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행정안전부는 국민이 다양한 민간 플랫폼에서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사용할 수 있도록, ‘2025년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참여기업 공모’를 6월 9일(월)부터 7월 4일(금)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

 ○ 이번 공모는 민간 앱 기반으로 모바일 신분증 이용 범위를 확대해, 디지털 신원 확인 수단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 특히 최근 각종 해킹 사고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 등으로 국민 불안이 커진 만큼 보안성과 신뢰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참여기업을 선정할 계획이다.

□ 참여기업 선정을 위한 심사는 보안 및 인증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를 통해 진행된다.

 ○ 공모에 참여한 기업의 발표와 질의응답을 통해 ▲보안 수준, ▲개인정보 보호 방안, ▲신뢰성, ▲장애 대응체계, ▲활성화 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상위 5개 내외의 기업을 선정할 예정이다.

□ 한편, 2024년에 공모를 통해 선정된 5개 민간개방 참여기업*은 현재 시스템 구축을 마치고 최종 평가 단계에 있으며, 적합성 평가를 통과하면 7월 중 최종 서비스 자격이 부여될 예정이다.

    * 국민은행, 네이버, 농협은행,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카카오뱅크

 ○ 5개 기업이 최종 자격을 취득하면, 현재 서비스 중인 정부 앱과 삼성월렛*을 포함한 총 7개의 앱에서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 삼성월렛은 2024년 3월부터 시범사업을 통해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제공 중

□ 모바일 신분증은 이용자의 단말기 보안영역에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되며, 중앙 서버에는 별도로 저장되지 않아 데이터센터가 해킹되더라도 신분증 정보는 유출 없이 안전하게 보호된다.

 ○ 단말기를 분실하더라도 생체인증(지문, FaceID 등) 또는 6자리 앱 비밀번호 없이는 사용이 불가해 실물 신분증보다 도용의 우려가 적다.

 ○ 또한, ‘모바일 신분증 누리집(www.mobileid.go.kr)’ 및 콜센터(1688-0990), 주민센터, 휴대폰 통신사 고객센터 등을 통해 단말기 분실신고가 접수되면 즉시 모바일 신분증을 잠금 처리할 수도 있다.

□ 이용석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을 확대해 국민이 자주 사용하는 다양한 앱에서도 모바일 신분증을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 “보안성이 충분히 검증된 민간기업 앱 등을 활용해 정부가 보장하는 안전한 디지털 신분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행정안전부 2025-06-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2024년 우리나라 퇴직연금 투자 백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12
363 공공배달앱으로 외식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25
362 2025년 여름철 취약계층 보호 대책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23
361 기울어진 요람에서는 아기를 절대 재우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41
360 ‘구강보건의 날‘ 맞이 치아미백제·구중청량제 올바른 사용법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24
359 「2024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28
358 수분은 음료보다 물로 채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06
» 일상 속 앱에서 신분증을!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본격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20
356 6월 가뭄 예·경보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22
355 10·29이태원참사 피해자 생활지원금 신청・접수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13
354 한국공항공사, 다자녀가구 우선검색 서비스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34
353 플라스틱 완구류, 생산자가 책임지고 재활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29
352 25년 하도급거래 실태조사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0 129
351 “보행상 장애인이 택시・공유차량 이용해도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이용 가능해져”…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0 152
350 무거운 빈집 고민, ‘농촌빈집은행’에 내려놓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0 141
Board Pagination Prev 1 ... 998 999 1000 1001 1002 1003 1004 1005 1006 1007 ... 1027 Next
/ 102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