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관광명소, 테마파크, 캠핑장 등에서 방문자가 편하게 주변을 둘러볼 수 있게 하는 전동카트가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최근 전동카트 차량이 전도되는 등 안전사고가 잇따르면서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전국 전동카트 대여 업체 15개에서 운행 중인 전동카트 15대의 안전성 및 운행경로 8개를 조사한 결과, 일부 전동카트의 안전사고 예방 조치가 미흡하고 운행경로 또한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일부 업체, 안전모 제공하지 않고 안전띠・등화장치 없는 전동카트 대여

  

전동카트는「도로교통법」상 원동기장치자전거*로 분류돼 제1종 대형·보통, 제2종 보통·소형·원동기장치자전거 면허를 소지한 자만 운전할 수 있고 운전자 및 동승자는 승차용 안전모를 착용해야 한다.

 * 원동기장치자전거 : 배기량 125cc 이하(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경우에는 최고정격출력 11kw 이하)의 원동기를 단 차 

   또는 이륜자동차

  

조사대상 대여 업체 15개 중 11개(73.3%)는 운전자의 실제 면허 소지 여부를 확인하지 않아 무면허자 등 운전 자격 미달자가 대여해 운전할 수 있었다.

  

또한 조사대상 15개 업체 중 12개(80%)는 안전모를 제공하지 않았는데 해당 업체에서 대여한 전동카트 12대 중 8대는 안전띠가 없거나 일부 좌석에만 설치돼 있었다. 전동카트 대부분은 차량 문이 없는 개방형 구조로 안전벨트와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으면 사고 발생 시 탑승자가 밖으로 이탈해 머리에 심각한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반면에 안전모를 제공하는 3개 업체에서 대여한 전동카트 3대는 전 좌석에 안전띠가 설치돼 있었다.


전동카트는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일반도로를 주행하는 만큼 시야를 확보하고 후속 차량 및 보행자와의 추돌을 방지하기 위해 등화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조사대상 전동카트 15대 중 9대(60%)는 전조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지시등 등 등화장치가 모두 설치되었으나, 나머지 6대(40%)에는 등화장치 중 일부가 미설치 되거나 고장난 상태였다.


☐ 일부 운행경로, 낭떠러지 등 위험구간 통과하고 야간 조명시설 미설치

  

전동카트는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의 적용을 받지 않아 차동장치* 등 일반 자동차에 준하는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안전한 경로에서 운행할 필요가 있다.

 * 차동장치 : 자동차의 좌우 바퀴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분배하는 기계장치로 자동차가 코너링 시 

   미끄러짐 현상을 예방함.

  

조사대상 운행경로 8개 중 3개(37.5%)에는 낭떠러지 등 비탈면이 인접한 경사로가 있었는데, 이 중 1개는 방호울타리가 일부만 설치되어 있거나 훼손되어 있어 경로 밖 비탈면으로 전동카트가 이탈할 위험이 있었다. 또한 주의표시 등 안전표지도 없어 운전자가 위험구간을 인지하기 어려웠다.

  

한편, 4개(50%) 운행경로에서는 일몰 후인 야간에도 전동카트를 대여했는데 이 중 1개(25%) 경로에는 조명시설이 없어 운전자가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웠다. 또한 해당 경로에서 대여한 전동카트는 후미등, 제동등, 방향지시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개선이 필요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안전사고 예방 조치가 미흡한 사업자에게 대여절차 및 전동카트 안전장치 점검·보수 등 개선을 권고했다. 한편 관할 지자체에 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전동카트 대여서비스의 안전 확보를 위한 조례 제정 등 제도 마련을 요청했다.

  

아울러 전동카트 대여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에게는 ▲반드시 허용된 면허 소지자만 운전하고, ▲제한속도 준수 및 위험구간 서행 등 안전수칙을 지키며, ▲안전모 및 좌석안전띠를 제대로 착용할 것 등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25-04-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 화물차 불법운행 ‘합동 단속’ 돌입, 사고다발 구간 등 전국 주요 도로 집중 점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8 22
38 결제사기(스미싱) 문자 발송을 사전에 차단하여 국민 안심 디지털 이용환경을 만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8 15
37 청소년 미디어 이용습관 점검하고 맞춤형 지원 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8 17
» 전동카트 대여서비스에 대한 안전관리 방안 마련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8 20
35 2024년 가맹사업 현황 통계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9 14
34 전통시장에서도 우리 농산물 20% 할인 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9 13
33 기본직불금 신청기간 5월 말까지 연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9 14
32 2025년 3월 강원특별자치도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9 13
31 ‘우수웰니스관광지’ 88개소에서 지친 몸과 마음 팔팔(88)하게 치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9 16
30 접경지역 군 장병은 전역 후 말라리아 무료검사로 건강 지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9 13
29 동물 찻길 사고, 영상인식 인공지능 기술로 막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09 14
28 볼보ㆍ벤츠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10 10
27 ’24년도 택배/소포 서비스 평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10 12
26 “외국인 등의 은행거래 이용 불편을 개선하고, 저축·상호금융업권 대출금리 변경 안내를 강화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10 16
25 산에서 채취한 나물, 정말 먹어도 괜찮을까? 독초와 구별하는 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5.04.10 29
Board Pagination Prev 1 ... 981 982 983 984 985 986 987 988 989 990 Next
/ 99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