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우리나라 아동의 구강건강 수준과 관리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2024년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6.30.).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는 구강보건법 제9조에 근거한 3년주기 조사로 우리나라 아동의 구강보건정책 수립 및 사업 평가,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유치 건강상태를 측정하기에 적합한 5세와 영구치 건강상태를 측정하기에 적합한 12세 아동 총 2만여 명을 대상으로 치과의사가 각 기관을 방문하여 구강검진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붙임 1 참고).

<2024년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개요>

ㅇ 조사대상: 5세(어린이집, 유치원) 7,746명, 12세(중학교) 12,309명, 총 20,055명
    * 어린이집 97.6%(164/168개), 유치원 100%(123/123개), 중학교 99.2%(252/254개)

ㅇ 조사방법: 조사수행팀(치과의사, 보조원)이 기관을 방문하여 구강검진 및 설문조사

ㅇ 조사내용
  - 구강검진(5,12세): 치아상태(치아우식, 치아외상 등), 치료필요 등
  - 설문조사(12세): 치과의료이용, 구강관리행태(칫솔질, 구강관리용품사용), 치통경험률 등

〈 구강건강(충치) 수준 〉

2024년 조사결과 유치(5세) 우식 경험자율(현재 충치가 있거나 치료 완료)은 58.3%, 유병자율(현재 충치)은 25.3%이며, 1인 평균 충치 경험 치아 수(우식경험유치지수)는 2.7개이었다. 2018년 이후 유치 우식 경험자율 및 유병률, 충치 치아 수 모두 감소추세이다. 

영구치(12세) 우식 경험자율(현재 충치가 있거나 치료 완료)은 60.3%, 유병자율(현재 충치)은 7.3%이며, 1인 평균 충치 경험 치아 수(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1.9개이었다. 2021-22년 대비 경험자율은 소폭 증가(1.9%p↑)하였으나, 유병자율, 충치 치아 수는 큰 변화가 없었다.

정부가 달성하고자 하는 아동·청소년의 ‘치아우식 경험률 감소’ 목표*를 고려할 때, 유치와 영구치 우식 경험 지표 모두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2030), 구강보건사업 기본계획(2022-2026) 성과지표 목표치: 유치 우식 경험자율(5세) 55.0%, 영구치 우식 경험자율(12세) 45.0%, 영구치 우식 경험 치아 수 1.5개

〈 구강건강 예방관리 〉

2024년 조사결과 12세 아동 57.7%(구강검진)가 영구치에 충치 예방 효과가 높은 치아홈메우기*를 시행하였으며, 2021-22년 대비 감소(8.4%p↓)하였다. 치아홈메우기를 시행한 1인 평균 영구치 수는 1.8개이었다.

 * 치아홈메우기(치면열구전색, 실란트): 치아의 씹는 면에 있는 좁고 깊은 틈을 메꾸어 충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처치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12세)은 22.6%로 코로나19 대유행 기간(2021-22년) 대비 증가(7.4%p↑)하였으나 이전 수준(2018년 33.3%)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있으며, 잠들기 전 칫솔질 실천율은 72.7%이었다.

우식(충치) 유발 간식 섭취율(1일 2회이상, 12세)은 58.1%, 치아부식 유발 음료(1일 2회이상) 섭취율은 29.4%이며, 증가 추이가 뚜렷하였다.

치과병·의원에서 칫솔질 및 구강관리용품 사용법 등 구강보건 교육 경험이 있는 아동(12세)은 43.8%로 개선(’21-’22년 39.9%)되었으나 낮은 수준이며, 구강건강관리 문제(칫솔질 비실천, 잘못된 칫솔질 등)로 발생할 수 있는 잇몸(치은) 통증 및 출혈 경험률(12세, 설문)은 39.8%로 2021-22년 대비 증가(5.0%p↑)하였다. 

〈 구강보건의료 이용 〉

최근 1년간 치과진료 수진율은 2024년 72.1%로 2021-22년 대비 11.1%p 증가하였고, 치과진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함에도 진료를 받지 못한 미충족 치과치료필요율은 14.7%로 3.0%p 감소하였다.

치과진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함에도 치과 치료를 받지 못한 이유는 시간부족(51.5%), 가벼운 증상(23.3%), 진료 받는 것이 무서워서(9.8%)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책임자인 최연희 교수(전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역학조사위원장)는 “최근 10여 년 동안 아동의 유치 건강 수준은 개선되었으나 영구치는 큰 변화가 없이 정체되어, 치아우식 발생 감소를 위한 구강관리 교육 및 예방 진료 등 구강보건의료계의 적극적 개입과 국가 및 지자체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2024년 조사결과, 영구치 우식 경험은 증가하고, 칫솔질 실천, 우식성 간식 및 음료 섭취 등이 개선되지 않고 있어,

아동의 구강건강관리 행태가 올바르게 형성될 수 있도록 아동 및 부모님 대상으로 충치 발생 예방을 위한 주기적 검진, 올바른 구강관리, 식습관(우식성 간식 및 음료 섭취 관리 등) 개선 등에 관한 교육·홍보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아울러 “아동․청소년기의 구강건강관리 행태는 향후 성인기 구강건강에 영향을 미치므로 구강건강 수준 변화와 관련요인을 지속적으로 파악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2024년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통계집 및 원시자료는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누리집*에서 찾아볼 수 있다.

 * 누리집(http://knhanes.kdca.go.kr) >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 자료실 > 통계집



[ 질병관리청 2025-07-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152 국민의 일상을 안전하게 지켜줄 재난안전제품을 찾습니다 new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01 1
15151 여권 재발급은 민간 앱으로 빠르게! 해외 운전은 영문 운전면허증으로 편하게! new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01 1
15150 용역 중개 플랫폼, 피해 절반 이상이 청소·인테리어 등 생활서비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01 1
» 2024년 우리나라 아동의 구강건강 현황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01 1
15148 외교부 2025년 상반기 여행경보단계 정기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01 1
15147 국민의 나트륨·당류 섭취 실태분석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01 1
15146 보호종료확인서, 이제 ‘정부24’에서 발급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01 1
15145 통계로 보는 강원의 어제와 오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01 1
15144 「‘25년 하반기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책자 발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7.01 1
15143 입원환자 중 손상환자 가장 많아 주요 원인은 추락 낙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30 1
15142 아나필락시스, 알면 생명을 지킬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30 1
15141 7월 1일부터 전국 1천여 개 헬스장·수영장에서 운동하고, 소득공제 혜택도 누리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30 2
15140 휴대전화 개통 시 모바일 신분증 이용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30 1
15139 숨은보험금 11조 2천억원을 찾아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30 1
15138 ’25년 5월 주택통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30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11 Next
/ 101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