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관광명소, 테마파크, 캠핑장 등에서 방문자가 편하게 주변을 둘러볼 수 있게 하는 전동카트가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최근 전동카트 차량이 전도되는 등 안전사고가 잇따르면서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전국 전동카트 대여 업체 15개에서 운행 중인 전동카트 15대의 안전성 및 운행경로 8개를 조사한 결과, 일부 전동카트의 안전사고 예방 조치가 미흡하고 운행경로 또한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일부 업체, 안전모 제공하지 않고 안전띠・등화장치 없는 전동카트 대여

  

전동카트는「도로교통법」상 원동기장치자전거*로 분류돼 제1종 대형·보통, 제2종 보통·소형·원동기장치자전거 면허를 소지한 자만 운전할 수 있고 운전자 및 동승자는 승차용 안전모를 착용해야 한다.

 * 원동기장치자전거 : 배기량 125cc 이하(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경우에는 최고정격출력 11kw 이하)의 원동기를 단 차 

   또는 이륜자동차

  

조사대상 대여 업체 15개 중 11개(73.3%)는 운전자의 실제 면허 소지 여부를 확인하지 않아 무면허자 등 운전 자격 미달자가 대여해 운전할 수 있었다.

  

또한 조사대상 15개 업체 중 12개(80%)는 안전모를 제공하지 않았는데 해당 업체에서 대여한 전동카트 12대 중 8대는 안전띠가 없거나 일부 좌석에만 설치돼 있었다. 전동카트 대부분은 차량 문이 없는 개방형 구조로 안전벨트와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으면 사고 발생 시 탑승자가 밖으로 이탈해 머리에 심각한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반면에 안전모를 제공하는 3개 업체에서 대여한 전동카트 3대는 전 좌석에 안전띠가 설치돼 있었다.


전동카트는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일반도로를 주행하는 만큼 시야를 확보하고 후속 차량 및 보행자와의 추돌을 방지하기 위해 등화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조사대상 전동카트 15대 중 9대(60%)는 전조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지시등 등 등화장치가 모두 설치되었으나, 나머지 6대(40%)에는 등화장치 중 일부가 미설치 되거나 고장난 상태였다.


☐ 일부 운행경로, 낭떠러지 등 위험구간 통과하고 야간 조명시설 미설치

  

전동카트는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의 적용을 받지 않아 차동장치* 등 일반 자동차에 준하는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안전한 경로에서 운행할 필요가 있다.

 * 차동장치 : 자동차의 좌우 바퀴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분배하는 기계장치로 자동차가 코너링 시 

   미끄러짐 현상을 예방함.

  

조사대상 운행경로 8개 중 3개(37.5%)에는 낭떠러지 등 비탈면이 인접한 경사로가 있었는데, 이 중 1개는 방호울타리가 일부만 설치되어 있거나 훼손되어 있어 경로 밖 비탈면으로 전동카트가 이탈할 위험이 있었다. 또한 주의표시 등 안전표지도 없어 운전자가 위험구간을 인지하기 어려웠다.

  

한편, 4개(50%) 운행경로에서는 일몰 후인 야간에도 전동카트를 대여했는데 이 중 1개(25%) 경로에는 조명시설이 없어 운전자가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웠다. 또한 해당 경로에서 대여한 전동카트는 후미등, 제동등, 방향지시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개선이 필요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안전사고 예방 조치가 미흡한 사업자에게 대여절차 및 전동카트 안전장치 점검·보수 등 개선을 권고했다. 한편 관할 지자체에 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전동카트 대여서비스의 안전 확보를 위한 조례 제정 등 제도 마련을 요청했다.

  

아울러 전동카트 대여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에게는 ▲반드시 허용된 면허 소지자만 운전하고, ▲제한속도 준수 및 위험구간 서행 등 안전수칙을 지키며, ▲안전모 및 좌석안전띠를 제대로 착용할 것 등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5-04-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855 저소득층, 장애인, 노인 및 디지털교육을 희망하는 성인에게 평생교육이용권 혜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4 2
14854 편의점-납품업체 간 거래관행 개선을 위한 동의의결 최종 확정‧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4 2
14853 세탁 맡길 때 인수증 챙기고 제품 받으면 바로 확인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4 6
14852 3월 연간 이용약관 변경으로 OTT서비스 소비자상담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3 7
14851 온라인 게임 소비자 피해 매년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3 4
14850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보험사기 제보가 보험사기 근절의 시발점이 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3 3
14849 금융분쟁조정위원회, 디스커버리 펀드 투자손실 배상 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3 4
14848 “기관의 잘못으로 8년간 덜 받은 급여”… 소멸시효 이유로 일부만 주는 것은 ‘가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3 2
14847 「중요한 표시·광고사항 고시」 개정·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3 3
14846 ㈜그라비티 및 ㈜위메이드의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 위반행위 제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3 1
14845 고가의 유명 상품 플랫폼의 표시·광고법 및 전상법 위반행위 제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23 1
14844 ‘코리아둘레길’과 함께 대한민국 걷기여행 떠나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18 20
14843 월경장애 심한 여성일수록 우울 증상 높아, 청소년기에서 더 두드러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17 23
14842 긴급상황 발생 시, 청각·언어장애인도 119로 직접 전화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17 18
14841 재개발·재건축사업 착수요건, 보다 합리화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17 1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92 Next
/ 99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