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인터넷·스마트폰 과다 사용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 청소년(초4, 중1, 고1)은 ’25년 213,243명으로 ’24년(221,029명)에 비해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진단조사 참여 청소년 인원:(’24년) 1,249,317명 → (’25년) 1,234,587명

□ 여성가족부는 18일(수), 전국 학령 전환기 청소년(초 4학년, 중 1학년, 고 1학년)과 보호자(초 1학년) 147만여 명이 참여한 「2025년 청소년 미디어 이용습관 진단조사」(이하 ‘진단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ㅇ 진단조사는 미디어 과의존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을 조기에 발굴하여 치유·회복을 돕기 위해 교육부, 시·도 교육청, 각 급 학교와 협력하여 2009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다.

□ 「2025년 청소년 미디어 이용습관 진단조사」의 주요 결과(초4, 중1, 고1)는 다음과 같다.

ㅇ (총괄)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이하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은 조사에 참여한 1,234,587명 중 213,243명으로 나타나 지난해(221,029명) 대비 7,786명 감소하였다.

* ‘과의존 위험군’은 위험사용자군과 주의사용자군을 총칭(붙임5 척도 참조)

- 위험사용자군 :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어 전문기관의 도움이 필요한 수준

- 주의사용자군 : 사용 시간이 늘어나 자기조절에 어려움이 있어 주의가 필요한 수준

- 인터넷과 스마트폰 두 가지 문제를 모두 갖고 있는 중복위험군* 청소년은 78,943명으로 지난해(81,190명)에 비해 2,247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중복위험군 : 인터넷 과의존 위험군이면서 스마트폰도 과의존 위험군인 청소년

ㅇ (학년별) 학년별 과의존 위험군 수는 중학생(85,487명), 고등학생(70,527명), 초등학생(57,229명) 순으로 많았으며,

- 지난해보다 초등학생은 852명, 중학생은 4,325명, 고등학생은 2,609명이 줄어 중학생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ㅇ (성별) 과의존 위험군 남자 청소년은 116,414명, 여자 청소년은 96,829명으로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보다 많았으며, 남자·여자 청소년 모두 지난해보다 과의존 위험군 수가 감소하였다.

□ 초등 1학년의 스마트폰 이용 습관은 보호자가 참여하는 관찰조사로 진행하였으며, 스마트폰 과의존 관심군*은 총 13,211명으로 지난해(16,942명) 대비 3,731명 감소하였다.

※ 진단조사 참여 관찰자(보호자) 인원: (’24년) 256,699명 → (’25년) 237,890명

* 스마트폰 과의존 관심군 : 정해진 이용 시간을 준수하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시력·자세 등에 안 좋은 영향이 있는 등 사용 지도가 필요한 수준

□ 여성가족부는 미디어 과의존의 위험에 노출된 청소년에 대하여 보호자의 동의를 받아 청소년상담기관*과 연계하여 미디어 과의존 정도에 따라 상담, 병원치료**, 치유프로그램, 부모 교육 등 맞춤형 치유 서비스를 제공한다.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전국 청소년상담복지센터(240개소), 서울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등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등 질환이 함께 있는 경우 일반계층 최대 40만 원, 취약계층 최대 60만 원 치료비 지원

ㅇ 또한, 집중 치유가 필요한 청소년은 미디어 사용이 제한된 환경에서 전문상담과 다양한 대안 활동 등을 제공하는 기숙형 치유캠프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 기숙형 치유캠프 프로그램
․ 청소년상담복지센터 : 초등생․보호자 대상 가족치유캠프, 중․고생 대상 기숙치유캠프
․ 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 : 중고생 대상 1~4주 캠프 상시(연 22회) 운영
․ 국립대구청소년디딤센터 : 중고생 대상 1주 캠프(연 5회) 운영

- 특히, 올해는 미디어 과의존 청소년의 저연령화에 대응하여 초등학생 대상의 가족치유캠프를 확대하고(’24년 10회 → ’25년 12회), 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에서 초등 고학년을 대상으로 기숙형치유캠프를 시범운영(9월) 할 예정이다.

□ 최은주 여성가족부 청소년정책관은 “청소년 미디어 이용습관 진단조사는 청소년 스스로 건강한 미디어 습관을 형성하도록 돕는데 의의가 있다.”라며,

ㅇ “이번 진단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을 조기에 발굴하여 맞춤형 치유서비스를 제공하고 청소년들이 건강한 디지털 시민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방송통신위원회 2025-06-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미디어 과의존 위험 청소년 21만여명, 지난해 보다 줄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8 97
15093 팥빙수·커피 배달 음식점 등 집중 점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8 115
15092 부모님과 함께 키우는 과학자의 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8 98
15091 “민간 공동주택, ZEB 5등급 수준으로 에너지 성능 기준 강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8 102
15090 내집 마련 기회 확대한다… 분양전환형 매입임대주택 두 번째 입주자 모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8 80
15089 “장기간 복용하는 약값도 실손보험이 보장해야”… 금융당국에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8 107
15088 근로복지공단, 직업훈련 받는 실업자에게 연 1% 저금리로 생계비 1천만 원 대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8 147
15087 지진안전 영상의 주인공은 여러분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7 123
15086 안전에 진심인 대학생 모여라! ‘2025 안전실천 캠퍼스’ 참가자 모집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7 118
15085 캠핑장, 기상변화ㆍ천재지변으로 인한 계약해제 분쟁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7 123
15084 라이브커머스를 이용한 부당광고 적발·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7 132
15083 근로복지공단, 월 소득 5백만 원 이하 근로자・1인 자영업자에게 대출 이자 3%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7 94
15082 폭염엔 내 주변 안부를 살펴요! ‘안부전화 하기 슬로건 및 홍보 콘텐츠 공모전’ 개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6 138
15081 항생제 내성의 아픔에 공감 더하기+ 환자, 가족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6 130
15080 의료기기 판매업체 대상 거짓·과대광고 점검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6 124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027 Next
/ 102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