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유철환, 이하 국민권익위)는 행정심판 제도의 접근성과 이용 편의성을 높여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위법ㆍ부당한 처분으로부터 권익구제를 받을 수 있도록 행정심판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국민권익위 소속 중앙행정심판위원회(위원장 조소영, 이하 중앙행심위)는 2024년 소관 사건의 처리 기간을 전년 대비 4.5일 단축*하는 등 신속한 권익구제를 실현해 왔으며, 불합리한 법령에 대해서는 주무 부처에 시정을 요구하는 등 국민 권익 침해 소지를 원천적으로 제거하였다.(붙임 ‘시정조치 요청 사례’ 참고). 

  * 행정심판 사건 평균 처리기간: (’23년) 60.1일 → (’24년) 55.6일

□ 위와 같은 성과와 더불어, 국민권익위는 국민이 행정심판을 이전보다 더욱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술심리*와 국선대리인** 제도에 대한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 구술심리 제도: 행정심판 당사자가 심리기일에 출석하여 의견을 진술하는 제도

  ** 국선대리인 제도: 기초생활수급자 등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행정심판 과정에서 변호사·노무사를 지원하는 제도

□ 구술심리 확대와 관련하여, 기존에는 청구인이 구술심리를 하기 위해서는 서울과 세종에 있는 중앙행심위 심판정에 직접 출석해야 하는 불편함이 컸다.

   이에 국민권익위는 청구인이 주거지 인근 지방자치단체 청사에 출석하여 화상을 통해 의견을 진술할 수 있도록 전북도ㆍ제주도ㆍ강원도와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현재 시행 중이고, 앞으로도 이를 더욱 확대할 예정이다. 나아가, 온라인 행정심판 창구(www.simpan.go.kr)에 접속하여 원격으로 화상을 통해 의견 진술을 할 수 있도록 올해 하반기부터 관련 시스템 개발을 추진, 구술심리의 지리적 제약을 해소할 예정이다.

□ 국선대리인 확대의 경우, 현재 행정심판을 청구한 이후에 국선대리인 선임을 신청할 수 있어 이전 단계인 행정심판 청구서 작성에 대한 도움을 받기 어렵고, 행정심판의 직접적 이해관계자인 참가인들 또한 국선대리인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국민권익위는 행정심판을 청구하려는 국민과 참가인들도 국선대리인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법률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 조소영 국민권익위 부위원장은 “행정심판은 위법·부당한 처분으로부터 국민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구제할 수 있는 제도”라며, “앞으로도 국민 모두가 행정심판을 더욱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 국민권익위원회 2025-05-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4 더 많은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금융거래를 할 수 있도록 안심차단서비스 편의성을 대폭 개선하였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6 22
263 사회보험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고용‧산재보험 가입 촉진기간 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9 22
262 가맹계약서 구입강제품목 기재 실태 점검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9 16
261 “민원 신청하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막막한 민원...‘국선 행정사’로 지원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9 31
» “더욱 쉽고 편리하게”… 국민권익위, 행정심판 제도 개선 나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9 23
259 주요 분쟁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 사회초년생 등 취약계층의 금융거래 관련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9 13
258 어린이가 직접 지키는 생활 속 안전! ‘어린이 안전신문고’ 신고에 동참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9 15
257 “어둡고 피로감을 주는 도로터널”… 국민권익위 ‘권고’로 안전기준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20 21
256 질병재난 대응 정보를 한곳에 담은 국내 최초 자료 저장소(질병재난아카이브) 개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20 33
255 건전지부터 전자제품 내장 전지까지… 전지류 회수 체계 하나로 통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20 23
254 부당 표시·광고 감시 강화를 위한 공정위-소비자원 협력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21 10
253 2025년 「디지털새싹」 이렇게 운영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21 20
252 기아·비엠더블유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21 14
251 저금리 대출의 유혹, 최근 보이스피싱 피해자 10명중 4명은 대출빙자 사기에 당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21 20
250 가상자산 거래 관련 이용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21 22
Board Pagination Prev 1 ... 992 993 994 995 996 997 998 999 1000 1001 ... 1014 Next
/ 101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