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환경부(장관 김완섭)는 2025년 상반기 결함시정(리콜) 승인 현황을 집계한 결과, 5개* 자동차 제작·수입사에서 51차종 8만 2,537대의 차량에 대해 의무적 결함시정을 시행하거나 이를 앞두고 있다고 밝혔다.
 
*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비엠더블유코리아, 지엠아시아퍼시픽지역본부,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 한국지엠

결함시정 대상 차량은 운행 중에 발생한 특정 부품의 결함률이 일정 수준* 이상 축적되어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환경부로부터 결함시정 명령을 받았다. 

* 같은 연도에 판매된 동일 차종의 특정 부품에 대한 결함이 50건 이상이면서 총 판매 대수의 4% 이상인 차량 

이들 차량의 소유자는 제작·수입사에서 결함시정(리콜)을 개시할 때 우편 및 휴대폰 문자(SMS) 등을 통해 개별적으로 안내를 받는다. 

이번 결함시정 차량들의 주요 결함을 살펴보면 △응축수 형성으로 인한 센서류 손상(BMW 520d 등), △연료공급라인의 호스 연결부 누유(벤츠 S 580 4MATIC 등), △정화조절밸브 내부 부품 손상으로 인한 증발가스 누설(포드 Lincoln Corsair 2.0), △고온에서 정화용 촉매 파손(한국지엠 크루즈 1.8), △정화펌프 작동 불량(지엠아시아 캐딜락 CT4/CT5 2.0T) 등이다. 

해당 차량의 제작·수입사에서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손상 부품 교체 등의 방법으로 시정을 하거나 시행을 앞두고 있다.

한편, 의무적 결함시정 대상 외에 5개* 제작·수입사에서도 자체적으로 확인한 총 16차종 4만 2,605대에 대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 자발적 결함시정을 시행하거나 실시를 앞두고 있다.

* 기아,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 비엠더블유코리아, 폭스바겐그룹코리아

결함시정 대상 차량의 여부와 구체적인 결함 내용은 자동차 제작·수입사에 연락하거나 자동차리콜센터 (www.car.go.kr)에서 자동차 등록번호나 차대번호를 입력하면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결함시정 시행 전에 자체적으로 비용을 들여 해당 결함을 시정한 자동차 소유자는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제작·수입사에 보상을 청구할 수 있으며, 청구 절차 및 구비서류는 각 제작·수입사 고객센터에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이경빈 환경부 교통환경과장은 “자동차의 배출가스 관련 부품의 결함이 발생하는 원인을 자세히 분석하고, 자동차 제작사가 이를 개선토록 하여 대기오염을 줄이고 국민 건강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 환경부 2025-07-1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224 민·관 합동 모니터링 통해 의료기기 온라인 불법 해외직구 막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3 71
15223 건강기능식품 원료 기준·규격 강화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3 74
15222 “Hello AI”, 나는 모바일 신분증 AI 시대, 정부와 민간이 손잡고 '나'를 디지털로 증명하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3 91
15221 어린이와 함께 보고·느끼고·공감하는 안전의 모든 것, 2025 어린이 안전박람회 개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3 62
15220 고향사랑기부로 호우피해지역의 조속한 일상회복에 동참해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3 101
15219 6천 원 할인받고 영화관에서 시원한 여름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3 83
15218 안전하고 편리한 여름 휴가길을 위한 특별교통대책을 시행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3 85
15217 민생회복 소비쿠폰 부정유통 관리 강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2 89
15216 고령소비자 이동전화서비스 피해, 계약 관련 피해가 대부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2 70
15215 국립공원공단, 무더위 쉼터 176곳 운영… 폭염 속 온열질환 예방 총력 대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1 69
15214 호우 피해지역 가전제품 무상수리팀 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1 69
15213 7월 21일부터 주민등록 사실조사에 참여해 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1 63
15212 외식·급식 조리식품 위생·안전기준 강화로 국민 신뢰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1 60
15211 성장호르몬 주사, 키 크는 주사가 아닙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1 48
15210 식약처, 곰탕·삼계탕 미생물 안전 가이드라인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21 36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026 Next
/ 10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