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농촌진흥청, 올바른 달걀 보관법 소개

- 구매 즉시 4도 이하 냉장 보관, 살모넬라 억제 확인

대표적 고단백 식품 중 하나인 달걀.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해 식탁에 빠지지 않고 오르는 건강 식재료다.

농촌진흥청은 여름철 더욱 안전하게 달걀을 섭취할 수 있도록 과학적 사실에 근거해 올바른 보관 방법을 소개했다.

국내에 유통되는 달걀은「축산물 위생관리법」에 따라 살모넬라균 3종(Salmonella Enteritidis, S. Typhimurium, S. Thompson)에 대한 검사를 거쳐 모두 ‘불검출’ 판정이 났을 때만 유통하는 등 철저히 관리되고 있다.

그렇더라도 보관 환경에 따라 살모넬라균 생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신선한 달걀을 섭취하려면 가정에서도 올바른 방법으로 보관해야 한다.

국립축산과학원은 고의로 달걀 표면에 고농도(105-7 CFU/egg)의 살모넬라균을 접종한 후 5가지 온도 조건(4도, 10도, 15도, 20도, 30도)에서 35일간 보관하며, 살모넬라균 생육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30도(여름철)에서 보관한 달걀에서는 살모넬라균이 증가해 여전히 고농도가 유지됐다. 10도(세척란 유통 온도), 15도(달걀 선별 포장 작업장 내부 온도), 20도(상온)에서 보관한 달걀에서도 일시적으로 감소한 듯 보였지만, 다시 고농도를 지속해서 유지됐다. 

반면, 4도(냉장 온도)에서 보관한 달걀은 1일 차부터 살모넬라균이 99% 이상 급감, 35일 후까지 99.9% 이상 생장이 억제됐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로 달걀을 4도 이하에서 냉장 보관할 때 살모넬라균 생장이 억제된다는 과학적 근거를 얻었다고 밝혔다. 따라서 가정에서는 달걀 구매 즉시 냉장고에 보관해야 신선한 달걀을 먹을 수 있다. 

특히 살모넬라균에 감염되면, 구토와 설사 등 식중독 증상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평소 올바른 보관과 조리 습관에 신경 써야 한다고 덧붙였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푸드테크과 강근호 과장은 “특히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는 살모넬라 등 식중독균 생장이 활발해진다.”라며 “달걀은 반드시 냉장 보관하고, 위생적인 조리 습관을 실천해 건강하게 여름을 나길 바란다.”라고 강조했다.


[ 농촌진흥청 2025-08-1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166 코로나19 입원환자 6주 연속 증가 손씻기, 실내환기, 기침예절 등 예방수칙 준수 당부 new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0 2025.08.18
5165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 수입 ‘당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5.08.14
» 여름 식중독 주의, 달걀 냉장 보관해야 안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5.08.13
5163 여름철 해외방문객 홍역 주의 당부, 귀국 후 3주간 증상 관찰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5.08.13
5162 금융감독원과 인천중부경찰서가 공조하여 SNS상 대출 게시글 등으로 허위환자 모집 후 위조진단서를 이용한 신종 보험사기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5.08.13
5161 여름철 ‘벌’ 출동 3년 새 54%↑...8월이 가장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5.08.12
5160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 수입 ‘당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5.08.11
5159 투자 손실을 코인으로 보상해드립니다! - 공짜에 귀가 솔깃하신가요 사기범의 단골 멘트입니다!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5.08.11
5158 코로나19 입원환자 최근 4주간 2배 증가, 고위험군, 감염취약시설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5.08.08
5157 원자재 ETP 투자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5.08.06
5156 질병관리청, 전국 ‘일본뇌염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5.08.05
5155 여름철 코로나19 증가세, 주기적 환기 등 호흡기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5.08.05
5154 지속되는 폭염, 식중독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4 2025.08.01
5153 벌쏘임 뱀물림, 여름철 야외에서 집중발생 안전수칙 꼭 확인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5.07.31
5152 납 기준 초과 검출된 ‘과·채주스’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0 2025.07.31
5151 졸음운전 8월이 가장 위험, 충분한 수면 후 출발, 졸릴 때는 쉬어 가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5.07.31
5150 여름휴가, 물놀이사고·폭염·식중독 특히 조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5.07.30
5149 중금속 기준 초과 검출된 수입 ‘가공소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5.07.30
5148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 수입 ‘용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5.07.30
5147 여름철 물놀이 사고, 고령층 어린이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5.07.2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9 Next
/ 25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