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5.12일 기준 여신거래 및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서비스 누적 가입자 수는 각각 총 255만명, 204만명*으로 안심차단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SKT 해킹사고 이후(4.22.~5.12.) 여신거래 및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 서비스 가입자수가 각각 212만명, 188만명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청장년층의 명의도용 등에 따른 보이스피싱 피해 우려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약 147만명은 여신거래와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서비스를 모두 가입하여 이용

■ 안심차단 서비스 개선의 주요 내용

최근 안심차단 서비스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금융당국은 서비스 시행 이후 소비자의 제도 개선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안심차단 이용 편의성 및 접근성 제고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도를 개선하였다.  

우선,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신청시 신용카드 신규 발급 항목이 차단항목의 필수사항이 아닌 선택사항으로 변경*된다. 기존에는 여신거래 안심차단서비스 가입시 신용대출, 담보대출, 신용카드 신규 발급, 카드론 등 모든 여신거래를 일괄 차단하기 때문에 일상에서 널리 사용하는 신용카드 신규 발급이 제한되어 서비스 가입시 불편을 겪는 소비자들이 많았다. 금번 개선으로 소비자가 신용카드 신규 발급의 차단 여부를 직접 선택(Opt-out)할 수 있게 되어 이용의 편의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기존 가입자도 선택사항으로 변경 가능 (붙임1 참조)

둘째,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도 안심차단서비스(여신거래, 비대면계좌개설)를 신청하고 해제할 수 있게 된다. 현재 안심차단서비스는 거래중인 금융회사 영업점을 방문하거나 모바일 은행앱 등을 통해서 신청할 수 있다. 다만, 거동이 불편한 고령층 등은 직접 영업점을 방문하거나 모바일 이용이 익숙하지 않아 신청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에 위임받은 가족도 서비스를 신청·해제할 수 있게 제도를 개선해달라는 의견이 다수 제기되었다. 안심차단서비스 신청 주체가 위임받은 가족까지 확대됨에 따라 서비스 이용이 한층 용이해질 것으로 보인다.

   * 대리 신청이 가능한 가족의 범위 : 배우자 및 배우자의 부모, 직계존비속, 외조부모, 외손자, 사위, 며느리

마지막으로, 농협조합 등 상호금융권에서도 모바일앱을 통한 비대면 신청이 가능해질 예정이다. 상호금융권을 주로 이용하는 소비자들도 모바일로 손쉽게 신청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접근성이 개선된다.

   * 농협조합(5월말 예정), 새마을금고 등 순차적으로 확대  

이번 제도 개선을 통해 더 많은 소비자들이 안심차단서비스를 이용하여 보이스피싱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에도 금융당국은 금융권과 함께 운영현황을 지속 점검하여 보완해 나갈 예정이다. 




[ 금융감독원 2025-05-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더 많은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금융거래를 할 수 있도록 안심차단서비스 편의성을 대폭 개선하였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6 22
263 사회보험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고용‧산재보험 가입 촉진기간 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9 21
262 가맹계약서 구입강제품목 기재 실태 점검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9 15
261 “민원 신청하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막막한 민원...‘국선 행정사’로 지원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9 30
260 “더욱 쉽고 편리하게”… 국민권익위, 행정심판 제도 개선 나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9 22
259 주요 분쟁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 사회초년생 등 취약계층의 금융거래 관련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9 12
258 어린이가 직접 지키는 생활 속 안전! ‘어린이 안전신문고’ 신고에 동참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19 15
257 “어둡고 피로감을 주는 도로터널”… 국민권익위 ‘권고’로 안전기준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20 21
256 질병재난 대응 정보를 한곳에 담은 국내 최초 자료 저장소(질병재난아카이브) 개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20 33
255 건전지부터 전자제품 내장 전지까지… 전지류 회수 체계 하나로 통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20 23
254 부당 표시·광고 감시 강화를 위한 공정위-소비자원 협력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21 10
253 2025년 「디지털새싹」 이렇게 운영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21 20
252 기아·비엠더블유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21 14
251 저금리 대출의 유혹, 최근 보이스피싱 피해자 10명중 4명은 대출빙자 사기에 당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21 20
250 가상자산 거래 관련 이용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5.21 21
Board Pagination Prev 1 ... 992 993 994 995 996 997 998 999 1000 1001 ... 1014 Next
/ 101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