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514주차 외래환자 1,000명당 인플루엔자 의사환자수 16.9명으로 4주 연속 증가, 개학 이후 학령기 소아청소년 

  중심으로 B형 인플루엔자 유행

- 손씻기, 기침예절, 마스크 착용 등 호흡기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인플루엔자 백신 미접종자는 지금이라도 예방접종

  당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학령기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인플루엔자가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률이 증가하고 있어, 손씻기, 기침예절, 마스크 착용 등 호흡기감염병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며, 인플루엔자 백신 미접종자는 지금이라도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하였다.

’25년 14주차(’25.3.30.~4.5.) 의원급 의료기관의 인플루엔자 의사환자*수는 외래환자 1,000명당 16.9명으로, 3월 이후 4주 연속 증가세**를 보이며, 이번 절기 유행기준(8.6명)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행이 지속되고 있다.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Influenza-like illness, ILI): 38℃ 이상 발열과 함께 기침, 인후통이 있는 자
** (10주) 8.0명 → (11주) 10.8명 → (12주) 13.2명 → (13주) 16.3명 → (14주) 16.9명

연령별로는 13~18세, 7~12세 순으로 높은 발생을 보이며, 학령기 소아‧청소년 층이 봄철 인플루엔자 유행을 주도하는 양상이다. 
 * 13-18세(56.1명) > 7-12세(53.8명) > 19-49세(14.3명) > 1-6세(12.7명) > 0세(6.8명) > 50-64세(6.0명) > 65세이상(3.0명)


호흡기바이러스 병원체 감시결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률도 ’25년 14주차에 22.5%로 4주 연속 증가*하였고, 바이러스 아형은 B형 21.1%, A(H1N1)pdm09 0.7%, A(H3N2) 0.7% 순으로,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 (10주) 12.3%→ (11주) 15.9% → (12주) 17.2% → (13주) 21.0% → (14주) 22.5%


최근 유행하고 있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이번 절기 백신주*와 유사한 유전형으로 높은 중화능 형성이 확인되어 백신접종으로 충분한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항바이러스제 내성에 영향을 주는 변이도 없어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권장된 인플루엔자 백신 생산에 사용된 바이러스


’24-’25절기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은 인플루엔자 감염 시 중증화 위험이 큰 65세 이상(’59.12.31. 이전 출생자), 임신부, 생후 6개월~13세**(’11.1.1.~’24.8.31. 출생자)를 대상으로 시행 중이다. 

 * (접종기간) ’24.9.20⁓’25.4.30.

** (2회 접종 대상) 과거 접종력이 없거나, 기존에 1회만 접종받은 6개월 이상 9세 미만 어린이 (1회 접종 대상) 2회 접종 대상 외 

    6개월 이상 13세 어린이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해서는 손씻기, 기침예절, 마스크 착용 등의 호흡기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히, 학령기 소아‧청소년에서 높은 발생을 보이고 있는만큼, 학교나 가정에서 인플루엔자 전파 예방을 위해, 아이들에게 호흡기감염병 예방수칙을 교육해 주실 것을 부탁드리며, 발열이나 기침 등 호흡기감염병 증상이 있는 경우는 가까운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아야한다.”고 당부하였다. 


아울러 “이번 절기에 A형 인플루엔자 진단을 받았던 경우라도, 다시 B형 인플루엔자에 감염될 수 있는 만큼, 인플루엔자 백신 미접종자는 지금이라도 예방접종을 권고드린다.”고 전했다.



◀ 인플루엔자 등 호흡기감염병 예방 수칙 ▶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받기


- 해당 대상자는 접종 시기에 맞춰 접종하기


○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식사 전·후, 코를 풀거나 기침·재채기 후, 용변 후 등


○ 기침 예절 실천하기


①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② 기침 후 반드시 올바른 손씻기 실천


③ 호흡기 증상이 있을 시 마스크 착용


④ 사용한 휴지나 마스크는 바로 쓰레기통에 버리기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 실내에서는 자주 환기하기


○ 발열 및 호흡기증상이 있을 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진료 받기




[ 질병관리청 2025-04-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027 헬스장, 10건 중 9건이 계약해지 관련 피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5.05.15
5026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6 2025.05.15
5025 무신고 수입 ‘생수통 밸브’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7 2025.05.15
5024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된 수입 '포멜로'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25.05.15
5023 SKT 유심 해킹사고를 악용한 한국소비자원 사칭 피싱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25.05.13
5022 랄프로렌, 칼하트 등 유명 의류브랜드 사칭 해외쇼핑몰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5.05.09
5021 포토프린트 케이크에서 사용 불가 색소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5.05.07
5020 해외여행 후 3주 이내 발열 발진, 홍역일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25.05.07
5019 스미싱, 검사 사칭 전화…이것만 알면 ‘금융 사기’ 안 당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9 2025.05.02
5018 피할 수 없는 더위, “물·그늘·휴식으로 온열질환 예방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5.05.02
5017 ‘유심교체’ 미끼문자 사기 피해 주의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5.05.02
5016 아이 가방에 단 키링… 기준치 278배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9 2025.04.30
5015 고사리, 안전하게 섭취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25.04.29
5014 무료 사진 촬영, ‘무·방·비’로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25.04.29
5013 유심 무상 교체, 유심보호서비스 등 사회적 이슈 관련 피싱·스미싱 공격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5.04.29
5012 주요 분쟁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 여행자보험 보상 관련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9 2025.04.29
5011 SNS상 대출,취업 게시글 등으로 허위환자를 모집하는 신종 보험사기 유혹에 속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25.04.28
5010 여행 관련 소비자피해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5.04.28
5009 복어, 전문가가 조리한 것만 드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25.04.25
5008 잔류농약 초과 검출된 천연향신료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5.04.24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62 Next
/ 26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