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안전정보원(원장 이재용)은 부정·불량식품 신고센터를 운영하면서 소비자들의 상담내용을 바탕으로 일상생활에서 자주 묻는 식품안전 이슈를 발굴하고, 소비자를 대상으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자 카드뉴스를 지속적으로 제작·공개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한 카드뉴스는 주방용 호일의 안전한 사용방법을 주제로 소비자들이 알루미늄 호일과 종이 호일의 올바른 사용법을 쉽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카드뉴스에는 알루미늄 및 종이 등 호일의 재질별 안전성과 올바른 사용방법을 주요내용으로 다음과 같은 정보를 담아 알기 쉽게 전달하였다.

➊ 알루미늄 호일은 알루미늄 합금을 얇게 압연하여 만든 제품으로, 이를 음식의 조리나 보관에 사용하면서 섭취되는 알루미늄의 양은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는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은 체내에 흡수되는 양이 적고, 흡수되더라도 건강한 사람의 경우 대부분 신장에서 걸러져 배출됨

➋ 다만, 알루미늄은 산성이나 염분에 약하기 때문에 양념된 고기나 절임 식품 등 산도가 높거나 염분이 많은 식품은 알루미늄 호일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고, 전자레인지 사용 시 화재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함

➌ 종이 호일은 종이에 실리콘 등 합성수지를 코팅하여 내열성과 방수성을 높인 제품으로, 관련 기준·규격에 따라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음

➍ 종이 호일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호일이 불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고, 제품에 표시된 내열온도 이상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함
 
이재용 원장은 “주방용 호일은 편리하고 위생적이기 때문에 음식의 조리와 보관을 위해 자주 사용되지만 호일의 재질별로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며, “알루미늄 호일에는 양념된 고기나 절임 식품을 싸서 보관하거나 굽지 않는 것이 좋으며, 전자레인지에서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종이호일은 불에 직접 닿지 않도록 사용하여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카드뉴스를 통해 소비자들이 올바른 사용법을 숙지하고 보다 안전한 조리 환경을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식품안전 관련 위법 행위를 목격하거나 불량식품으로 의심되는 제품에 대해서는 부정·불량식품통합신고센터(☎1399)로 적극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주방용 호일의 안전한 사용방법 알고 계시나요?」 카드뉴스는 식품안전정보원 홈페이지(www.foodinfo.or.kr)→지식마당→식품안전콘텐츠 게시판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식품안전정보원 2025-07-0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116 질식 위험이 있는 봉제인형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5.07.08
5115 부품탈락 및 화학물질이 과다 함유된 아동용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5.07.08
5114 알레르기 유발 성분이 함유된 Dr. Bronner's 바디 로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5.07.07
5113 질식 위험이 있는 Shantou runshuo toys co. LTD 아동용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5.07.07
5112 연기를 감지할 정도로 민감하지 않은 ZIGBEE 연기 감지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5.07.07
5111 익사 위험이 있는 Laycol 유아용 튜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5.07.07
5110 기준치 초과 멜라민이 용출된 RICE 그릇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5.07.07
5109 감전될 위험이 있는 Idezek 가정용 전기머리인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5.07.07
5108 “안구건조증·비염 치료”... 질환 효과 표방하는 부당광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5.07.07
5107 ‘민생회복지원금’ 사칭 유료서비스 가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5.07.04
5106 당분간 무더위와 열대야 이어져… 야간에도 온열질환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5.07.03
5105 식품 원료로 사용할 수 없는 ‘피마자씨’ 사용 ‘혼합강낭콩’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5.07.03
» 편리한 주방용 호일, 이렇게 사용하시면 안전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5.07.02
5103 무신고 수입 ‘전자레인지 오븐팬’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5.07.02
5102 멋진 이성이 SNS에서 당신에게 메시지를 보낼 확률은 외국인 여자친구의 달콤한 코인 투자권유 100% 사기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5.07.02
5101 7월 중 절반이 비 내려,빗길 교통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5.06.26
5100 큰부리까마귀 둥지 근처 조심하세요… 안전 및 공존 위한 행동요령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5.06.25
5099 장 폐색 유발할 수 있는 수정토(워터비즈), 어린이 사용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5.06.25
5098 말라리아 감염 예방은 모기 물림 방지부터! 말라리아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5.06.24
5097 주요 분쟁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 치아보험 보상 관련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5.06.2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7 Next
/ 25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