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6년 6월 및 상반기 항공운송시장은 항공여객 및 화물시장 모두 전년 동기대비 증가세를 기록했다. 특히 상반기 항공여객은 전년 동기대비 14.5% 증가한 4,980만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갱신하였다.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2016년 6월 항공여객 및 항공화물은 메르스 기저효과로 인하여 전년 동월대비 각각 44.5%(국제 47.9%, 국내 37.4%), 16.4%로 대폭 증가하였고, 상반기 여객은 전년 동기대비 14.5%(국제 15.3%, 국내 12.6%), 화물은 3.6% 증가했다고 밝혔다.

* 항공여객(만 명) : 3,383(’12년 상) → 3,509(’13년 상) → 3,838(’14년 상) → 4,350(’15년 상) → 4,980(’16년 상)
* 항공화물(만 톤) : 171(’12년 상) → 170(’13년 상) → 179(’14년 상) → 188(’15년 상) → 194(’16년 상)


[‘16년 6월 실적]

6월 국제선 여객은 메르스 기저효과, 대학생 방학 시작 및 얼리버드 휴가족으로 인한 해외여행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대비 47.9% 성장하며 597만 명을 기록했다.

* 국제여객(만 명) : 390(’12.6) → 414(’13.6) → 459(’14.6) → 404(’15.6, 전년대비↓12.1%) → 597(’16.6)

지역별로는 ’15년 메르스로 인하여 당시 여객 실적이 감소했던 중국(80.1%), 일본(42.2%), 동남아(52.4%) 중심으로 대폭 성장세를 보이며 국제선 여객성장을 견인했다.

공항별로는 ’15년 메르스 사태로 운항이 취소(감편)되었던 국제선 운항의 재개(증편)로 김해(62.5%)·제주(145.5%)·청주(176.6%)·대구(145.8%)공항 등이 전년 동월대비 여객 실적이 높은 성장세를 나타냈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 및 국적 저비용항공사가 전년 동월대비 각각 30.5%, 96.4% 증가했으며, 국적사 분담률은 63.6%를 기록했다.(대형 45.6%, 저비용 18.0%)

* 저비용항공사 분담률(%) : 7.5(’12.6) → 9.4(’13.6) → 11.1(’14.6) → 13.5(’15.6) → 18.0(’16.6)

6월 국내선 여객은 메르스 기저 효과, 방학 및 휴가철 영향 등으로 전년 동월대비 37.4% 증가를 기록했다.

* 국내여객(만 명) : 192(’12.6) → 190(’13.6) → 207(’14.6) → 196(’15.6, 전년대비↓5.5%) → 269(’16.6)

공항별로는 저비용항공사의 정기노선이 확대된 청주(73.0%) 공항을 비롯하여 김포(36.9%)·김해(37.2%)·제주(36.8%) 등 대부분 공항에서 여객 실적 증가를 보였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 및 국적 저비용항공사가 전년 동월대비 각각 42.3%, 33.7% 증가했으며, 저비용항공사의 분담률은 55.4%를 기록했다.

* 저비용항공사 분담률(%) : 43.9(’12.6) → 50.2(’13.6) → 50.0(’14.6) → 57.0(’15.6) → 55.4(’16.6)

6월 항공화물은 항공여객 증가에 따른 수하물 증가 및 평판디스플레이·무선통신기기부품 등의 국제화물 증가로 전년 동월대비 16.4% 증가했다.

* 항공화물(만 톤) : 29(’12.6) → 29(’13.6) → 30(’14.6) → 29(’15.6) → 34(’16.6)

국제화물의 경우 기타지역(-0.4%)을 제외한 중국(29.0%)·동남아(21.6%)·일본(20.7%) 등 주요 지역의 항공화물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월대비 16.1% 증가했다.

* 국제화물(만 톤) : 27(’12.6) → 27(’13.6) → 28(’14.6) → 27(’15.6) → 31(’16.6)


[‘16년 상반기 실적]

상반기 국제선 여객은 원화강세 및 유류할증료 미부과로 내국인 해외여행 수요 증가, 엔화 반등 및 일본 지진 여파로 아시아 관광객의 방한수요 확대, 메르스 기저효과 등으로 전년 동기대비 15.3% 성장하며 3,497만 명을 기록했다.

