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여름철 휴가 기간 감염병 발생 주의 당부

  • 철저한 손씻기, 모기물리지 않기, 안전한 음식물 섭취 당부
  • 임신부는 동남아, 중남미 등 지카바이러스 발생국가 여행 연기 권고
  • 해외여행 후 입국 시 발열 및 설사 등의 증상이 있으면 검역관에게 신고
  • 귀가 후 증상 발현 시 1339로 연락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여름 휴가기간 동안 각종 감염병(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모기매개감염병, 진드기매개감염병, 호흡기감염병 등)이 증가할 수 있어, 국민들을 대상으로 철저한 손씻기, 모기물리지 않기와 안전한 음식물 섭취로 감염병을 예방할 것을 당부하였다.

여름철 국내·외 여행 시 자주 발생하는 감염병으로는

물이나 음식을 통해 전파되는 살모넬라증, 병원성대장균감염증 등,

어패류를 충분히 조리하지 않은 채 섭취할 경우 비브리오패혈증,

풀숲에 들어가거나, 피부를 노출한 채로 작업이나 야외활동을 하는 경우 진드기에 물려 쯔쯔가무시증 또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이 발생할 수 있고,

모기에 물릴 경우 말라리아, 일본뇌염을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올해 국내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은 4.9%증가

* [1.1∼6.30] 2015년 202건, 2016년 222건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의 발생건수가 전년 동기간 대비 280% 증가

* [1.1∼6.30] 2015년 270건, 2016년 760건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여름철 주요 감염병 발생에 대비하기 위하여 각 지자체에서 감염병 취약지역 사전 점검 등 예방활동을 철저히 기해 줄 것을 당부하는 한편,

하절기 감염병 및 집단 설사환자 발생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지난 5월부터∼9월까지 하절기 비상 방역을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질병관리본부에서는 해외여행시,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뎅기열, 치쿤구니야열 등 모기매개 감염병과 세균성이질, 장티푸스 등 수인성 감염병,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AI),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등 호흡기감염병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국외유입 감염병 사례는 2010년 이후 매년 300∼400건 내외로 2014년 400명에서 2015년 491명으로 23% 증가하였으며,

특히, 최근 중남미를 중심으로 임신부 감염시 소두증 신생아 출산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국가가 지속 확인되고 있어 임신부의 경우 해당 국가로의 여행 연기를 권고중이며,

동남아 지역에서 뎅기열 발생증가와 지카바이러스 감염증도 보고되고 있어, 일반 여행객도 여행 중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최근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 발생 국가 및 관련 정보는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에 게시 중

아울러,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 홈페이지(http://travelinfo.cdc.go.kr)를 통해 여행 목적지의 감염병 정보를 확인하고, 입국 시 발열 및 설사 등의 증상을 보이면 검역관에게 신고하고, 귀가 후 증상 발현 시 1339로 연락할 것을 당부하였다.

마지막으로, 여름철 주요 발생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손씻기 등 개인위생 준수와 함께 안전한 음식물의 섭취가 매우 중요 하다며, 아래 사항 준수를 거듭 당부하였다.

각종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은 올바른 손씻기로 손쉽게 예방할 수 있으므로 수시로 손을 씻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특히 음식물은 충분히 가열하여 섭취하고, 조리한 음식은 오래 보관하지 않도록 한다.

모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집 주변에 고인물이 없도록 하여 모기의 발생을 억제하고, 모기활동이 왕성한 저녁부터 새벽까지는 외출을 자제하고, 외출 시에는 노출부위를 최소화하고, 모기기피제를 사용한다.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을 위하여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낚시나 해수욕을 삼가야 하고, 만성 간질환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은 어패류를 반드시 익혀먹는다.

 

[보건복지부 2016-07-2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80 “복잡하고 어려운 반부패 제도, 직접 찾아가서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9 22
4579 오늘부터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 코로나19 추가접종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5 22
4578 나는 어디로 가고, 어떻게 대피해야 할까요 비상시, 이것만은 꼭 기억해 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2 22
4577 자원봉사 신청, 공공체육시설 예약 등 38종 공공서비스를 민간앱에서도 이용 가능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2 22
4576 ‘24년 홍역 해외유입 환자 11명 발생 ! 해외 여행 전 접종! 여행 후 발열, 발진 있으면 홍역의심!(3.5.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05 22
4575 우리동네 환경정보, 한곳에서 한눈에 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8 22
4574 범죄피해자의 권익 보호를 위한 형사소송법 등 8개 법률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7 22
4573 무허가건축물 임차해 영업한 사실 입증하면 보상받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2 22
4572 2월 가뭄 예‧경보 및 국가가뭄정보통계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14 22
4571 치매환자 진료 시, 의료기관에 치매안심센터 적극 안내토록 협조 요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07 22
4570 오늘부터 모든 주택의 전세대출을 쉽고 편리하게 갈아탈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30 22
4569 (2024년 정책돋보기)용량변경시 소비자에게 고지의무 부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1 22
4568 일부 글루타치온 식품, 글루타치온 함량 표시·광고 개선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09 22
4567 설 명절 대비 불공정하도급신고센터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5 22
4566 2023 통계로 보는 1인가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2 22
Board Pagination Prev 1 ...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624 62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