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고온다습한 집중호우 시기에는 식재료 오염 등에 의한 식중독 발생 위험이 높아지므로 식재료 취급과 개인 위생관리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집중호우 시기에는 온도와 습도가 높아 곰팡이와 세균이 증식하기 쉬운 환경이 되고 집중호우로 인해 하수·하천이 범람하는 경우 가축의 분뇨 또는 퇴비 등이 환경에 유출되어 지하수나 농작물을 오염시켜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철저한 식재료 및 개인 위생관리가 필요하다.

우선 집중호우로 범람된 물에 접촉·침수되었거나 접촉·침수가 의심되는 식품은 사용하거나 섭취하지 않고 즉시 폐기해야 하며, 정전 등으로 냉장고 가동이 어려운 경우 냉장·냉동상태를 최대한 유지하도록 냉장고 문을 자주 열지 말고 장시간 정전으로 변질이 우려되는 식품은 반드시 폐기해야 한다.

또한 습기로 인해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운 땅콩, 견과류는 밀봉하여 가급적 냉장·냉동보관하고 곡류, 두류 등 건조 농산물은 잘 밀봉하여 건조한 곳에 보관해야 한다.

수박, 참외, 복숭아 등 과일은 과일·채소용 세척제*를 사용하여 표면을 깨끗이 씻고 수돗물로 잘 헹군 후 섭취하는 것이 좋다.

    * 사람이 그대로 먹을 수 있는 과일, 채소 등을 씻는데 사용하는 세척제

샐러드, 생채 무침 등 가열 조리하지 않고 섭취하는 채소는 염소 소독액(식품첨가물, 100ppm)에서 5분 이상 담근 후 수돗물로 3회 이상 충분히 세척하는 것이 좋다. 세척한 채소는 가급적 바로 섭취하거나 나물, 볶음 등으로 익혀 먹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식재료를 다듬거나 조리하기 전, 화장실 이용한 후 또는 음식을 섭취하기 전에는 반드시 흐르는 물에 비누 등 손 세정제를 이용하여 30초 이상 깨끗하게 손을 씻는 등 개인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조리한 음식은 가급적 2시간 이내에 섭취하고 바로 섭취하지 않을 경우 냉장·냉동보관해야 한다. 냉장고에 보관한 음식은 섭취할 때에는 충분한 온도에서 재가열한 후 섭취해야 한다.

수돗물 사용이 어려워 약수터물 등 지하수를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끓여서 사용하고, 지하수 살균소독장치가 설치된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칼·도마 등 조리도구는 열탕 소독 등을 거친 후 식재료별로 구분사용하고싱크대 등 조리시설도 세척·소독을 철저히 해 교차오염을 방지해야 한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이 일상에서 안전한 식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식중독 예방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지속 제공하고 다양한 식중독 예방 활동을 추진할 계획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5-07-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146 아플라톡신 초과 검출된 ‘땅콩 또는 견과류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5.07.24
5145 해외여행 후 남은 외화, 개인 간 온라인 거래 플랫폼에서 원화로 바꾸면 보이스피싱 범죄자금 세탁에 연루될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6 2025.07.24
5144 만기 시 100% 환급 약정한 상조 결합상품, 가입 시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5.07.23
5143 물놀이 사망 7월 하순에 최다,안전수칙 지키며 안전하게 물놀이 즐겨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5.07.21
5142 집중호우지역 감염병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5.07.21
» 집중호우 시기 식중독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5.07.17
5140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문자에는 인터넷주소(URL)가 없습니다. 절대 클릭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5.07.17
5139 배터리 화재, 생활 속 작은 실천이 막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25.07.15
5138 여름철 해외여행, 홍역 주의! 예방수칙 준수와 예방접종으로 안전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5.07.15
5137 주요 분쟁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실손보험 관련유의사항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5.07.15
5136 민간임대주택 관련 허위광고에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5.07.14
5135 신규 단말기 지원금 정보, 꼼꼼히 확인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5.07.14
5134 전자여행허가(ETA, ESTA) 신청 시 대행 사이트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3 2025.07.11
5133 식중독균 검출된 조미건어포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5.07.11
5132 캠핑용 조리기구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5.07.11
5131 여름철, 살모넬라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5.07.11
5130 제주 여행, 항공·숙박·렌터카 소비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5.07.10
5129 소비쿠폰 안내 문자에 URL 링크는 100% 사기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4 2025.07.10
5128 소비기한 연장 표시 '과·채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5.07.10
5127 여름철 장관감염증 예방의 첫걸음 제대로 씻고 제대로 익히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5.07.0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9 Next
/ 25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