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2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나들이철에 활발히 개최되는 지역축제와 지역행사에서 식음료를 이용·제공할 때에는 식중독이 발생하지 않도록 위생 관리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각 지역의 고유한 문화를 알리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개최되는  지역축제·행사는 관광객 등 많은 인파가 모이고 다양한 먹거리가 제공되는데 주로 봄·가을 나들이철에 집중*된다.

    * ’25년 지역축제‧행사 횟수 : 총 1,214회(4~5월 351회, 9~10월 461회)

일반적으로 지역축제·행사가 많은 4~9월에 식중독이 많이 발생*(약 62%)하고 있으며, 최근 지역축제 행사장에서 제공된 식품으로 인한 대규모 식중독 의심 사례**가 발생했다.

    * 최근 5년간(‘20년~’24년 잠정) 분기별 평균 식중독 발생 건수 : ➊1~3월 47건(17%), ➋ 4~6월 68건(26%), 
      ➌ 7~9월 100건(37%), ➍ 10~12월 55건(20%)

   ** (’25.4월) 제주시 왕벚꽃 축제 현장에서 식중독 의심 환자 90명, 충남 노인건강대축제에서 식중독 의심환자 200명 발생

이에 따라 식약처는 지역 축제‧행사 관람객 등이 행사 기간에 식음료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식음료 소비 형태별 주의 사항을 안내했다.

❶ 도시락을 구입‧섭취하는 때에는 해썹(HACCP) 인증받은 식품제조‧가공업소(도시락전문제조업체)의 제품을 이용하고, 김밥 등 배달음식은 한 개 음식점에 대량 주문하지 않고 여러 음식점에 나누어 주문한다.

또 섭취 직전에 먹을 만큼만 구입하고 용기 또는 포장 등이 오염되거나 손상되지 않았는지 확인한 후 빠른 시간 안에 섭취한다.

❷ 행사장 주변 음식점을 이용할 경우 위생상태가 우수하다고 인정된 위생등급 지정업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관할 지자체는 음식점에 대한 지도‧점검을 강화하는 등 식중독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❸ 행사장에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음식점은 영업장이 아닌 외부에서 조리된 음식을 판매하지 않아야 하며, 식재료는 판매 당일 구매‧소비되도록 적절한 양을 주문하고 식품 보관 온도를 준수해 위생적으로 보관하여야 한다.

참고로 식약처는 주요 지역축제·행사 개최 시 지자체와 함께 도시락제조업체, 한시적 영업 음식점 및 행사장 주변 음식점에 대한 사전 지도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50만 명 이상 참여하는 대규모 행사에는 식중독 신속검사 차량을 배치하여 식중독균을 직접 검사하고 관람객들에게 식중독 예방수칙 준수 등 다양한 홍보 활동도 추진한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이 식중독 걱정 없이 지역축제‧행사를 즐길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위생관리를 강화하고 다양한 식중독 예방 활동을 추진할 계획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5-04-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033 기준치를 초과한 철 및 망간이 검출된 MAUVIEL1830 요리용 웍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5.05.20
5032 기준치를 초과한 철 및 망간이 검출된 MAUVIEL1830 라운드 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8 2025.05.20
5031 나무조각 이물질이 혼입된 Alnatura 감자칩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5.05.20
5030 모 탈락 우려가 있는 투에이엔 립 틴트 환불 및 교환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5.05.20
5029 다양해지는 예약부도(노쇼) 사기, 대량 주문은 반드시 의심하고 확인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5.05.20
5028 아기띠 사용 시 추락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25.05.19
5027 헬스장, 10건 중 9건이 계약해지 관련 피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5.05.15
5026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4 2025.05.15
5025 무신고 수입 ‘생수통 밸브’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5.05.15
5024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된 수입 '포멜로'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25.05.15
5023 SKT 유심 해킹사고를 악용한 한국소비자원 사칭 피싱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5.05.13
5022 랄프로렌, 칼하트 등 유명 의류브랜드 사칭 해외쇼핑몰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0 2025.05.09
5021 포토프린트 케이크에서 사용 불가 색소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5.05.07
5020 해외여행 후 3주 이내 발열 발진, 홍역일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5.05.07
5019 스미싱, 검사 사칭 전화…이것만 알면 ‘금융 사기’ 안 당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5.05.02
5018 피할 수 없는 더위, “물·그늘·휴식으로 온열질환 예방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5.05.02
5017 ‘유심교체’ 미끼문자 사기 피해 주의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5.05.02
5016 아이 가방에 단 키링… 기준치 278배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25.04.30
5015 고사리, 안전하게 섭취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5.04.29
5014 무료 사진 촬영, ‘무·방·비’로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5.04.29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61 Next
/ 26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