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자녀를 둔 40대 A씨는 이사를 위해 초등학교가 가까운 아파트를 찾고 있다. 

기존에는 여러 공인중개소를 돌아다니며 매물 정보를 일일이 확인했지만, 

앞으로는 “○○역 인근에 전세 3억 이하, 100m 내에 초등학교가 있는 아파트 보여줘” 라고 질문만 하면 된다. 

공간정보 AI가 관련 데이터를 분석해 3D 지도 기반으로 조건에 맞는 아파트를 한눈에 보여주기 때문에, 원하는 정보를 훨씬 쉽게 찾을

수 있다 


□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공간정보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인공지능 기술인 Geo-AI*의 기반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오는 8월부터 

   이를 상용화하기 위한 연구개발(R&D)에 본격 착수한다.


   * GeoSpatial AI : 사용자의 질의에 텍스트뿐만 아니라 공간정보(지도, 위치, 환경 및 이동체 등)를 이해·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예측·응답하는 공간정보에 특화된 AI 기술  


□ Geo-AI는 공간정보에 특화된 인공지능 기술로서 텍스트 분석을 넘어 공간적(지도·건물·교통 등), 시간적(과거·현재·미래 등) 요소

   까지 AI가 이해·분석하여 최적의 응답을 제시하며, 챗봇형 AI와는 크게 3가지 차별성이 있다.


 ㅇ 첫째, ‘3차원 지도 기반 시각화 응답 기술’이다. “이 지역에 유해시설은 없을까?”라고 물으면, 공공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시설 

     위치를 3차원으로 지도 위에 시각화하여 보여준다.


 ㅇ 둘째, ‘공간적 맥락과 관계를 이해하는 추론 능력’이다. “출근 시간에 왜 이 구간이 막히지?”라는 질문에 거리·방향·시간 및 실시간

     교통 정보 등을 종합 분석한 객관적 자료에 기반한 논리적 응답을 제시한다.

 ㅇ 셋째, ‘다양한 공간데이터를 융합 활용하는 지능형 기술’이다. 공공 중심의 도시개발 계획, 도시인프라(SOC, 건물 등), 교통, CCTV,

     기후 데이터까지 각각 다른 형식의 공간정보를 분석해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답변을 제공한다.


□ Geo-AI 기술은 스마트기기·내비게이션 등에서 인터넷이나 앱으로 접속만 하면, 언제 어디서든 바로 이용이 가능하다.


 ㅇ 일반 국민은 Geo-AI를 활용하여 노부모를 위한 병원이 가까운 아파트나, 반려견과 함께 살기 좋은 인프라(공원 등)가 잘 갖춰진 

     지역 등 개인의 생활조건에 맞는 최적의 매물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24년부터 테스트베드로 참여 중인 부동산 스타트업은, 중간기술성과를 적용해 사용자 조건에 따라 부동산 매물을 자동 추천하고

      상담까지 연결하는 AI 중개서비스로 기술을 활용 중


 ㅇ 한편, 안전분야에서는 Geo-AI가 적용된 스마트글래스를 착용하면, 건설현장에서 현장작업자가 음성으로 지하시설물(상·하수, 

     전력 및 통신 관로 등) 위치를 실시간 파악하여 안전한 공사가 가능해진다.


 ㅇ 자율주행로봇(AMR)에 적용할 경우, 이용자가 “이 주소로 가장 빠른 길로 가줘”라고 하면 로봇은 실시간 교통과 장애물을 계산해 

     최적 경로로 이동한다.


□ 국토교통부는 Geo-AI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현재까지 개발된 기술성과(자연어 기반 검색, 지도 시각화 기능)를 공간정보

   오픈플랫폼(V-World)에 시범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 국토교통부 이상주 국토도시실장은 “AI기술을 적용하면, 국민 누구나 공간정보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ㅇ “부동산, 자율주행 및 재난안전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민의 일상을 더 편리하게 만드는 중요한 첫걸음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국

[ 국토교통부 2025-07-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254 「2024년 전국 어린이 예방접종률 현황」 발표, 어린이 접종률, 주요국 보다 최대 19%p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30 79
15253 하절기 코로나19 유행 상황 점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30 69
15252 여학생 담배 사용, 액상형 전자담배가 궐련 처음으로 추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30 46
15251 양육비 ‘꼼수 소액 이행’해도 양육비 선지급 가능하도록 제도개선 추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30 77
15250 “아이가 갑자기 아플땐, 아이안심톡으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30 82
15249 예방접종 관리 ‘나의건강기록’ 앱으로 한번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30 64
15248 「농축산물 할인지원」으로 여름 휴가철 장바구니를 가볍게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30 101
15247 이륜차 식별성 높인다 … 전면번호 스티커 시범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30 47
15246 “1년 만에 민원이 2배 가까이 증가”… 반려동물 관련 ‘민원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30 40
15245 2025년 하반기부터 5세 교육비·보육료 학부모 부담이 경감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30 81
15244 '24년도 다단계 판매업자 주요정보 공개' 및 '25년 2분기 다단계 판매업자 주요정보 변경사항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30 103
15243 졸음운전 8월이 가장 위험, 충분한 수면 후 출발, 졸릴 때는 쉬어 가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30 76
15242 「2025년 6월 결혼서비스 가격 동향 조사 결과」 결혼서비스 옵션·가격 다양해 최종 비용 크게 달라질 수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9 113
15241 [보도참고] 의약외품 마스크 품질검사, 4개 제품 부적합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9 113
15240 [보도참고] 알레르기 유발물질 미표시 수입 '과자'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9 74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026 Next
/ 10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