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일부 렌터카 업체, 차량관리 소홀한 것으로 나타나

- 대여사업자의 일상점검·정비 강화 필요 -

매년 여름 관광지를 중심으로 렌터카 사고가 다발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대여사업자의 자동차 관리가 소홀한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2015년 전국의 렌터카 교통사고 건수*는 총 6,233건으로 전년(5,639)보다 10.5% 증가했다. 사망자수는 119명으로 전년(91)보다 30.8% 증가했는데, 특히 사망사고를 일으킨 운전자는 운전경력이 상대적으로 짧은 21~30 43.7%(52)로 가장 많았. 월별로는 7월과 8월에 사고가 가장 많았고 지역별로는 제주특별자치도가 전체 차량사고 대비 렌터카 사고건수와 사망자수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는 여름 휴가철 관광 목적으로 렌터카를 많이 이용하는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 도로교통공단의 교통사고분석시스템 분석결과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 렌터카 이용이 활발한 휴가철을 앞두고 렌터카 업체의 자동차 대여·관리실태를 조사했다.

렌터카의 23.3%가 이상 있었으나, 대여 시 점검은 외관손상 확인에만 그쳐

국제공항이 위치하고 관광이 활성화된 서울과 제주의 렌터카 영업소 30곳의 자동차 30대의 상태를 점검한 결과, 7(23.3%)가 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합 항목은 제동등 미점등’, ‘번호등 미점등’, ‘조향륜 정렬불량 2, ‘타이어 마모’, ‘속도계 오차1건이었다(항목수로는 총 8).

이 중 차량 1대는 제동 시 자동 점등을 통해 감속사실을 후행 운전자에게 알려 추돌을 예방하는 후면 제동등이 양쪽 모두 작동되지 않았고, 다른 1대는 타이어 상태가 즉시 교체해야 할 정도로 마모가 심각하여 안전사고가 우려되었다.

자동차 대여사업자는 이용자의 안전한 운행을 위하여 수시로 자동차를 점검하고 정비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자동차대여표준약관에서도 사업자는 고객과 함께 일상점검을 실시하고, 정비불량 등을 발견하는 경우 수리 또는 부품교환 등의 조치를 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조사대상 업체 중 대여 시 자동차의 작동·기능과 관련한 항목별 이상유무를 확인해주거나 일상점검 이력을 안내해주는 업체는 한 곳도 없었으며, 대부분 차체외관 손상유무 확인에만 그쳤다.

또한, 자동차 고장 등의 비상상황 발생 시 조치할 수 있는 기본공구 중 비상삼각대*조사대상 차량 중 8대가, 타이어 펑크 시 필요한 스페어타이어나 리페어키트**4대가 적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도로교통법상 고장 등의 사유로 고속도로 등에서 자동차를 운행할 수 없게 된 때 설치해야 하는 고장자동차의 표지

** 타이어 펑크 시 액체를 주입하여 찢어진 고무를 메우거나 공기를 주입하여 일정거리를 운행할 수 있도록 조치하는 수리도구

이용자에 대한 운전자격 확인 강화 및 안전교육 필요

조사대상 업체 모두 대여 시 이용자에게 운전면허증 제시를 요구하여 확인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면허의 정지·취소여부를 확인하는 곳은 없었으며, 운전경력에 대해서도 2곳만이 구두로 확인할 뿐이었다. 한편, 현재 사업자가 이용자의 면허정보를 조회할 법적 근거나 시스템이 없어 운전부적격자나 사고 고위험자의 판별은 어려운 실정이다.

국토교통부는 카쉐어링 활성화 차원에서 이용자의 면허정보를 차량대여업체에 제공할 수 있는 법적 근거 마련을 위해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개정 및 면허정보중개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임.

대여 시 안전교육을 실시한 업체는 30곳 중 2곳에 불과했는데, 1곳은 임차인에게 안전운행서약서를 교부하여 읽고 서명하게 하였으며, 다른 1곳은 과속하지 말 것을 당부하며 주의를 환기시켰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대여사업자의 자동차 일상점검 및 임차인 운전자격 확인 강화 등을 관계처에 건의할 예정이다. 아울러 소비자들에게는 대여 시 자동차의 이상유무를 꼼꼼히 살펴보고 운행 전 반드시 이용지역의 지리와 교통상황을 숙지하고 교통법규를 준수할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2016-07-1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54 국민 1인당 의료방사선 검사 6.8건, 불필요한 의료방사선 피폭 감소를 위한 노력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0 17
10453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2월 21일 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1 17
10452 청소년에 속는 억울한 자영업자 CCTV로 막을 수 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7 17
10451 카드사 리볼빙 광고, 다음과 같이 개선하겠습니다! - 여신금융협회와 공동으로 소비자 피해 우려 사항 정비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6 17
10450 색조 화장품을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7 17
10449 운전자가 무사고 경력과 운전경력을 합리적으로 인정받아 보험료 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자동차보험 경력인정기준을 개선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02 17
10448 한국쓰리엠(3M) 방음용 귀덮개, 자발적 리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1 17
10447 식약처, 무인카페 위생수준 한 단계 더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2 17
10446 상기생, 부처손 등 식용불가 농.임산물 섭취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2 17
10445 ‘번호판 인식방식’ 스마트톨링 시범사업, 하이패스 없이도 고속도로 통행료 무정차 납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7 17
10444 [금융꿀팁] 153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 가입시 알아야 할 유익정보 및 분쟁사례를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9 17
10443 가정과 지구를 지키며 구매해요… 2024 녹색소비주간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30 17
10442 2018년 지역사회건강조사 8월 16일부터 일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09 18
10441 최중증 독거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폭염기간 집중 이용 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17 18
10440 공간정보 활용 쉬워진다…종류·개방물량 표준분류체계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9 18
Board Pagination Prev 1 ...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