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6년 6월 및 상반기 항공운송시장은 항공여객 및 화물시장 모두 전년 동기대비 증가세를 기록했다. 특히 상반기 항공여객은 전년 동기대비 14.5% 증가한 4,980만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갱신하였다.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2016년 6월 항공여객 및 항공화물은 메르스 기저효과로 인하여 전년 동월대비 각각 44.5%(국제 47.9%, 국내 37.4%), 16.4%로 대폭 증가하였고, 상반기 여객은 전년 동기대비 14.5%(국제 15.3%, 국내 12.6%), 화물은 3.6% 증가했다고 밝혔다.

* 항공여객(만 명) : 3,383(’12년 상) → 3,509(’13년 상) → 3,838(’14년 상) → 4,350(’15년 상) → 4,980(’16년 상)
* 항공화물(만 톤) : 171(’12년 상) → 170(’13년 상) → 179(’14년 상) → 188(’15년 상) → 194(’16년 상)


[‘16년 6월 실적]

6월 국제선 여객은 메르스 기저효과, 대학생 방학 시작 및 얼리버드 휴가족으로 인한 해외여행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대비 47.9% 성장하며 597만 명을 기록했다.

* 국제여객(만 명) : 390(’12.6) → 414(’13.6) → 459(’14.6) → 404(’15.6, 전년대비↓12.1%) → 597(’16.6)

지역별로는 ’15년 메르스로 인하여 당시 여객 실적이 감소했던 중국(80.1%), 일본(42.2%), 동남아(52.4%) 중심으로 대폭 성장세를 보이며 국제선 여객성장을 견인했다.

공항별로는 ’15년 메르스 사태로 운항이 취소(감편)되었던 국제선 운항의 재개(증편)로 김해(62.5%)·제주(145.5%)·청주(176.6%)·대구(145.8%)공항 등이 전년 동월대비 여객 실적이 높은 성장세를 나타냈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 및 국적 저비용항공사가 전년 동월대비 각각 30.5%, 96.4% 증가했으며, 국적사 분담률은 63.6%를 기록했다.(대형 45.6%, 저비용 18.0%)

* 저비용항공사 분담률(%) : 7.5(’12.6) → 9.4(’13.6) → 11.1(’14.6) → 13.5(’15.6) → 18.0(’16.6)

6월 국내선 여객은 메르스 기저 효과, 방학 및 휴가철 영향 등으로 전년 동월대비 37.4% 증가를 기록했다.

* 국내여객(만 명) : 192(’12.6) → 190(’13.6) → 207(’14.6) → 196(’15.6, 전년대비↓5.5%) → 269(’16.6)

공항별로는 저비용항공사의 정기노선이 확대된 청주(73.0%) 공항을 비롯하여 김포(36.9%)·김해(37.2%)·제주(36.8%) 등 대부분 공항에서 여객 실적 증가를 보였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 및 국적 저비용항공사가 전년 동월대비 각각 42.3%, 33.7% 증가했으며, 저비용항공사의 분담률은 55.4%를 기록했다.

* 저비용항공사 분담률(%) : 43.9(’12.6) → 50.2(’13.6) → 50.0(’14.6) → 57.0(’15.6) → 55.4(’16.6)

6월 항공화물은 항공여객 증가에 따른 수하물 증가 및 평판디스플레이·무선통신기기부품 등의 국제화물 증가로 전년 동월대비 16.4% 증가했다.

* 항공화물(만 톤) : 29(’12.6) → 29(’13.6) → 30(’14.6) → 29(’15.6) → 34(’16.6)

국제화물의 경우 기타지역(-0.4%)을 제외한 중국(29.0%)·동남아(21.6%)·일본(20.7%) 등 주요 지역의 항공화물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월대비 16.1% 증가했다.

* 국제화물(만 톤) : 27(’12.6) → 27(’13.6) → 28(’14.6) → 27(’15.6) → 31(’16.6)


[‘16년 상반기 실적]

상반기 국제선 여객은 원화강세 및 유류할증료 미부과로 내국인 해외여행 수요 증가, 엔화 반등 및 일본 지진 여파로 아시아 관광객의 방한수요 확대, 메르스 기저효과 등으로 전년 동기대비 15.3% 성장하며 3,497만 명을 기록했다.

