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일부 렌터카 업체, 차량관리 소홀한 것으로 나타나
- 대여사업자의 일상점검·정비 강화 필요 -

매년 여름 관광지를 중심으로 렌터카 사고가 다발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대여사업자의 자동차 관리가 소홀한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2015년 전국의 렌터카 교통사고 건수*는 총 6,233건으로 전년(5,639건)보다 10.5% 증가했다. 사망자수는 119명으로 전년(91명)보다 30.8% 증가했는데, 특히 사망사고를 일으킨 운전자는 운전경력이 상대적으로 짧은 21~30세가 43.7%(52명)로 가장 많았다. 월별로는 7월과 8월에 사고가 가장 많았고 지역별로는 제주특별자치도가 전체 차량사고 대비 렌터카 사고건수와 사망자수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는 여름 휴가철 관광 목적으로 렌터카를 많이 이용하는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 도로교통공단의 교통사고분석시스템 분석결과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렌터카 이용이 활발한 휴가철을 앞두고 렌터카 업체의 자동차 대여·관리실태를 조사했다.

□ 렌터카의 23.3%가 이상 있었으나, 대여 시 점검은 외관손상 확인에만 그쳐

국제공항이 위치하고 관광이 활성화된 서울과 제주의 렌터카 영업소 30곳의 자동차 30대의 상태를 점검한 결과, 총 7대(23.3%)가 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합 항목은 ‘제동등 미점등’, ‘번호등 미점등’, ‘조향륜 정렬불량’이 각 2건, ‘타이어 마모’, ‘속도계 오차’ 각 1건이었다(항목수로는 총 8개).

이 중 차량 1대는 제동 시 자동 점등을 통해 감속사실을 후행 운전자에게 알려 추돌을 예방하는 후면 제동등이 양쪽 모두 작동되지 않았고, 다른 1대는 타이어 상태가 즉시 교체해야 할 정도로 마모가 심각하여 안전사고가 우려되었다.

자동차 대여사업자는 이용자의 안전한 운행을 위하여 수시로 자동차를 점검하고 정비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자동차대여표준약관」에서도 사업자는 고객과 함께 일상점검을 실시하고, 정비불량 등을 발견하는 경우 수리 또는 부품교환 등의 조치를 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조사대상 업체 중 대여 시 자동차의 작동·기능과 관련한 항목별 이상유무를 확인해주거나 일상점검 이력을 안내해주는 업체는 한 곳도 없었으며, 대부분 차체외관 손상유무 확인에만 그쳤다.

또한, 자동차 고장 등의 비상상황 발생 시 조치할 수 있는 기본공구 중 비상삼각대*는 조사대상 차량 중 8대가, 타이어 펑크 시 필요한 스페어타이어나 리페어키트**는 4대가 적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도로교통법상 고장 등의 사유로 고속도로 등에서 자동차를 운행할 수 없게 된 때 설치해야 하는 고장자동차의 표지
** 타이어 펑크 시 액체를 주입하여 찢어진 고무를 메우거나 공기를 주입하여 일정거리를 운행할 수 있도록 조치하는 수리도구

이용자에 대한 운전자격 확인 강화 및 안전교육 필요

조사대상 업체 모두 대여 시 이용자에게 운전면허증 제시를 요구하여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면허의 정지·취소여부를 확인하는 곳은 없었으며, 운전경력에 대해서도 2곳만이 구두로 확인할 뿐이었다. 한편, 현재 사업자가 이용자의 면허정보를 조회할 법적 근거나 시스템이 없어 운전부적격자나 사고 고위험자의 판별은 어려운 실정이다.
※ 국토교통부는 카쉐어링 활성화 차원에서 이용자의 면허정보를 차량대여업체에 제공할 수 있는 법적 근거 마련을 위해「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개정 및 면허정보중개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임.

대여 시 안전교육을 실시한 업체는 30곳 중 2곳에 불과했는데, 1곳은 임차인에게 안전운행서약서를 교부하여 읽고 서명하게 하였으며, 다른 1곳은 과속하지 말 것을 당부하며 주의를 환기시켰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대여사업자의 자동차 일상점검 및 임차인 운전자격 확인 강화 등을 관계부처에 건의할 예정이다. 아울러 소비자들에게는 대여 시 자동차의 이상유무를 꼼꼼히 살펴보고 운행 전 반드시 이용지역의 지리와 교통상황을 숙지하고 교통법규를 준수할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016-07-1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275 3.26일부터 일반인의 LPG차량 신규‧변경‧이전 등록 가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5 12
12274 3.30일 즉각 분리제도 시행, 학대 아동의 안전과 회복을 지원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23 18
12273 3.5톤 이상 화물차 속도제한장치 풀면 허가 취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13 116
12272 3/4분기 다단계판매업자 주요정보 변경사항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0 8
12271 30%+α 할인되는 광역알뜰교통카드, 5.10일 공개 시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10 57
12270 30%+α로 할인율 높인 광역알뜰교통카드, 전국 어디서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7 19
12269 300만원 이상 이체된 자금, CD/ATM 인출은 30분후 가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1 158
12268 3040 직장인, 혈관건강 챙기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31 72
12267 30년 만에 주민 중심의 새로운 지방자치 시대가 열린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31 13
12266 30호 이상 민간임대주택 공급 시 사전신고 의무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04 48
12265 310만 가구에 2022년 귀속 근로·자녀장려금 정기신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2 7
12264 31일부터 올해 첫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30 13
12263 365일 밤 23~24시까지 소아과 전문의가 진료하는 “달빛 어린이병원”, 이용자의 95%가 “확대필요”, 복지부 ’15년 전국 20개소 공모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5 351
12262 3D 프린팅으로 질병극복의 새 패러다임을 연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2 57
12261 3개 모바일 부동산중개서비스 사업자의 이용약관상 불공정약관조항에 대한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5 54
Board Pagination Prev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