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계절이 바뀌면서 겨울철 입었던 패딩 점퍼, 코트 등 겨울 의류 세탁을 위해 세탁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관련 피해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3년간(2022.1.1.~2024.12.31.)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에 접수된 세탁서비스 피해구제 신청 4,855건*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겨울철 의류 정리를 위해 세탁서비스를 이용한 후인 5월(569건, 11.7%), 6월(507건, 10.5%)에 피해구제 신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월 신청 건수는 4월(401건) 대비 41.9% 증가해 이 시기에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세탁서비스 월별 피해구제 신청 현황
 * 최근 3년간 피해구제 신청 건수 : (’22년) 1,814건 → (’23년) 1,731건 → (’24년) 1,310건

☐ 세탁 후 외관 훼손, 색상 변화, 얼룩 발생 등 다양한 하자 발생해  
  
하자 내용으로는 열에 의한 훼손, 마모, 부자재 훼손 등 ‘외관 훼손’이 21.2%(1,028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탈색, 변색 등 ‘색상 변화’ 17.6%(855건), 이염, 오염 등 ‘얼룩 발생’ 16.8%(813건), 수축, 경화 등 ‘형태 변화’ 14.7%(712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세탁물의 ‘분실’(4.5%, 220건)도 다수 발생하고 있어 세탁의뢰 시 분쟁 발생에 대비해 인수증에 세탁물의 품명과 수량 등을 기재하고 잘 보관할 필요가 있다.

☐ 피해 원인 및 책임 소재 판단이 필요해
  
세탁서비스 이용 후 제품이 훼손되었을 때 그 원인이 세탁사업자의 세탁 과실이거나 제품 자체 불량 등 제조‧판매업자의 과실일 수도 있다. 또한, 제품 수명 경과로 인한 자연 손상, 소비자 취급 부주의 등의 경우이기도 하다. 따라서 제품 구입시기, 손상 상태 등을 확인·점검해보고 섬유제품심의위원회* 등 심의기구를 통해 하자 원인 및 책임 소재에 대해 알아 볼 필요가 있다.

※ 제품 수명 경과로 인한 자연 손상, 소비자 취급 부주의 등 사업자 책임이 없는 경우가 42.9%,  제조판매업자 책임이 31.9%, 세탁사업자 과실이 25.2%로 나타남.(‘세탁분쟁, 절반 이상이 세탁 과실 또는 제품 불량’, 2024. 11. 8, 한국소비자원)

 * 섬유제품·세탁서비스 관련 소비자분쟁 발생 시 책임 소재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의류, 피혁제품, 세탁서비스 등 해당 분야 
    전문가로 구성(한국소비자원이 운영)

☐ 사업자와 함께 확인하고 인수증을 꼭 보관하며, 제품 수령 후 바로 확인해야
  
한국소비자원은 세탁서비스 소비자피해 예방을 위해 ▲ 세탁의뢰 시 의류의 상태를 세탁사업자와 함께 꼼꼼히 확인하고 품목, 수량 등을 기재한 인수증을 꼭 받아서 보관할 것을 강조했다. 또한 ▲ 완성된 세탁물은 신속하게 회수하고 하자 여부를 즉시 확인할 것, ▲ 세탁 후 피해가 발생했을 때는 지체없이 세탁사업자에게 이의를 제기할 것, ▲ 내용연수*가 경과된 의류는 제품 자체의 노화로 인해 세탁 시 변형될 수 있으니 주의할 것 등을 당부했다. 
 * 제품의 ‘수명’을 말하며 소비자분쟁해결기준에서 품목별 내용연수를 정하고 있음. 
  
한국소비자원은 (사)세탁업중앙회와 세탁서비스 소비자피해 예방을 위해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고 캠페인을 추진하는 등 협력해왔으며, 앞으로도 인수증 미교부, 사전고지 미흡 등의 영업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2025-04-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855 저소득층, 장애인, 노인 및 디지털교육을 희망하는 성인에게 평생교육이용권 혜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4 2
14854 편의점-납품업체 간 거래관행 개선을 위한 동의의결 최종 확정‧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4 2
» 세탁 맡길 때 인수증 챙기고 제품 받으면 바로 확인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4 6
14852 3월 연간 이용약관 변경으로 OTT서비스 소비자상담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3 7
14851 온라인 게임 소비자 피해 매년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3 4
14850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보험사기 제보가 보험사기 근절의 시발점이 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3 3
14849 금융분쟁조정위원회, 디스커버리 펀드 투자손실 배상 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3 4
14848 “기관의 잘못으로 8년간 덜 받은 급여”… 소멸시효 이유로 일부만 주는 것은 ‘가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3 2
14847 「중요한 표시·광고사항 고시」 개정·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3 3
14846 ㈜그라비티 및 ㈜위메이드의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 위반행위 제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3 1
14845 고가의 유명 상품 플랫폼의 표시·광고법 및 전상법 위반행위 제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3 1
14844 ‘코리아둘레길’과 함께 대한민국 걷기여행 떠나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18 20
14843 월경장애 심한 여성일수록 우울 증상 높아, 청소년기에서 더 두드러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17 23
14842 긴급상황 발생 시, 청각·언어장애인도 119로 직접 전화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17 18
14841 재개발·재건축사업 착수요건, 보다 합리화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17 1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92 Next
/ 99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