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최근 경북에서 발생한 초고속 산불에 대비해 주민대피 체계를 개선한다고 밝혔다.
○ 이번 산불은 재난성 기후라 불릴만큼 강한 돌풍으로 비화가 2km에 달하면서 확산 속도가 매우 빨랐다. 이로 인해 산불에 대피하는 과정에서 31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 당시 기상 상황은 산불 확산에 최적의 조건이었다. 전국 평년 기온이 14.2℃로 역대 1위로 높았으며, 강수량은 역대
최저로 극심하게 건조했다. 안동지역 최대순간풍속은 27.6m/s를 기록했다.
- 기상악화로 정확한 화선 정보를 얻기 어려워 산불 확산 속도에 맞춘 대피 시점을 파악하지 못했으며,
- 고령자 보행속도(일반인의 약 72%)와 시군을 넘어서는 대피가 필요한 상황을 고려하지 못한 대피계획, 전기·통신 단절로 인한 상황전파 지연
등 기존 주민대피체계의 한계가 드러났다.
○ 이에, 행정안전부는 관계기관*과 함께 이번 산불의 특성을 분석하고, 한발 앞선 대피가 가능하도록 주민대피 체계 개선방안을 마련했다.
* 기상청,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먼저, 평균풍속 뿐만 아니라 최대순간풍속도 고려해 산불 확산 범위를 예측하도록 산불확산예측시스템(산림청)을 개선한다.
○ 앞으로 최대순간풍속을 적용해 산불확산예측도를 작성하며, 이를 토대로 한 주민대피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 위험구역(화선도달거리 5시간 이내) : 즉시 대피 / 잠재적 위험구역(화선도달거리 8시간 이내) : 대피 준비
○ 기상악화로 헬기·드론과 같은 화선 관측 장비를 활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번 산불 사례를 적용*해 최대한 보수적으로 위험구역을 설정한다.
* 최대순간풍속는 27.6m/s(확산속도 시간당 약 8.2km), 풍향은 주 풍향 기준으로 각도를 보다 넓게 설정
○ 산림청은 지자체가 산불확산예측도를 활용해 산불에 대비할 수 있도록 적극 안내·지원할 예정이다.
□ 각 지자체에서는 초고속 산불에 대비한 주민대피 계획을 수립한다.
○ 해당 지역 최대순간풍속이 20m/s 이상이면, 지역 상황을 종합 고려해 기존 마을 단위에서 읍·면·동, 시·군·구 단위까지 대피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한다.
○ 산불확산예측시스템을 참고해 요양원 및 장애인 시설과 같은 취약시설은 사전대피하고, 야간 중 산불 확산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일몰
전까지 사전대피를 완료한다.
□ 산불확산예측시스템의 위험구역을 토대로 ‘산불재난 주민대피 3단계*’ 대피체계도 마련했다.
* ➀준비(Ready) : 인근 시도의 산불 발생, 이동에 주의를 요하는 단계➁실행대기(Set) : 산불확산에 따라 대피명령이
내려질 수 있으니 사전준비필요 단계➂즉시실행(Go) : 신속하게 즉시대피가 필요한 단계
○ 행정안전부는 초고속 산불 대비 주민대피 가이드라인을 국민행동요령과 함께 배포(4.17.)하고,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번 경북 산불과 같은 초고속 산불은 신속한 대피가 최우선으로 이뤄져야 한다”라며,
○ “국민 여러분께서는 평소 국민행동요령을 잘 숙지해 주시고, 대피명령이 발령되면 다소 불편하더라도 안전을 위해 신속히 대피해 줄 것”을
당부했다.
[ 행정안전부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