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행정안전부(장관 윤호중)는 여름 휴가철에 발생하기 쉬운 물놀이사고와 폭염 속 온열질환, 식중독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 최근 5년(2020~2424)간 물놀이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총 112명이며, 이 중 절반 정도인 54명(48%)이 8월에 발생했다. 특히, 여름휴가 절정기인 8월 초순에 27명으로 가장 많았다.

 ○ 원인으로는 구명조끼 미착용 등 안전부주의가 37%로 가장 많았고, 수영미숙 34%, 음주수영 17%, 높은 파도(급류) 7% 순이다.

 ○ 8월은 해파리와 같은 독성 바다 동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환자가 급증하는 시기로, 월별 가장 많은 2,082명이 발생해 주의가 필요하다.

□ 또한, 휴가 기간에는 야외 활동도 많아지며 무더위로 인한 온열질환과 식중독 발생에도 주의해야 한다.

 ○ 특히, 올해 7월 서울의 낮 기온이 기상관측 이래 가장 더운 날씨를 기록하는 등 연일 지속된 폭염으로 온열질환자(5.15.~7.26.)도 지난해 같은 기간(906명)보다 2.6배 많은 2,311명 발생했다.


○ 여름에는 높은 온도와 습도로 음식이 빨리 상해 식중독에 노출되기 쉽다. 최근 5년(2020~2024)간 발생한 식중독은 총 1,352건이며, 장마철인 7월에 가장 많은 196건이 발생했고, 8월이 163건으로 뒤를 이었다.


□ 안전하게 여름휴가를 즐기려면 다음 사항에 주의한다.


《물놀이사고 및 해파리 쏘임 예방》


 ○ 물놀이 위험구역과 금지구역에는 들어가지 않고, 건강 상태가 좋지 않거나 음주 후에는 물에 들어가지 않는다.


 ○ 물놀이나 수상 스포츠를 즐기기 위해 물에 들어갈 때는 체형에 맞는 구명조끼를 선택해 반드시 입는다.


 ○ 어린이는 보호자와 항상 함께하고, 신발 등이 떠내려가도 무리하게 따라가지 말고 주변 어른에게 도움을 요청하도록 미리 교육한다.


 ○ 바다에 들어갈 때 전신수영복이나 긴소매 옷 등으로 피부 노출을 최소화해 해파리 쏘임을 예방한다.


 ○ 바닷속에서 갑자기 피부가 따끔거리는 등 해파리에 쏘임이 의심되면 바로 물 밖으로 나와 안전요원이나 119의 도움을 받는다.


   - 이때, 쏘인 부위를 손으로 문지르거나 만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해파리가 피부에 달라붙었을 때는 맨손으로 제거하려 하지 말고 주변의

      물건이나 장갑 등으로 떼어낸다.


《온열질환 및 식중독 예방》


 ○ 무더위 속에 등산 등 야외 활동을 할 때는 양산이나 모자로 햇볕을 차단하고, 옷은 헐렁하고 가볍게 입는다.


 ○ 갈증이 느껴지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물을 마시고, 술이나 카페인, 탄산이 든 음료를 과하게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 특히, 폭염에 어린이나 노약자를 차 안에 잠시라도 혼자 두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한다.


 ○ 또한, 무더운 날씨일수록 개인위생에 신경 쓰고, 음식은 가급적 익히거나 끓여서 먹는다.


   - 음식물이나 식재료를 직접 햇볕이 닿는 공간이나 자동차 짐칸 등에 넣어두면 부패하기 쉬우므로 얼음상자(ice box)에 넣어 보관한다.


 ○ 아울러, 음식을 먹은 후 구역질이나 구토, 복통, 설사, 발열, 두드러기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식중독일 수 있으니 즉시 병원 진료를 받는다.


□ 김주이 안전정책국장은 “일상을 떠난 휴가일수록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국민 개개인의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 “관련된 예방요령을 충분히 숙지하고 대비해 사고 없는 안전한 휴가 보내시길 바란다”라고 강조했다.



[ 행정안전부 2025-07-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166 코로나19 입원환자 6주 연속 증가 손씻기, 실내환기, 기침예절 등 예방수칙 준수 당부 new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0 2025.08.18
5165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 수입 ‘당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5.08.14
5164 여름 식중독 주의, 달걀 냉장 보관해야 안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5.08.13
5163 여름철 해외방문객 홍역 주의 당부, 귀국 후 3주간 증상 관찰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5.08.13
5162 금융감독원과 인천중부경찰서가 공조하여 SNS상 대출 게시글 등으로 허위환자 모집 후 위조진단서를 이용한 신종 보험사기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5.08.13
5161 여름철 ‘벌’ 출동 3년 새 54%↑...8월이 가장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5.08.12
5160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 수입 ‘당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5.08.11
5159 투자 손실을 코인으로 보상해드립니다! - 공짜에 귀가 솔깃하신가요 사기범의 단골 멘트입니다!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5.08.11
5158 코로나19 입원환자 최근 4주간 2배 증가, 고위험군, 감염취약시설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5.08.08
5157 원자재 ETP 투자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5.08.06
5156 질병관리청, 전국 ‘일본뇌염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5.08.05
5155 여름철 코로나19 증가세, 주기적 환기 등 호흡기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5.08.05
5154 지속되는 폭염, 식중독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4 2025.08.01
5153 벌쏘임 뱀물림, 여름철 야외에서 집중발생 안전수칙 꼭 확인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5.07.31
5152 납 기준 초과 검출된 ‘과·채주스’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0 2025.07.31
5151 졸음운전 8월이 가장 위험, 충분한 수면 후 출발, 졸릴 때는 쉬어 가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5.07.31
» 여름휴가, 물놀이사고·폭염·식중독 특히 조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5.07.30
5149 중금속 기준 초과 검출된 수입 ‘가공소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5.07.30
5148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 수입 ‘용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5.07.30
5147 여름철 물놀이 사고, 고령층 어린이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5.07.2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9 Next
/ 25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