* 국제여객(만 명) : 2,287(’12년 상) → 2,440(’13년 상) → 2,673(’14년 상) → 3,030(’15년 상) → 3,494(’16년 상)

지역별로는 일본노선은 지난 4월 규슈 지진 여파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기대비 21.1%로 증가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대양주(18.9%) 동남아(16.0%), 중국(15.4%) 노선도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국제선 여객성장을 견인했다.

공항별로는 무안(-11.1%) 및 양양(-82.2%)을 제외한 김해(32.9%)·제주(27.6%)·대구(53.5%)공항 등 대부분 국제선 여객 실적이 증가했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 및 국적 저비용항공사가 전년 동기대비 각각 8.1%, 56.0% 증가했으며, 국적사 분담률은 64.4%를 기록했다.(대형 46.5%, 저비용 17.9%)

* 저비용항공사 분담률(%) : 6.8(’12년 상) → 9.3(’13년 상) → 11.6(’14년 상) → 13.2(’15년 상) → 17.9(’16년 상)

상반기 국내선 여객은 제주노선 수요 증가, 저비용항공사의 운항 확대 등으로 전년 동월대비 12.6% 증가를 기록했다.

* 국내여객(만 명) : 1,096(’12년 상) → 1,069(’13년 상) → 1,165(’14년 상) → 1,320(’15년 상) → 1,486(’16년 상)

공항별로는 KTX 영향권인 광주(-6.1%) 및 울산(-5.8%)공항의 여객감소를 제외하고, 청주(49.3%)·제주(14.3%)·김포(9.3%)·김해(16.6%) 공항 등의 지속적인 여객 성장이 나타났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 및 국적 저비용항공사가 전년 동월대비 각각 6.1%, 18.2% 증가했으며, 저비용항공사의 분담률은 56.3%를 기록했다.

* 저비용항공사 분담률(%) : 43.1('12년 상) → 47.8('13년 상) → 49.0('14년 상) → 53.6('15년 상) → 56.3('16년 상)

상반기 항공화물은 유가하락으로 인한 비용 절감, 무선통신기기부품 등의 국제화물 증가로 전년 동기대비 3.6% 증가했다.

* 항공화물(만 톤) : 171(’12년 상) → 170(’13년 상) → 179(’14년 상) → 188(’15년 상) → 194(’16년 상)

국제화물의 경우 미주지역(-9.8%)을 제외한 중국(9.6%), 동남아(8.4%), 일본(5.9%)을 중심으로 전 지역의 성장세로 전년 동기대비 3.8% 증가했다.

* 국제화물(만 톤) : 157(’12년 상) → 158(’13년 상) → 166(’14년 상) → 174(’15년 상) → 180(’16년 상)

[‘16년 하반기 전망]

국토교통부는 본격적인 계절적 성수기 진입, 저비용항공시장의 공급력 확대, 내국인의 꾸준한 해외여행 수요 상승, 최근 브렉시트로 인한 엔화 반등 및 4월 일본 지진 여파로 인한 중국인 등 아시아 여객 증가 여건 개선 등을 감안하면 하반기에도 항공여객이 지속적으로 성장 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다만, 프랑스 니스 테러 및 터키 쿠데타 등으로 내국인의 유럽 여행 불안감 고조 등이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2016-07-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703 현대·기아·랜드로버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8 2
13702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평일 경부선은 안성나들목까지 연장, 주말 영동선은 폐지’ 6월 1일부터 전면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8 1
13701 5~7월 양귀비·대마 몰래 재배하는 행위 단속 활동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8 2
13700 미리 경험하는 미래 내 일, 지금 일경험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8 2
13699 더울때는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물을 자주 마셔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7 3
13698 파킨슨병!! 집에서 영상보고 운동해도 증상 호전 가능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7 2
13697 연말정산 때 놓친 공제? 5월에 한 번 더 살펴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7 3
13696 공정거래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7 2
13695 산재신청! 이젠 휴대폰으로 간편하게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7 2
13694 슬기로운 '자외선차단제' 사용 방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3 18
13693 해안길 따라 ‘대한민국 한 바퀴’ 걷기여행 떠나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3 16
13692 취약계층 대상 고충민원 신청받습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3 16
13691 사업자의 부당한 소비자거래행위 지정 고시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3 17
13690 ’24.5.2.(목)부터 한도제한계좌의 이체,ATM 거래한도가 3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상향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2 220
13689 올해 자녀장려금 신청대상 2배 이상 늘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2 1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