* 국제여객(만 명) : 2,287(’12년 상) → 2,440(’13년 상) → 2,673(’14년 상) → 3,030(’15년 상) → 3,494(’16년 상)

지역별로는 일본노선은 지난 4월 규슈 지진 여파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기대비 21.1%로 증가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대양주(18.9%) 동남아(16.0%), 중국(15.4%) 노선도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국제선 여객성장을 견인했다.

공항별로는 무안(-11.1%) 및 양양(-82.2%)을 제외한 김해(32.9%)·제주(27.6%)·대구(53.5%)공항 등 대부분 국제선 여객 실적이 증가했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 및 국적 저비용항공사가 전년 동기대비 각각 8.1%, 56.0% 증가했으며, 국적사 분담률은 64.4%를 기록했다.(대형 46.5%, 저비용 17.9%)

* 저비용항공사 분담률(%) : 6.8(’12년 상) → 9.3(’13년 상) → 11.6(’14년 상) → 13.2(’15년 상) → 17.9(’16년 상)

상반기 국내선 여객은 제주노선 수요 증가, 저비용항공사의 운항 확대 등으로 전년 동월대비 12.6% 증가를 기록했다.

* 국내여객(만 명) : 1,096(’12년 상) → 1,069(’13년 상) → 1,165(’14년 상) → 1,320(’15년 상) → 1,486(’16년 상)

공항별로는 KTX 영향권인 광주(-6.1%) 및 울산(-5.8%)공항의 여객감소를 제외하고, 청주(49.3%)·제주(14.3%)·김포(9.3%)·김해(16.6%) 공항 등의 지속적인 여객 성장이 나타났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 및 국적 저비용항공사가 전년 동월대비 각각 6.1%, 18.2% 증가했으며, 저비용항공사의 분담률은 56.3%를 기록했다.

* 저비용항공사 분담률(%) : 43.1('12년 상) → 47.8('13년 상) → 49.0('14년 상) → 53.6('15년 상) → 56.3('16년 상)

상반기 항공화물은 유가하락으로 인한 비용 절감, 무선통신기기부품 등의 국제화물 증가로 전년 동기대비 3.6% 증가했다.

* 항공화물(만 톤) : 171(’12년 상) → 170(’13년 상) → 179(’14년 상) → 188(’15년 상) → 194(’16년 상)

국제화물의 경우 미주지역(-9.8%)을 제외한 중국(9.6%), 동남아(8.4%), 일본(5.9%)을 중심으로 전 지역의 성장세로 전년 동기대비 3.8% 증가했다.

* 국제화물(만 톤) : 157(’12년 상) → 158(’13년 상) → 166(’14년 상) → 174(’15년 상) → 180(’16년 상)

[‘16년 하반기 전망]

국토교통부는 본격적인 계절적 성수기 진입, 저비용항공시장의 공급력 확대, 내국인의 꾸준한 해외여행 수요 상승, 최근 브렉시트로 인한 엔화 반등 및 4월 일본 지진 여파로 인한 중국인 등 아시아 여객 증가 여건 개선 등을 감안하면 하반기에도 항공여객이 지속적으로 성장 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다만, 프랑스 니스 테러 및 터키 쿠데타 등으로 내국인의 유럽 여행 불안감 고조 등이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2016-07-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090 초·중학교 입학생은 필수예방접종 완료하고 입학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9 31
11089 정부, 2월 가뭄 예·경보 및 국가가뭄통계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9 31
11088 주민이 직접 조례 제·개정 청구, 온라인으로 가능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28
11087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고온에서 사용 시 충전속도 최대 2.8배 느려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34
11086 한국 궐련 흡연자 더 자주, 더 많이, 더 빠르게 흡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39
11085 내일부터 방역지침 관련 시설 관리·운영자 처분부담 완화 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33
11084 무등록.무신고 식품은 구매하지 마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33
11083 치아미백제 안전하고 올바르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45
11082 4월부터 아동수당 지급 연령 확대, 사전신청 및 자료 정비 기간(2.9.~3.31.)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33
11081 국민연금과 직역연금의 연계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2.8.)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34
11080 「주택법 시행령」·「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36
11079 철도예매 앱(코레일톡)으로 버스노선·환승정보까지 한 눈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52
11078 식기세척기 세제의 세척성능 및 경제성, 제품별로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7 43
11077 상조 소비자 피해보상 절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7 44
11076 친환경 제품 광고 모니터링 결과, 절반이 환경성 인증마크 사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4 41
Board Pagination Prev 1 ...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