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기온과 습도가 높아지는 여름철을 맞아 병원성 세균에 오염된 물과 음식 섭취로 인한 설사, 복통, 구토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장관감염증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예방수칙을 준수할것을 당부하였다.

 【표본감시 대상 장관감염증】

전국 2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210개소)이 참여하는 장관감염증 표본감시 결과에 따르면, 최근 5년간(21~25년) 장관감염증은 증가 추세에 있으며, 여름철에는 기온과 습도의 상승으로 병원성 미생물의 증식이 활발해지면서 세균성 장관감염증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난다(그림1-1 참조). 

특히, 최근 4주간 살모넬라균과 캄필로박터균으로 인한 환자 발생이 지속 증가하고 있어 최근 발생 양상을 고려할 때, 증가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살모넬라균 (6월1주) 66명 → (6월2주) 102명 → (6월3주) 109명 → (6월4주) 127명 
    캄필로박터균 (6월1주) 58명 → (6월2주) 102명 → (6월3주) 119명 → (6월4주) 128명

① 살모넬라균 감염증

살모넬라균 감염증의 경우 계란액을 장시간 상온 방치하거나, 살모넬라균에 오염된 계란을 만진 후 손을 씻지 않고 식재료를 준비할 때 교차오염을 통해 감염될 수 있다.

보통 계란 껍질 표면이 살모넬라균에 오염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껍질이 손상되지 않은 달걀을 구입하여 냉장보관하고, 껍질을 깬 이후에는 빠른 시간 내에 충분히 가열‧조리해야 하며, 계란을 만진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

 ②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캄필로박터균 감염증은 덜 익힌 육류(특히 가금류), 비살균 유제품,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섭취하여 감염되는데, 생닭의 표면에 캄필로박터균이 존재할 수 있어 세척 등의 식재료 준비 중 교차오염이 일어나 감염될 수 있다.

따라서 요리 중 생닭은 가장 마지막에 세척하는 것이 좋고, 씻는 물이 튀어 다른 식재료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한, 가금류 보관 시 밀폐용기에 넣어 냉장고 내 가장 하단에 보관하면 다른 식품으로의 오염을 줄일 수 있다.

 【전수감시 대상 장관감염증】

한편, 전수감시 대상 감염병 중 여름철에 자주 발생하는 감염병은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과 비브리오패혈증이 있다.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은 최근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지난해 동기간(6월 말) 대비 30.4%** 높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비브리오패혈증은 지난 5월 10일 첫 환자 발생 이후 추가로 2명의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향후 발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신고 (‘25. 3월) 9명 → (4월) 10명 → (5월) 42명 → (6월) 46명
  ** (24년 6월 누적) 102명, (25년 6월 누적) 133명

①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은 장출혈성대장균에서 오염된 소고기·생채소류· 유제품 등의 식품이나 물 등을 통한 감염 및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하며, 감염 시 심한 경련성 복통, 오심, 구토, 미열 등과 설사가 동반되고, 설사는 수양성에서 혈성 설사까지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증상은 5~7일 이내에 대체로 호전되지만 용혈성요독증후군 등의 합병증으로 진행 시 치명률이 3~5%에 이른다.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 등 위생 수칙을 준수하고, 소고기, 야채 등의 식재료는 충분히 익히거나 흐르는 물에 충분히 씻어 먹는 등 안전하게 조리된 음식물을 섭취해야 한다.

 ② 비브리오패혈증

비브리오패혈균은 주로 해수, 갯벌, 어패류 등 광범위한 연안 해양 환경에서 서식하며, 해수온도가 18℃ 이상일 때 증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주로 매년 5~6월경에 첫 환자가 발생되고, 8~9월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비브리오패혈증에 걸리면 급성 발열, 오한, 혈압 저하,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동반되고, 증상 시작 후 24시간 내에 다리 쪽에 발진, 부종, 수포(출혈성) 등의 피부병변이 생기므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방문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특히, 만성 간 질환자, 당뇨병, 알콜의존자 등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비브리오패혈증의 감염 및 사망위험이 높아, 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 바닷물 접촉을 피하고 어패류는 반드시 익혀서 섭취해야 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올해 여름은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장관감염증 예방을 위해 보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때”라고 강조하며, “안전한 음식물 섭취와 올바른 손씻기 등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 줄 것과 함께, 동일한 음식을 먹고 2인 이상에서 설사나 구토 등의 의심 증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가까운 보건소에 즉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여름철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6대 예방수칙 ▶

 ○ 올바른 손 씻기 6단계 생활화(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기 
 ○ 물은 끓여 마시기
 ○ 채소, 과일은 깨끗한 물에 씻거나 껍질 벗겨 먹기 
 ○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 음식 조리 및 준비하지 않기
 ○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생선·고기·채소 도마 분리 사용, 칼·도마는 조리 후 소독)



[ 질병관리청 2025-07-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153 지속되는 폭염, 식중독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5.08.01
5152 벌쏘임 뱀물림, 여름철 야외에서 집중발생 안전수칙 꼭 확인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25.07.31
5151 납 기준 초과 검출된 ‘과·채주스’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25.07.31
5150 졸음운전 8월이 가장 위험, 충분한 수면 후 출발, 졸릴 때는 쉬어 가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5.07.31
5149 여름휴가, 물놀이사고·폭염·식중독 특히 조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25.07.30
5148 중금속 기준 초과 검출된 수입 ‘가공소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5.07.30
5147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 수입 ‘용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6 2025.07.30
5146 여름철 물놀이 사고, 고령층 어린이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25.07.24
5145 아플라톡신 초과 검출된 ‘땅콩 또는 견과류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25.07.24
5144 해외여행 후 남은 외화, 개인 간 온라인 거래 플랫폼에서 원화로 바꾸면 보이스피싱 범죄자금 세탁에 연루될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5.07.24
5143 만기 시 100% 환급 약정한 상조 결합상품, 가입 시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25.07.23
5142 물놀이 사망 7월 하순에 최다,안전수칙 지키며 안전하게 물놀이 즐겨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5.07.21
5141 집중호우지역 감염병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25.07.21
5140 집중호우 시기 식중독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5.07.17
5139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문자에는 인터넷주소(URL)가 없습니다. 절대 클릭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5.07.17
5138 배터리 화재, 생활 속 작은 실천이 막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5.07.15
5137 여름철 해외여행, 홍역 주의! 예방수칙 준수와 예방접종으로 안전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5.07.15
5136 주요 분쟁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실손보험 관련유의사항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5.07.15
5135 민간임대주택 관련 허위광고에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5.07.14
5134 신규 단말기 지원금 정보, 꼼꼼히 확인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5.07.1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61 Next
/ 26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