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동전화서비스, 계약 불이행 피해 많아

- 계약서에 구두 약정내용 기재하고, 매월 요금청구내역 꼼꼼히 확인해야 -

2

단말기 할부금 지원 등 계약 내용이 이행되지 않거나 가입 시 요금제 등 주요 사항이 정확하게 고지되지 않는 등 이동전화서비스 피해가 많아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3~2015) 이동전화서비스 관련 피해구제 접수 건수는 3,316건으로 매년 다발하고 있다.

* (’13) 826(’14) 1,349(’15) 1,141

계약 불이행 등 이용단계피해 59.3%

지난해 접수 건(1,141)을 피해발생 시점별로 분석한 결과, 이용단계에서의 피해 59.3%로 가장 많았으며 가입단계’ 22.3%, ‘해지단계’ 16.4% 순으로 나타났다.

이용단계의 피해는 단말기 할부금 지원 등 계약 내용을 이행하지 않는 사례가 가장 많았고 통화 품질 불량 데이터 로밍요금 등 이용요금 과다 청구 사전 고지 없이 요금제 등 이용 조건 변경이나 제한 등으로 나타났다.

가입단계에서는 단말기 대금, 약정기간, 요금제 등 주요사항을 정확하게 설명·고지하지 않거나 명의도용, 전자금융사기 등에 의한 부당한 가입 부가 서비스 가입 누락 및 개통 지연 등의 피해가 있었다.

해지단계에서는 ▲「할부거래에 관한 법률등에 따른 청약철회 거부 품질 불량 등 불가피한 사유로 계약해지 시에도 위약금이 청구되거나 번호이동 시 기존 단말기 해지 처리 지연·누락 등의 피해가 나타났다.

‘60대 이상전화권유판매로 가입한 사례 상대적으로 많아

지난해 접수건 중 소비자 연령대가 확인되는 905건을 분석한 결과, ‘20~30(42.5%)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방법으로는 일반판매’(67.1%)가 가장 많았으나, ‘60대 이상전화권유판매, ‘20~30전자상거래를 통해 이동전화서비스에 가입한 사례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다.

가입자 100만 명당 피해구제 접수 건수 LGU+, KT, SKT

한편, 지난해 이동통신 3사에 대한 피해구제 접수 건수는 총 902건으로 2014년 대비 18.8% 감소하였다.

가입자 100만 명당 접수 건수가 가장 많은 통신사는 LGU+(23.0)였으며, 다음으로 KT(20.5), SKT(12.4) 순으로 나타났다.

1

SKT가입단계에서 소비자 피해 비중이 타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고, KT이용단계’, LGU+해지단계피해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배상·계약이행·환급 등 합의루어진 경우는 45.7%였으며, SKT(51.5%)의 합의율이 가장 높았고, KT(39.4%)가 가장 낮았.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동통신사에는 단말기 대금, 약정기간, 요금제 등 중요사항에 대한 고지 강화, 청약 철회 거부나 부당한 위약금 부과 등의 부당행위 개선을 요청하였고, 방송통신위원회와 미래창조과학부 등 관련기관과 긴밀히 협조하여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한 제도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소비자들에게는 이동전화서비스 피해예방을 위해 구두로 약속한 내용은 반드시 계약서에 기재하여 사본을 받아두고 계약 이후에는 계약이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지 요금청구내역을 꼼꼼히 확인하며 해지 신청 후 증빙 서류를 보관할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2016-07-1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190 대부분의 스터디카페 이용자, 키오스크 결제 시 약관 안내받지 못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1 37
10189 구중청량제.치약제 허가사항 꼭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1 38
10188 분양절차를 합리적으로 개선하여 수분양자의 권리를 강화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1 42
10187 세금 신고 길라잡이! 홈택스 내비게이션 도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1 39
10186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검증 자문단 회의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0 40
10185 식약처, 식의약 법령정보 모바일 서비스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0 38
10184 ‘우리 몸이 원하는 삼삼한 밥상(Ⅸ)’ 요리책자 발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0 38
10183 고난도 금융투자상품 및 고령 투자자에 대한 녹취, 숙려제도가 시행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0 44
10182 지역과 함께 성장하고 싶은 청년이라면 도시재생뉴딜 청년인턴 지원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0 34
10181 국민권익위, “경찰옴부즈만 센터” 공식 출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0 37
10180 국민권익위, “어린이 교통안전” 관련 민원예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0 34
10179 7월부터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도 고용.산재보험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리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0 42
10178 “부모님 안마의자 구매·렌탈, 신중하게 결정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07 37
10177 온라인으로 더 빠르게 예방접종 예약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07 38
10176 족발.보쌈 배달음식점 및 가정간편식 제조업체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07 40
Board Pagination Prev 1 ...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