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상조 서비스에 전자기기 등을 결합한 상조 결합상품* 27개를 조사한 결과, 96.3%(26개)가 만기 시 결합상품의 구매대금까지 환급을 약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사대상 업체 23개 중 65.2%(15개)가 자본잠식 상태로 재무 구조가 취약해 만기환급금 지급이 이행되지 않을 수 있어 소비자 주의가 필요하다. 

  * ‘상조 서비스(선불식 할부계약)’와 가전제품, 전자기기 등 ‘결합상품(할부 매매계약)’을 묶어서 함께 판매하는 상품으로, 별개의 할부계약으로 
    구성됨.

 또, 소비자 설문조사에서는 소비자의 90%가 결합상품을 사은품으로 설명받는 등 불완전판매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  상조 결합상품 피해 20·30대에서 가장 많아

최근 3년간(’22.1.~’24.12.)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상조 결합상품 관련 피해구제 사례(162건) 중 연령대가 확인되는 159건을 분석한 결과, 20대가 37.1%(59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30대가 23.9%(38건)로 뒤를 이었다.
  
일반적으로 상조 서비스 피해가 50대 이상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과 다르게 청년층(20대~30대)에서 상조 결합상품 피해가 많은 이유는, 최근 결합상품 중에 청년층을 겨냥한 전자기기 품목이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 결합상품 품목이 확인 가능한 142건을 분석한 결과, 노트북이 31.0%(58개)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스마트워치(19개), 무선이어폰(18개) 순이었다.
  
피해 유형으로는 ‘계약해지로 인한 대금 분쟁’이 58.0%(94건)로 가장 많았으며, 이 중 88.3%(83건)가 계약해지 시 결합상품과 관련한 대금 과다 청구, 위약금 부과 등으로 인한 분쟁이었다.

☐  상조 서비스 대금에 결합상품 대금까지 전액 환급해 준다는 약정, 무조건 신뢰 어려워
  
「선불식 할부거래에서의 소비자보호 지침(공정거래위원회예규 제451호)」에서 선불식 할부거래업자는 선불식 할부계약(상조 서비스) 대금 총액을 초과하는 환급금 지급을 약정하는 행위는 자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조사대상 27개 상품 중 96.3%(26개)가 만기 시 결합상품 구매대금까지 환급을 약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기기 등의 구매대금이 결합상품 판매자에게 지급되는 점을 고려하면, 상조 업체는 지급받지 않은 대금까지 환급하는 조건으로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셈이다.
  
만기환급금 지급 상품을 판매한 상조 업체의 65.2%(15개*)는 자본잠식 상태로 확인되었는데, 사업자가 중도에 폐업하거나 재정 상태가 악화되면 약정한 환급금을 소비자에게 돌려주지 못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조사대상 24개 상조 업체의 27개 상조 결합상품 중 만기환급금 지급을 약정한 23개 업체의 2023년도 외부회계감사보고서를 분석
  
소비자가 계약 초기(60회 이내) 매월 납입하는 금액 중 상조 납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48.2%(13개)가 ’5% 미만‘이었으며, 납입금 대부분이 결합상품 대금인 것으로 나타났다.

☐  소비자 90%, 상조 결합상품 가입 시 불완전판매 경험해
  
소비자(500명) 설문조사 결과, 결합된 상품에 대해 설명을 들었다고 응답한 440명 중 90.0%(396명)는 결합상품 매매계약이 상조 서비스 계약과는 별개라는 점을 제대로 안내받지 못하는 등 불완전판매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50.5%(222명)는 ‘상조 서비스와 결합상품이 하나의 계약이다’, 39.5%(174명)는 ‘상조 서비스 가입 혜택으로 제공하는 사은품이다’로 설명 받았다고 응답했다. ‘상조 서비스와는 별도의 계약이다’라고 정확히 안내받은 응답자는 10.0%(44명)에 불과했다.
  
응답자의 18.8%(94명)는 상조 결합상품으로 인한 피해를 경험했는데, ’결합상품 개봉 등을 이유로 상조 서비스 계약의 청약철회까지 거부‘당한 사례가 54.3%(51명)로 가장 많았다. ’계약 당시 결합상품을 사은품으로 안내받았으나 계약 후 매월 대금을 납입한 사례‘는 52.1%(49명)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대상 사업자에게 ▲과도한 만기환급금 지급을 약정하는 행위를 자제하고, ▲계약서 작성 시 각 계약 조건을 명확히 구분하여 표시하며, ▲불완전판매 근절을 위한 모집인판매원 교육을 강화하도록 개선을 요청할 계획이다.
  
소비자에게는 ▲상조 결합상품 가입 시 각 계약의 납입 기간 및 대금, 환급 기준 등 주요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계약 체결 전은 물론 가입 후에도 업체의 영업 및 재무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 공정거래위원회 누리집(www.ftc.go.kr) 상단 메뉴 ‘정보공개’ > ‘사업자정보공개’ > ‘선불식할부거래사업자’를 통해 업체의 영업 상태, 
     재무 정보 등의 확인 가능


[ 한국소비자원 2025-07-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6 집중호우 시기 식중독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5.07.17
25 집중호우지역 감염병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5.07.21
24 물놀이 사망 7월 하순에 최다,안전수칙 지키며 안전하게 물놀이 즐겨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5.07.21
» 만기 시 100% 환급 약정한 상조 결합상품, 가입 시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5.07.23
22 해외여행 후 남은 외화, 개인 간 온라인 거래 플랫폼에서 원화로 바꾸면 보이스피싱 범죄자금 세탁에 연루될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6 2025.07.24
21 아플라톡신 초과 검출된 ‘땅콩 또는 견과류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5.07.24
20 여름철 물놀이 사고, 고령층 어린이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5.07.24
19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 수입 ‘용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5.07.30
18 중금속 기준 초과 검출된 수입 ‘가공소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5.07.30
17 여름휴가, 물놀이사고·폭염·식중독 특히 조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5.07.30
16 졸음운전 8월이 가장 위험, 충분한 수면 후 출발, 졸릴 때는 쉬어 가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5.07.31
15 납 기준 초과 검출된 ‘과·채주스’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0 2025.07.31
14 벌쏘임 뱀물림, 여름철 야외에서 집중발생 안전수칙 꼭 확인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5.07.31
13 지속되는 폭염, 식중독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25.08.01
12 여름철 코로나19 증가세, 주기적 환기 등 호흡기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5.08.05
11 질병관리청, 전국 ‘일본뇌염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5.08.05
10 원자재 ETP 투자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5.08.06
9 코로나19 입원환자 최근 4주간 2배 증가, 고위험군, 감염취약시설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5.08.08
8 투자 손실을 코인으로 보상해드립니다! - 공짜에 귀가 솔깃하신가요 사기범의 단골 멘트입니다!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5.08.11
7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 수입 ‘당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5.08.11
Board Pagination Prev 1 ...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Next
/ 25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