전년 동월대비) : (‘16.4) 1.7% → (‘16.5) △6.3% → (‘16.6) 0.9%


ㅇ 편의점은 즉석·신선식품, 가공식품의 매출이 각각 47.7%, 20.9%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14.4분기 이후 두 자릿수 대 매출 증가율 유지


* 편의점 매출증감률(전년 동월대비) : (‘16.4) 18.1% → (‘16.5) 14.8% → (‘16.6) 18.0%


□ (온라인 유통업체) 작년 6월 메르스 영향으로 매출이 증가했던 온라인 유통업체는 메르스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유지


ㅇ 오픈마켓(중개몰)*은 스타광고 확대, 간접광고(PPL) 노출상품(립스틱, 선케어) 등 텔레비전(TV) 광고효과로 인한 패션·의류(30.3%) 및 화장품(29.5%) 부문의 선전, 예약 및 티켓판매**(42.1%) 호조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17.1% 증가


* 개별 판매자가 소비자에게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업체(이베이코리아(지(G)마켓, 옥션), 11번가, 인터파크)

** 작년 메르스로 인해 일시적으로 줄었던 야외활동이 올해 다시 회복

*** 오픈마켓 거래액 증감율(전년 동월대비) : (‘16.4) 16.9%→(’16.5) 25.9%→(‘16.6) 17.1%


ㅇ 소셜커머스*는 메르스 기저효과로 대부분 품목에서 전월대비 상승률이 주춤하였으나, 휴가철 도래에 따른 캠핑, 수영 등 스포츠용품의 큰 폭 증가(94.5%)로 전년동월 대비 10.1% 증가

*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한 온라인 유통업체(쿠팡, 위메프, 티몬)


** 공동할인구매(소셜커머스) 거래액 증감률(전년 동월대비) : (‘16.4) 20.2%→(’16.5) 23.9%→(‘16.6) 10.1%

ㅇ 종합유통몰*은 오프라인 매장을 같이 운영하는 특성상 메르스 기저효과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아 전년동월 대비 6.9% 감소


* 오프라인 유통채널(계열사 포함)을 함께 운영 중인 온라인 유통업체(갤러리아몰, 에이케이몰(AK)몰, 에스에스지(SSG), 홈플러스, 롯데마트, 롯데닷컴)

2. 2016년 상반기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 (오프라인 유통업체) 편의점과 백화점은 전년동기 대비 각각 21.5%, 3.1% 증가한 반면, 대형마트, 기업형슈퍼마켓은 △1.1%, △2.2% 하락


ㅇ 편의점은 1일 가구 증가에 따른 간편식의 인기상승, 담배가격 상승효과 등에 따라 즉석·신선식품, 담배 등을 중심으로 빠르게 증가


※ 2016년 상반기 매출 증감률 : 식품부문 21.4%, 담배등 기타 22.9%


ㅇ 백화점은 식품(4.3%), 의류·잡화(2.7%) 등 대부분의 제품에서 고르게 소비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


ㅇ 대형마트는 의류부문의 상승(1.8%)에도 불구, 식품 매출이 부진(△0.9%)하여 상반기 매출이 하락


ㅇ 기업형슈퍼마켓은 주력품목인 식품부문 매출 감소(△1.9%)로 전체적으로 매출이 하락


□ (온라인 유통업체) 올해 상반기 온라인 유통은 전년 동기대비 소셜커머스 23.8%, 오픈마켓 21.5%, 종합유통몰 4.9% 성장


ㅇ 그간 고속성장을 하며 온라인 유통을 이끌던 공동할인구매(소셜커머스)의 증가율이 다소 감소하는 가운데, 전자상거래(오픈마켓)이 ‘15년(7.4%) 대비 약 3배 가까이 성장률이 증가해 공동할인구매(소셜커머스) 성장률에 근접


* 이는 일부 오픈마켓 업체가 대규모 프로모션(쿠폰 발행 등)을 진행해 전년 동기 대비 40%의 성장을 보였고, 오픈마켓도 공동할인구매(소셜커머스) 강점(가격경쟁력, 배송서비스 등)에 대응하여 서비스 개선을 추진 중(A사 스마트배송, B사 뉴(Now)배송 등)

 

[산업통상자원부 2016-07-2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069 전화 등 통신수단을 이용해 편리하게 보험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보험업법」, 2월 18일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3 45
11068 건축물 분양제도, 수요자 중심으로 개선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3 33
11067 교차로 적색 신호에는 '반드시 정지 후 우회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3 37
11066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증가, 설 연휴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8 54
11065 설 연휴에도 가정폭력‧청소년 상담 서비스 24시간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8 40
11064 안전하고 건강하게 설 연휴 보내는 방법Ⅰ(식품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8 45
11063 안전하고 건강하게 설 연휴 보내는 방법Ⅱ (의료제품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8 40
11062 식의약 통계로 알아본 식.의약품 생산.소비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7 44
11061 운전면허증이 스마트폰 속으로...모바일 신분증 시대 열린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7 41
11060 코로나19 사망자 장례 후 화장도 가능, 애도와 추모 기회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7 41
11059 반려묘 등록, 이제 전국 어디서나 가능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7 40
11058 가맹사업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7 38
11057 극세사 침구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6 53
11056 이번 설에는 고향·친지 방문과 여행을 자제해 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6 55
11055 설명절 무료 개방 공공주차장 14,843개, '공유누리'에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5 54
Board Pagination Prev 1 ...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