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최근 인도네시아 방문 후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가 발생함에 따라,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 발생 위험국가* 방문 시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에 감염되지 않도록 예방주의를 당부하였다.

  * 미주, 동남아시아, 서태평양, 아프리카, 유럽 내 92개 국가(2024.5월 기준, WHO)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은 세계적으로 2023년 56,601명, 2024년 44,957명, 2025년은 5월까지 12,660명이 발생하였다. 국가별 발생(’23년~’25년 5월)은 중남미지역 브라질(108,897명), 볼리비아(1,496명), 아르헨티나(1,252명) 등의 나라에서 많이 발생하며, 아시아 지역에서는 태국(1,106명), 인도(151명), 싱가포르(47명)에서 발생하고, 아프리카 지역은 부르키나파소(1명) 등에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우리 국민들의 선호지인 동남아 국가에서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률이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은 플라비바이러스의 일종인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된 숲모기에 물려 전파되는데, 3~14일의 잠복기를 거쳐 반점구진성 발진과 발열, 결막충혈, 관절통,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밖에 모기물림 외에 성 접촉, 감염된 혈액제재의 수혈, 모자간 수직 감염, 실험실 노출 등을 통해서도 전파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임신 중 감염은 조산, 태아 사망 및 사산, 소두증, 선천성 기형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올해 신고된 첫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는 40대 남성으로 인도네시아 발리를 방문 후 감염되었으며, 현지에서 모기물림이 있었고, 귀국 후 3일째 오한, 구진성 발진, 결막충혈, 근육통 등 증상으로 의료기관에 내원하였으며, 실험실 검사 결과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는 2016년 이후 현재까지 총 40명 환자가 신고되었으며, 이 중 2020년 실험실 감염사례 1건을 제외한 39명이 해외유입으로 발생하였다. 추정감염국가는 필리핀과 태국에서 각각 10명, 베트남 7명, 몰디브 2명, 인도네시아 2명 순이며, 필리핀과 태국에서 가장 많은 환자가 유입되었다.

질병관리청은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가 여행 후 3개월 간 임신 연기 및 콘돔 사용 등 성 접촉을 피하고, 다음과 같은 예방수칙을 숙지해 줄 것을 강조하였다.

<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수칙 >

 ① 방문 전
  - 방문지역별 주의해야 할 감염병 정보 확인하기
     * 질병관리청 누리집(kdca.go.kr)→감염병→해외감염정보→국가별감염병예방정보
  - 모기 예방법을 숙지하고 모기기피 용품* 및 상비약 준비하기
     * 모기 기피제, 모기장, 모기향, 밝은색 긴팔 상의 및 긴 바지 등

 ② 방문 중
  - 모기가 많이 있는 ‘풀 숲’ 및 ‘산 속’ 등은 가급적 피하기
  - 외출 시 긴 팔 상의와 긴 바지를 착용하고, 모기 기피제 사용하기
  - 모기는 어두운색에 유인되므로, 활동 시 밝은색 옷 착용하기
  - 방충망 또는 모기장이 있고 냉방이 잘 되는 숙소에서 생활하기

 ③ 방문 후
  - 귀국 후 2주 이내 의심증상(발진, 발열, 결막염, 관절통, 근육통, 두통 등)이 발생하면 가까운 의료기관 방문하기
  - 의료기관 방문 시 의료진에게 최근 해외 방문력을 알려주기
  - 헌혈 보류기간(4주) 동안 헌혈을 금지하기 
  - 남녀 모두 3개월간 임신 연기 및 콘돔 사용 등 성 접촉 피하기

아울러,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은 예방백신 및 치료제가 없으므로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라며, “위험국가에서 모기물림 후 2주 이내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료진에게 해외 방문력을 알리고 신속한 진단 및 치료를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5-06-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043 25년 하도급거래 실태조사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10 150
15042 플라스틱 완구류, 생산자가 책임지고 재활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48
15041 한국공항공사, 다자녀가구 우선검색 서비스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68
15040 10·29이태원참사 피해자 생활지원금 신청・접수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80
15039 6월 가뭄 예·경보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57
15038 일상 속 앱에서 신분증을!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본격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60
15037 수분은 음료보다 물로 채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266
15036 「2024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61
15035 ‘구강보건의 날‘ 맞이 치아미백제·구중청량제 올바른 사용법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73
15034 기울어진 요람에서는 아기를 절대 재우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63
15033 2025년 여름철 취약계층 보호 대책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49
15032 공공배달앱으로 외식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82
15031 2024년 우리나라 퇴직연금 투자 백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241
15030 고용․산재보험료 과납금 자주 쓰는 민간 앱에서 환급신청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9 178
15029 드론 교육기관, 제대로 된 수강료 반환규정 없이 제각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6.05 264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035 Next
/ 103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