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4년 실태조사 결과, 노숙인 등 전체 규모는 감소하였으며, 거리노숙인의 수도권 집중도와 시설노숙인의 고령화 수준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21→’24년) ▲ 규모 (1만 4,404명 → 1만 2,725명), ▲ 거리노숙인의 수도권 집중도 (74.5% → 75.7%),
      ▲ 시설 노숙인 중 노인 비율 (32.7% → 36.8%) 

□ 거리노숙인의 노숙 계기는 ‘실직’(35.8%)이 가장 많았으며, 생활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단체생활과 규칙 때문에’(36.8%)의 응답이 가장 많았다.

□ 노숙인의 미취업률은 75.3%로 ’21년 75.7%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수입원 중 공공부조에 의한 수입이 47.8%로 가장 높은 비율이었고, 지출 비중은 식료품비(39.1%), 술?담배(18.8%), 생활용품비(13.4%) 순으로 나타났다.

□ 노숙인의 주관적 건강 인지율은 ’21년보다 낮아졌으나, 몸이 아플 때 ‘병원에 가지 않고 참는다.’는 비율이 ’21년 대비 감소하여 의료접근성이 향상된 것으로 분석된다.

   * (’21→’24년) ▲ 주관적 건강 인지율 (44.4% → 40.3%) ▲ 병원에 가지 않고 참는 비율 (9.6% → 6.5%)

□ 노숙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률은 대부분 항목에서 ‘21년 대비 증가하였고, 가장 필요한 지원은 ‘소득보조’로 조사되었다. 

   * 사회복지서비스 이용률 (’21→’24년) ▲ 무료급식 (67.2% → 84.8%), ▲ 편의시설 이용 (63.1% → 74.2%), 
      ▲ 법률 지원 서비스(주민등록 복원?신용회복 등) (13.2% → 41.8%)

   * 가장 필요한 지원 ▲ 소득보조 41.7%, ▲ 주거지원 20.8%, ▲ 의료지원 14.4%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2024년도 노숙인 등의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 조사는 노숙인 등*의 규모, 건강 상태 및 의료이용, 노숙의 원인 및 경제활동, 사회복지서비스 지원 및 이용 등을 조사한 것이다. 

  * (노숙인 등) ①거리 노숙인(거리 노숙, 노숙인 이용시설(종합지원센터·일시보호시설) 이용자), 
     ②시설 노숙인(자활·재활·요양시설의 입소 노숙인), ③쪽방주민(5개 지역 10개 쪽방상담소에서 상담·관리를 받는 주민)

     [참고] 노숙인등 거처유형별 상세 설명은【붙임 2】용어 설명 참조

2024년도 노숙인 등의 실태조사는 「노숙인 등의 복지 및 자립지원에 관한 법률」제9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3조에 따라 실시됐다. 이번 조사는 2016년, 2021년에 이어 세 번째로 진행되었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보건복지부 2025-06-1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049 학교 밖 청소년 건강도 챙기고 상품권도 받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0 154
15048 직장 내 성희롱 경험 지속 감소, 성희롱 방지를 위한 피해자 보호와 예방교육 강화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0 86
15047 칸나비디올(CBD)은 추출부위 관계없이 ’대마‘에 해당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0 110
» 2024년도 노숙인 등의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0 142
15045 무거운 빈집 고민, ‘농촌빈집은행’에 내려놓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0 141
15044 “보행상 장애인이 택시・공유차량 이용해도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이용 가능해져”…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0 152
15043 25년 하도급거래 실태조사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0 129
15042 플라스틱 완구류, 생산자가 책임지고 재활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29
15041 한국공항공사, 다자녀가구 우선검색 서비스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34
15040 10·29이태원참사 피해자 생활지원금 신청・접수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13
15039 6월 가뭄 예·경보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22
15038 일상 속 앱에서 신분증을!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본격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20
15037 수분은 음료보다 물로 채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06
15036 「2024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28
15035 ‘구강보건의 날‘ 맞이 치아미백제·구중청량제 올바른 사용법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24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027 Next
/ 102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